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법 일반론 즉문즉답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이민법 일반론 즉문즉답

0 개 2,535 정동희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하여 뉴질랜드 비자 신청을 희망하는 전 세계인에 대해서 일반적인 안내를 항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뉴질랜드 영주권과 비영주권 비자 신청 및 입,출국에 대한 이민부의 일반적인 안내에 대한 저의 버전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정확한 정보를 원하시면 https://www.immigration.govt.nz/을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뉴질랜드 입국과 COVID-19(이하, 코로나)


문 : 뉴질랜드 여행을 계획하는 한국 거주자입니다. 요즘도 입국이 가능한가요?


답 : 잘 알려진바와 같이, 현재 뉴질랜드는 비영주권자의 입국을 극도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뉴질랜드가 코로나를 잘 방어해오고 있으므로 향후 순차적으로 풀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사오니 이민부 홈페이지의 최신정보를 참조하시길.


문 : 코로나 이전에 워크비자 승인을 받았으나 현재 한국에 발이 묶여 있어요. 입국이 불가능한가요?

답 : 비자를 소지한 자라 하더라도 뉴질랜드 입국은 엄격히 규제되고 있습니다. 비자에 허가된 본인의 직책에 따라 선별적인 입국을 허용하고 있으니 전문가의 상담을 구하시기 바래요. 


문 : 뉴질랜드 영주권자의 파트너쉽으로 워크비자를 신청하고 한국에서 기다리고 있습니다. 심사는 언제 시작할까요?

답 : 최근 이민부는 귀하와 같은 처지의 신청자들에 대한 심사를 개시하였습니다. 순차적인 이민관 배정이 이루어진다고 하니 좀더 인내하시기 바랍니다.


비자와 매칭되는 진실된 의도


문 : bona fide라는 단어가 중요하다고 들었습니다만…

답 : 좀 낯선 단어이긴 합니다만, 그 모든 비자 심사에서 무척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용어로 이해해야 합니다. 다음의 이민법과 저의 해석을 참조하세요.


A bona fide applicant for temporary entry is a person who:

a. genuinely intends a temporary stay in New Zealand for a lawful purpose; and

b. in the opinion of an immigration officer is not likely:

i. to remain in New Zealand unlawfully; or

ii. to breach the conditions of any visa granted; or

iii. to be unable to leave or be deported from New Zealand


임시체류의 목적으로 입국하고자 하는 자가 Bona Fide 신청자(BFA)로 간주되고자 한다면 다음과 같은 사람으로 판정되어야 한다고 하네요.

a. 합법적인 목적을 위해 뉴질랜드에 임시체류 하고자 진실하게 의도하는 사람이면서,

b. 이민관의 견해로 볼 때, 뉴질랜드에 합법적으로 남아 있을 것 같아 보이거나, 승인된 비자의 조건들을 엄수할 것으로 보이거나, 뉴질랜드로부터 추방당할 것 같아 보이지 않는 사람


문 : 의도라…. 의도라는 것은 변하는 것이 아닐까요?

답 : 지적한대로, “의도”라는 것은 아주 애매한 부분입니다. 다음의 이민부 안내를 보시죠.


Your intentions must be genuine

When you apply for a temporary visa or permission to enter New Zealand, we must be satisfied that you have genuine reasons for coming to New Zealand on the visa you apply for, and that while you are here you will obey the law. We must believe that you:

- only intend to stay in New Zealand temporarily

- are coming to New Zealand for a lawful purpose

- will comply with the conditions of your visa after you arrive

- will not stay in New Zealand without a valid visa, and

- are able to leave New Zealand at the end of your stay.


뉴질랜드 입국시 또는 뉴질랜드 국내에서 체류비자상태와 의도에 대해서 이민부는 또 다른 페이지에서 위와 같이 안내하고 있습니다. 결국은, 체류 의도와 “Bona fide”는 유사한 맥락이 아닐까요?


문 : lawful purpose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답 : The lawful purpose of your stay in New Zealand depends on the visa you are applying for. 라고 이민부는 말합니다. 


즉, 뉴질랜드에서 귀하의 체류에 대한 합법적인 목적은 바로 당신이 신청하고자 하는 비자에 달려 있다고 말이죠. 역시, 기/승/전/ “의도”가 아닐 수 없네요.


문 : 입국의도 또는 체류의도가 이민부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에 대한 안내도 있습니까?

