무시 당하는 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무시 당하는 병

0 개 1,572 크리스티나 리

이리저리 돌아보면 크고 작은 병으로 몸과 마음이 힘들고 주변 사람들이 걱정하고 염려하는 것이 보인다. 

 

평소에는 큰 문제가 없다 생각했는데 갑자기 어디가 좋지 않다고 하던가, 어떤 진단이 내려진다거나 하면 당장 큰 일이 일어나면 어쩌나 하는 마음에 빨리 몸이 좋아지려고 이런저런 좋다고 하는 것들을 다 해보려 한다.  

 

이렇게 자신에게나 혹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질병이 침투하게 되면 그 진단을 무시할 수 없기에 참으로 몸과 마음이 분주해진다.

 

하지만 사람들은 어리석게도 아무 생각없이 너무나도 쉽게 무시해버리는 병이 있다. 사람들에게 무시 당하는 병, 그것이 바로 흡연이다.

 

아직도 흡연을 선택이니, 기호식품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세계보건기구인 WHO에서는 이미 오래 전에 “흡연은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이라 언급했다.

 

너무나 잘 알고 있으면서도 무시해버리는, 피부에 와닿지 않는 사실은 바로 흡연은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의 절반 이상을 죽음으로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최근 세계보건기구의 조사에 의하면 흡연은 해마다 7,0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을 죽음으로 이끌어가는데 이중 흡연자가 6,000,000명이 넘으며 슬프게도 900,000명 정도는 단 한모금의 담배를 피우지 않은 간접 흡연자들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외면 당하고 무시 당하는 병인 흡연은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뿐아니라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죽음으로 이끌고 있다는 사실을 이제는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면 안되는 것이다.

 

전염성 질환이 아니기에 갑자기 순식간에 사람들에게 퍼지는 것은 아니지만 느끼지 못하는 사이에 온몸으로 파고 들어 심각한 문제를 일으켜 죽음으로까지도 이끌 수 있다는 사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비전염성질환으로 손꼽히는 것들에는 심혈관계질환, 당뇨, 암 그리고 만성호흡기질환인데 이 모든 것의 위험인자들은 흡연, 음주, 건강치않은 식습관과 운동 저하라는 것 또한 알면서도 무시 당하고 있다. 

 

이런 비전염성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줄이는 것은 어쩌면 현 세대가 담당하고 책임져야할 사항이 아닌가 싶다.

 

더 놀라운 사실은 36,000,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해마다 이런 비전염성질환으로 죽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중 15,000,000명이 30-70세 라는 더 놀라운 사실에 충격을 받지 않을 수 없다.

 

아주 한창 삶을 즐길 수 있는 나이에 사랑하는 사람들을 비롯한 많은 것들을 남겨놓고 떠나야하는 일이 지금 자신에게 혹은 가까운 사람들에게 일어난다면 그 마음이 어떨까? 아마도 거의 대부분 ‘진작에 신경을 좀 쓸 걸’하지 않을까 싶다.

 

“담배를 끊으시면 어떠세요?”라고 물을 때면 “담배를 끊기는 해야하지만 조금만 더 있다가요”, “담배마저 안피우면 여기서 뭘 해요”, “준비가 되면 연락드릴게요”...... 등으로 말하며 자꾸 뒤로 미룬다. 

 

이뿐만이 아니다 “어디가 좀 아프다던가, 담배를 안 끊으면 당장 죽는다든가 하면 모르지만 지금은 담배를 피워 좋은 것이 더 많은데 어떻게 담배를 끊어요”라고 종종 말한다.

 

이런 말을 들을 때면 “소잃고 외양간 고치지 마시라”한다. 

 

지금까지는 심하게 아프거나 수술을 한 적이 없었을지라도 이미 몸 속에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어느 날 예기치않은 일이 벌어진다면 이미 병은 많이 진행되어 늦은 상황일 수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숨을 들여마신 후에 ‘후’하고 한번에 들이마신 숨을 불어내쉬는 간단한 검사로 눈에 보이지 않는 폐나이를 측정하고 나면 거의 대부분은 깜짝 놀라며 “아이고 내 폐나이가 30살이나 더 먹은 75살이라니”하면서 충격을 받아 상담시에는 당장 끊을 것처럼 하다가 집으로 돌아가서는 다시 “흡연이 무슨 질병이야, 난 이리 건강한데”하며 다시 차일피일 뒤로 금연을 미루는 경우 또한 비일비재하다.

