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얼굴이 되기 위해서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아름다운 얼굴이 되기 위해서는...

0 개 2,274 동진스님
배꽃 피는 아침햇살이 좋아 텃밭으로 물을 주기 위해 나선 발걸음에 생각하기를 뭔가를 이룩하고 완성하려면 최소 1만 번의 같은 동작을 되풀이해야 한다는데 이것을 어떻게 전달할까 고민하다가 서정주의 “국화옆에서” 시가 생각난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봄부터 소쩍새는 그렇게 울었나보다.

한 송이의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천둥은 먹구름 속에서 또 그렇게 울었나보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 머언 먼 젊음의 뒤안길에서 

이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 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

노오란 네 꽃잎이 피려고 간밤엔 무서리가 저리 내리고 내게는 잠도 오지 않았나보다.

하나의 생명체가 탄생하기 위해서는 오랜 고뇌와 방황을 거쳐 전우주적인 협동이 필요하다는 시다. 온갖 고뇌와 시련을 거치고 인고의 세월을 거쳐 도달하는 원숙미는 셀렘과 경이로운 창조를 이룬다. 한 송이 국화꽃을 피우기 위해 자연은 그렇게 수 없이 연결되고 되풀이 되어 완성된다.

12살 어린 나이에 통도사로 출가하여 뜻도 모르는 한문 반야심경을 외우느라 헤아릴 수도 없이 읽고 외우기를 얼마나 했던가? 단락 단락을 외우고 그 단락을 연결하며 의식적으로 이어 가며 외운 반야심경이 이제 출가 40년 후반에 이르러서는 입만 열면 거미가 거미줄을 치듯 무의식적으로 외운다는 생각 없이 외우진다. 그 보다 더 긴 대다라니도 천수경도. 법성계도 그와 같다.

입으로 말하면 그 소리의 파장이 잠재의식을 통해 자율신경계를 작동하여 현실화 된다. 이렇게 반복하여 외치다 보면 뇌 기억세포 단자가 온 몸에 지시를 하게 되고 그것이 쌓이고 누적되어 행동을 지배하고 삶을 지배하게 된다. 성공은 무서운 집중력이다. 반복된 연습의 연속이다. 어떤 일을 하는데 전문가와 달인이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만 번을 반복할 때 가능하다. 

1만 번의 법칙이 있다. 어떤 목표나 소망을 가지고 1만 번 이상 되풀이하면 습관화 생활화되어 그것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우리 조상이 해왔던 100일기도, 1,000일기도, 만일 결사기도와 같은 뜻이다.

아름다운 얼굴이 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1만 번의 웃는 입 운동을 해야 한다.

간단한 입 운동이 우리 모두에게 아름다움과 젊음을 찾아준다.

현대에도 이런 법칙을 증명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사토 도미오는 미국 패튼대학 학장과 명예교수를 지낸 인물이다. 대뇌 자율신경계와 인간의 행동. 언어 관계성을 연구해 자기만의 독특한 ‘입버릇 과학’을 확립한 그는 “운은 기적이나 우연이 아닌 자기 마음이 부른다. 행운을 부르는 가장 강력한 기본 요소는 감사하는 마음이다”라고 주장했다.

프랑스인 에밀 쿠에는 진심으로 자신을 믿으면 그 믿음이 축척되어 곧 현실이 된다는 ‘자기 암시’를 창시 했다. 그는 ‘자기 암시’을 통해 정신적 육체적으로 고통받던 많은 이들을 치료해 행복한 삶으로 이끌었으며 일반 환자들은 물론이고 의사들과 정치가에게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다. 

신생아가 태어나서부터 이름을 짓고 그 이름을 수도 없이 몇 년 동안 아마도 1만 번 이상 불러 줘야 자기 이름인 줄 알고 돌아보고 대답한다. 체조, 야구, 농구, 피겨, 골프 스포츠 선수들도 악기를 연주하는 피아노, 기타 연주자들도 미술, 조각가, 과학자들도 영어를 배우는 유학생들도 같은 동작을 끝없이 반복할 때 자신을 얻고 신뢰하며 완성을 이루어 낸다. 한 부분, 한 동작등 1만 번 이상 해 가는 과정에서 자신의 한계와 역량을 알게 되고 겸손하고 성실하게 되어 세포가 조금씩 적응 한다. 몇 만 번을 해야 내 것이 만들어 진다.

삶을 어렵다 생각 말고 1만 번 이상의 집중력으로 그 분야 최고가 되어야 한다.