답 : 다음과 같은 조항들을, 이민부는 참조합니다.


We may not grant you a visa or let you enter New Zealand if we believe that:

- your reason for coming to New Zealand is different from the reason you gave in your visa application or on your arrival card

- you may not comply with the conditions of your visa

- it is unlikely you will be able to leave or be deported from New Zealand to your country of citizenship - this can happen if the New Zealand Government restricts deportations to your home country or you do not have the right documents to return to your home country.


입국하실 때 어쩌면 아무 생각없이 기재했을 수 있었던 “입국카드”가 이때 등장합니다. 입국 카드(Arrival card)에는 입국의도를 기재하게 되어 있으며 이때 기재한 내용과 실제 비자 신청내용에 있어서 달라진 의도를 매의 눈으로 이민관은 용케 찾아냅니다. 이와 더불어, 기존에 체류하고 있었던 비자의 승인조건을 잘 지켜왔는지도 이민부는 심층 심사를 진행하지요. 


예컨대, A라는 고용주 밑에서 근무하다가 B라는 고용주로 이전하면서 신규 워크비자를 신청한다면 이민관은 다음과 같은 질문과 증빙서류를 요청합니다.“애초에 내주었던 워크비자는 A라는 고용주에게서만 근무하게 되어 있는 조건이었는데요. 그 직책과 직무, 근무시간 및 급여 등등에 대해서 잘 지켜왔는지에 대한 증명을 하셔야겠습니다. 그래야만 Bona Fide라는 조항을 만족시킬수 있다는거, 잘 아시죠??”이와 더불어 이민부는 다음처럼 안내하고 있습니다.


Information from your previous applications and travel to New Zealand can tell us if you have:

- stayed in New Zealand after your visa expired (과거 불법체류 여부)

- breached your visa conditions (비자의 조건 위반 여부)

- have a family member who is in New Zealand without a visa. (가족 구성원 중 불법체류 여부)


뿐만 아니라, 이민부는 비영주권 비자의 만기 이내에 본국으로의 출국에 대한 신청자의 개런티를 심사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문 : 비자 심사시에 개별적으로 처한 상태도 고려대상이 될 수 있습니까?

답 : 법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으나, 유감스럽지만 현실에서는 그리 크게 고려되는 것 같지는 않아요.


When we assess information about your personal circumstances, we look at things like:

- any family ties you may have in your home country or in New Zealand

- any personal, financial, work or other commitments you may have in your home country or New Zealand

- any circumstances that mean you may not want to return to your home country.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신원조회


뉴질랜드에서 비영주권자 신분으로 체류하더라도, 신원관련 서류에서 결격사유가 없어야 합니다. 일반적인 개념에서 중대한 신원 결격 사유(Serious character issues)라고 할 만한 사항들을 이민부는 아래와 같이 예시하고 있네요.


have ever been convicted of an offence for which you were sentenced to a term of imprisonment of 5 years or more

• have been convicted in the last 10 years of an offence for which you were sentenced to a term of imprisonment of 12 months or longer

• are prohibited from entering New Zealand

• have ever been removed, excluded or deported from any country.


위와 같은 문제뿐만 아니라 기타 다른 사유로 인하여 이민부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경우 이민부는 special direction이라는 조항으로 심사를 하여 특별구제를 해 주기도 합니다.


한편,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이민부는 신청자의 신원에 중대한 문제가 있다고 간주합니다.  


have ever been convicted of an offence against immigration, citizenship or passport laws in any country

• have ever made or provided false or misleading information, or withheld material information when applying for a New Zealand visa, or when supporting another person’s New Zealand visa application

• have ever been convicted of an offence for which you have been imprisoned

• have ever been convicted of an offence in New Zealand for which the court had the power to imprison you for three months or longer

• are under investigation, wanted for questioning, or have been charged with an offence which, if you are convicted, has a term of imprisonment of 12 months or longer.

If your character may prevent us from granting you a visa, you should provide a full explanation about your character issue with supporting evidence when you apply.


