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0 개 1,759 KoreaTimes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공부를 하지 않는 원인을 '게으르고 놀기만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녀가 공부를 하지 않으면 무조건 야단을 치고 놀지 못하게 감시만 하지 왜 아이가 공부를 하려고 하지 않는지 그 원인을 캐 보려고 하지 않는다.

① 지적능력이 부족하거나 또 그로 인해 누적된 학습 결손으로 인해 공부를 따라가지 못하게 되면 좌절하게 되어 아예 공부를 하지 않으려고 한다.

- 모든 학습은 수업내용의 앞 단계의 학습경험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인데, 배운 것을 소화하지 못한 채 다음 단계로 넘어가니 자연히 학습결손이 누적되어 공부에 흥미를 잃게 되고 공부할 의욕도 생겨나지 않는다.

② 공부하는 습관이 들어있지 않으면 공부할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 어릴 때부터 부모가 공부하려고 시키니까 마지못해 공부를 해 왔거나,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습관이 들어 있지 않으면 '공부란 싫어도 억지로 해야 하는 것'이란 인식이 들어 공부하는 것을 지겹게 여기게 된다.

③ 가정에서 공부할 분위기가 되어 있지 않으면 공부할 의욕이 생겨나지 않는다.

- 언제나 집안이 어수선하여 조용히 공부할 수 있는 여건이 안 되어 있거나, 또 부모가 책은 읽지 않고 텔레비전의 요란한 드라마에나 열중하고 있으면, 아이들도 이를 본 따 그런 분위기에 휩쓸리게 되어 공부할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대책*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대부분은 공부를 하려고 한다. 그러므로 스스로 공부하는 자녀를 바라는 부모라면 자녀가 학업에 대한 동기부여와 학습에 대한 점진적인 성공 체험을 갖게 하여 자신감을 가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① 공부하려는 마음가짐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장 우선이다.

- 공부하려는 마음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정 안의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조용히 공부할 수 있는 방을 마련해 주고, 부모들도 자녀들이 공부하는 시간만큼은 텔레비전을 끄고 자녀와 더불어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등 공부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면 자녀들은 자연히 그 분위기에 동화되어 점차 안정된 마음을 가지고 공부를 하려는 마음을 갖게 된다.

②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 주도록 돕는다.

- 부모는 자녀에게 자율적으로 공부하는 습관을 길러 주는 데 힘써야 하는데, 맨 먼저 할 학습은 숙제를 하는 것이다. 숙제는 학생으로서 최소한의 책임이다. 책임의식을 가지고 반드시 하도록 지도해야 하며 하지 않았을 때에는 야단을 쳐서라도 꼭 하게 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오늘 학교에서 배운 학습내용을 다시 살펴보고 미숙한 부분이나 꼭 외워 두어야 할 부분, 또 반복 연습해야 할 부분 등을 찾아 복습하도록 한다.

③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아이가 과제를 하거나 시험을 볼 때 방학을 했을 때 부모는 아이에게 적절한 목표를 설정해 주고 격려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오늘 과제를 8시까지 완수하도록 한다든지, 이번 시험목표를 지난번보다 평균 2점을 올리도록 한다든지 하는 것들이 모두 아이에게 학습의 동기를 부여해 주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단, 이 과정에서 아이의 능력보다 지나치게 무리한 목표를 세워 아이가 좌절감을 느끼게 해서는 안 된다. 또 목표를 달성하자마자 또 다른 달성과제를 주어 반발심을 유발하는 우를 범해서도 안 된다. 그렇게 되면 아이는 노력의 대가로 목표를 달성했지만 돌아오는 것은 더 많은 과제일 뿐이라고 생각해 다음부터는 목표달성 속도를 의도적으로 늦추게 된다.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40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52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 더보기

[358] 하루종일 PC를 켜 놓고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800 | 2007.06.13
아직까지 아이들은 인터넷 활용에 있어… 더보기

[359] 발음교정방법

댓글 0 | 조회 1,802 | 2007.06.27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 더보기

[360] 어떻게 해야 아이 말을 제대로 들어줄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612 | 2007.07.10
점점 커 가는 아이는 자기 목소리만 …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45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 더보기

[362] 외모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666 | 2007.08.15
'착한 얼굴', '이기적인 몸매', … 더보기

[363] 공부에 대한 아이 생각을 바꿔 주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1,592 | 2007.08.28
아이가 종종 '공부 싫어', '공부 …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507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18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53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25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 더보기

현재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60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18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38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더보기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5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더보기

[372] 꿈은 있으나 노력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535 | 2008.01.15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 더보기

[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댓글 0 | 조회 2,433 | 2008.01.31
사춘기는 아이로부터 어른으로 옮기는 … 더보기

[374] 계획성 있게 시간을 잘 활용 하려면?

댓글 0 | 조회 1,581 | 2008.02.12
여행을 위해서 가방을 쌀 경우 짐들을… 더보기

[375] 성격에 따른 자녀학습 지도방식

댓글 0 | 조회 1,687 | 2008.02.26
성격이란, 타고난 것도 있고 환경의 … 더보기

[376] 형제간의 우애를 키우려면?

댓글 0 | 조회 2,012 | 2008.03.11
형제자매가 둘 이상인 가정에는 아이들… 더보기

[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67 | 2008.03.26
아이들 중에는 간혹 친구들과 잘못 어… 더보기

[378] 반항이 심해진 아이

댓글 0 | 조회 1,955 | 2008.04.08
그동안 부모의 말을 잘 들었던 것 같… 더보기

[379] 칭찬 없이 아이는 자랄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63 | 2008.04.23
칭찬은 정보다. 어린 아이가 자신이 … 더보기

[380] 아이의 자존감 어떻게 하면 키워지나요?

댓글 0 | 조회 1,787 | 2008.05.13
아이들은 성숙해가면서 스스로 자신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