일정법칙을 따라 움직일 때, 에너지가 생기게 되고 그 에너지는 원인을 정화하고 어디론가 움직이게 된다. 이것이 세상의 비밀이기도 한데 이를 응용하여 가고 싶은 지역으로 여행을 하면 생각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기도문을 외우고 주문을 외우고 성모송과 찬송을 수 없이 되풀이 할 때 응답이 있다. 

불자들은 적어도 하루에 관세음보살을 1만 번 이상 소리 내어 외울 때 그 소리의 선한 파장이 자신을 감싸고 마음을 정화 시키고 맑게 할 것이다. 그 맑은 마음은 이웃에 전해지고 사회에 전해 져서 맑고 향기롭게 행동하게 되고 행복한 결과를 나누게 된다. 누구를 탓하지 말고 삶의 깊이와 생명의 본질적 완성해야 한다.

영국의 문화 아이콘!

댓글 1 | 조회 2,276 | 2012.09.12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의 여왕이 임종… 더보기

현재 아름다운 얼굴이 되기 위해서는...

댓글 0 | 조회 2,275 | 2015.10.28
배꽃 피는 아침햇살이 좋아 텃밭으로 … 더보기

평등한 마음을 가져라

댓글 0 | 조회 2,272 | 2016.03.23
중국의 큰 사찰에 화엄경을 100일 … 더보기

부처님 오신 날

댓글 0 | 조회 2,270 | 2015.05.13
5월 17일은 부처님 오신 날입니다.… 더보기

마음 밭을 가꾸는 사람

댓글 0 | 조회 2,249 | 2015.09.24
사람들은 각 분야에서 소망과 완성을 … 더보기

부처님 오신날!

댓글 0 | 조회 2,244 | 2014.04.23
오는 5월 4일은 불기 2558년 부… 더보기

화엄(華嚴)의 세계=우리는 하나다.

댓글 0 | 조회 2,235 | 2013.07.24
한국의 현대사 중 가장 가슴 뜨거웠던… 더보기

구글(Google)의 명상 지도자, 차드 맹 탄

댓글 0 | 조회 2,228 | 2015.02.24
세계 최대의 인터넷기업 ‘구글(Goo… 더보기

열심히 살지 말자

댓글 0 | 조회 2,226 | 2014.09.24
이런 제목으로 칼럼을 쓰는 것이 일부… 더보기

모나리자의 미소에는?

댓글 0 | 조회 2,195 | 2014.03.11
사람들은 누구나 행복을 추구한다. 아… 더보기

기도의 응답

댓글 0 | 조회 2,178 | 2013.02.26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울산 동광병원의 … 더보기

화를 줄입시다!

댓글 0 | 조회 2,167 | 2015.06.23
사람은 혼자 있을 때는 모두 완전한 … 더보기

프랑스의 한 카페...

댓글 0 | 조회 2,164 | 2015.05.27
주문 태도에 따라 등급을 매겨 커피 … 더보기

이 시대의 정도전을 기다리며....

댓글 0 | 조회 2,149 | 2014.07.09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 된 이래 조선왕… 더보기

마음을 낮추어요!

댓글 0 | 조회 2,124 | 2015.06.10
사람들을 만나면 자신을 낮추고 하심하… 더보기

마음이 큰 사람

댓글 0 | 조회 2,115 | 2012.11.13
이제 계절은 늦봄으로 접어들고 있는 … 더보기

남의 허물을 말하기 전에...

댓글 0 | 조회 2,108 | 2014.08.13
어떤 사람이 여러 사람들과 함께 방 … 더보기

임자 없는 돈!

댓글 0 | 조회 2,106 | 2013.04.10
세간에 이런 유머가 있습니다. 사랑을… 더보기

내가 성공하려면....

댓글 0 | 조회 2,092 | 2014.10.29
옛날 유명한 중국의 철학자 ‘장자’가… 더보기

눈뜬 장님!

댓글 0 | 조회 2,058 | 2014.06.25
새해를 맞이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 더보기

이제 내려 놓읍시다

댓글 0 | 조회 2,039 | 2013.02.13
매미소리에 꽃들은 피어나고 그 빛깔과… 더보기

감동을 주는 삶!

댓글 0 | 조회 2,027 | 2012.08.15
요즘 전 세계인들이 런던 올림픽을 통… 더보기

절(寺)과 절(拜) 그리고 참회

댓글 0 | 조회 2,020 | 2013.08.27
“절”이라고 하… 더보기

행복하십니까?

댓글 0 | 조회 2,012 | 2013.06.25
“당신은 행복하십니까?&r… 더보기

우리는 정말 깨어 있는가?

댓글 0 | 조회 2,001 | 2013.06.11
절에서 있다 보면 불교를 처음 찾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