 

그러나 다시 말하지만 흡연은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무시 당하고 있는 병이다. 

 

병은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이며 치료 과정 속에서 어느 정도 스스로의 노력도 필요하고 때로는 긴 시간이 소요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모든 과정이 지나가고 나면 생각했던 것보다 더 많은 이점을 얻게 될 것이다.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나도 흡연을 병이 아니라며 무시하고 있는가?” 

 

981d8e61c82007b0f8c87714f77b0dd8_1519717340_2039.jpg
 

새로운 삶의 목표

댓글 0 | 조회 1,623 | 2016.07.14
겨울비가 계속 내리며 맑은 날보다는 … 더보기

10년을 돌아보며....

댓글 0 | 조회 1,617 | 2016.04.14
자주 듣는 말 중에 하나가 “세월 참… 더보기

인생은 하나의 경기장

댓글 0 | 조회 1,592 | 2019.07.10
인생은 하나의 경기장같고 해마다 새로… 더보기

오월이 가는 길목에서

댓글 0 | 조회 1,590 | 2015.05.26
계절의 여왕이라 불리는 5월이 어느덧… 더보기

죽음으로 이끌었던 가스, 그이름은

댓글 0 | 조회 1,583 | 2017.11.22
어린 시절 연탄가스 하면 굉장히 무섭… 더보기

하얀 연기의 매력

댓글 0 | 조회 1,576 | 2017.09.13
하얀 연기가 피어오르면 괜시리 눈이 … 더보기

고정 관념을 깨자

댓글 0 | 조회 1,576 | 2012.07.11
인간은 적응의 동물이라고 한다. 예측… 더보기

그렇게 하면 되는 줄 알았다

댓글 0 | 조회 1,575 | 2019.12.23
또 다시 한해를 보내는 길목에서 올 … 더보기
Now

현재 무시 당하는 병

댓글 0 | 조회 1,573 | 2018.02.27
이리저리 돌아보면 크고 작은 병으로 … 더보기

인정하고 약속한다면...

댓글 0 | 조회 1,571 | 2014.10.30
비가 너무 오지 않으면 땅이 갈라지고… 더보기

안개가 걷히면

댓글 0 | 조회 1,561 | 2016.09.27
“인생은 안개 같다”는 말이 새삼 공… 더보기

생활 습관이 문제

댓글 0 | 조회 1,554 | 2016.09.14
‘나이들어 건강을 지키는 방법’, ‘… 더보기

담배로부터 도망쳐 간 곳

댓글 0 | 조회 1,553 | 2015.09.23
사람들은 살면서 계속 해오던 것들에서… 더보기

지금 뭘 하고 있는거지

댓글 0 | 조회 1,546 | 2018.05.23
열심히 뭔가를 하고 있다가 갑자기 “… 더보기

새로운 패러다임

댓글 0 | 조회 1,544 | 2014.08.13
흔히 접하는 패러다임 (paradig… 더보기

환희의 순간

댓글 0 | 조회 1,542 | 2019.09.25
가끔은 사계절이 있다는 것이, 밤과 … 더보기

거울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듯

댓글 0 | 조회 1,539 | 2013.10.23
사계절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때론 … 더보기

자신의 지금 상황은....

댓글 0 | 조회 1,538 | 2017.03.22
2016년 12월부터‘자신을 돌아보는… 더보기

내면의 거울을 들여다보는 선택

댓글 0 | 조회 1,538 | 2015.07.28
지난 달부터 간호사를 위한 6개월 과… 더보기

우울해...

댓글 0 | 조회 1,529 | 2014.08.26
요즘처럼 바람불고 비오는 날이 계속 … 더보기

금연을 지금 하세요

댓글 0 | 조회 1,529 | 2013.05.29
1년 365일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더보기

강하게 믿고 있는 것들

댓글 0 | 조회 1,528 | 2016.05.12
누구나 때로는 확실한 근거없이, 혹은… 더보기

오늘도 어김없이 입에서 나오는 말

댓글 0 | 조회 1,524 | 2018.10.25
오늘도 어김없이 누구나의 입에서 나오… 더보기

어디로 달려갈까

댓글 0 | 조회 1,521 | 2019.06.12
하루를 살아가며 얼마나 많이 ‘이리로… 더보기

상황을 바꿀 수 있는 것은?

댓글 0 | 조회 1,519 | 2016.10.27
계절의 변화가 온몸으로 느껴지는 것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