(더 많은 담론과 최신이민 정보는 저희 회사의 공식 블로그인 https://blog.naver.com/ajikdo69에서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 위의 정보는 이민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필자 개인의 견해와 해석을 밝힌 것이므로, 실제적용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의 실제 적용에 대해서는 아무런 법적인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국경개방과 에센셜 워크비자신청

댓글 0 | 조회 2,475 | 2022.03.22
국경개방에 대한 뉴스에 늘 촉각을 세… 더보기

이민부 發 , 장기사업비자 최신정보

댓글 0 | 조회 2,510 | 2013.03.26
이번 호에서는 2013년 3월 13일… 더보기

청춘이민을 선도하는 FTA 타결

댓글 0 | 조회 2,511 | 2014.12.10
2014년마저 아무런 호재없이 그냥 … 더보기

워홀러가 워홀더로 변신하려면?

댓글 0 | 조회 2,515 | 2018.05.22
연간 3,000명의 쿼터가 순식간에 … 더보기

질의서, 어디까지 받아 봤니?

댓글 0 | 조회 2,517 | 2019.10.08
20년 넘게, 어쩌면 전 생애의 유일… 더보기

“유학후 이민” 졸업자들이 가는 길

댓글 0 | 조회 2,526 | 2012.11.28
“유학후 영주권/이민 과정… 더보기

쉬워 보이나 진지해야만 하는 각종 비자 신청서

댓글 0 | 조회 2,531 | 2015.02.24
원하는 것이 있어야 사람은 살아 있는… 더보기

현재 이민법 일반론 즉문즉답

댓글 0 | 조회 2,536 | 2020.10.13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 더보기

사무직으로 기술이민에 도전하다!!

댓글 0 | 조회 2,558 | 2013.08.28
연간 기술이민(SMC) 카테고리를 통… 더보기

놓치면 후회할 수 있는 1년 완성 요리학과 L5

댓글 0 | 조회 2,562 | 2014.06.25
그간의 통계자료를 참조하자면, 현재 … 더보기

한-뉴 FTA 발효와 관련 이민법 변경

댓글 0 | 조회 2,589 | 2015.12.23
한-뉴 양국 정상의 정식 서명, 그리… 더보기

따져보는 기술이민의 영어조항 - 제 3탄

댓글 0 | 조회 2,609 | 2016.06.09
“아, 이제서야 이해가 되네요. 그 … 더보기

파트너쉽 심사의 핵심에 다가서기

댓글 0 | 조회 2,612 | 2019.11.13
파트너쉽을 통한 워크비자와 영주권 취… 더보기

헨더슨 이민부의 2016년 6월 뉴스레터

댓글 0 | 조회 2,666 | 2016.06.23
뉴질랜드 이민부 브랜치 중 하나인 A… 더보기

기술이민 의향서 최신 동향과 심사 혁신

댓글 0 | 조회 2,669 | 2014.11.12
예전 일반이민의 전신인 소위 기술이민… 더보기

新장기부족인력군 리스트와 요리학과

댓글 0 | 조회 2,673 | 2014.03.12
유학후 이민과정의 대표주자인 요리학과… 더보기

이민부가 안내하는 직업 종교인 비자

댓글 0 | 조회 2,679 | 2015.04.29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ww… 더보기

新워크비자시대의 新레시피

댓글 0 | 조회 2,689 | 2017.09.12
8월 28일부터 시행하길 원했던 新기… 더보기

고교 졸업 예정 유학생들을 위한 영주권 길라잡이

댓글 0 | 조회 2,723 | 2015.07.28
요즘처럼 환율이 좋은 적이 참 오래되… 더보기

누구 맘대로 직장을 옮길까?

댓글 0 | 조회 2,747 | 2019.12.10
취업비자 또는 워크비자는 말 그대로,… 더보기

순간의 선택이 이민 인생을 좌우한다

댓글 0 | 조회 2,754 | 2015.03.11
하나의 결정이 내려지기까지는 많은 프… 더보기

내 머리 속의 워크비자 수납상자 1호

댓글 0 | 조회 2,755 | 2016.07.27
오래된 이민법무사에게 거는 기본적인 … 더보기

심사기간의 두 얼굴과 사라진 비자

댓글 0 | 조회 2,761 | 2019.02.27
“법무사님, 접수 후 3개월 이내에 … 더보기

취업비자 기각사유 베스트 5

댓글 0 | 조회 2,779 | 2012.12.12
오늘은 일반워크비자(Essential… 더보기

학생비자 소지자를 위한 이민부 노트

댓글 0 | 조회 2,792 | 2017.07.25
뉴질랜드 이민부는 자체 홈페이지를 통…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