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내 인종차별에 대처하는 방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학교 내 인종차별에 대처하는 방법

0 개 2,986 이현숙
뉴질랜드 내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해 조사한 바에 의하면 왕따를 당하는 동양인 학생들 중 36%가 인종적인 그리고 문화적인 문제로 인해 불이익을 당한다, 하고 필자가 한국학생들의 스트레스 요인들에 대해 리서치를 통해 발견한 것도 세 명 중 두 명이 학교 내에서 또래 집단이나 선생님으로부터 인종차별을 받아본 적이 있다, 하고 그 중 17%의 학생들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다 응답하였다. 학교 밖에서 일어나는 인종차별도 23%의 학생들이 심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었다 반응했으니 우리 아이들은 학교 안 팎에서 심하던 그렇지 않던 그런 차별적 대우를 받아본 적이 있는 것이다. 
 
왕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우리 자녀가 인종차별을 겪었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가 어떻게 반응하느냐이다. 아마도 많은 분들이 몇 년전 아본데일 칼리지에서 있었던 사건을 기억하실 것이다. 그 사건을 통해 필자가 경험한 것은 우리가 몸은 뉴질랜드에 와 있는 데 마음은 한국스타일이라는 것이다. 그 학생은 분명히 잘못을 했지만 그 사건 전에 인종차별을 심하게 겪었고 그로 인해 십대의 나이에 돌이킬 수 없는 죄를 지었다. 그렇다면 그 학생을 구제하기 위해 인종차별을 겪은 일을 한국이나 뉴질랜드 언론에도 알려서 구제를 선처했어야 했지만 우리는 잘못을 했는데 조용히 있어야 선처를 받는 다는 더 찍혀선 안 된다는 한국식 생각으로 정말 쥐 죽은 듯이 있었고 그 결과는 오히려 이런 일이 다시는 일어나선 안된다는 차원에서 예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뉴질랜드 법원의 표명대로 더 강력한 처벌을 받아서 어린 나이에 1년이라는 시간을 뉴질랜드 감옥에서 실형을 받았었다. 
 
위의 예는 아주 극단적인 것일 수 있지만 필자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인종차별을 당했을 때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고 부모가 자녀들에게 지원군이 되어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위의 예를 든 것은 그 사건이 있으면서 많은 부모님들과 얘기를 나누면서 같은 반응들을 접한 것 때문이다. 많이들 그런 얘길 섣불리 했다가 선생님한테 더 찍히면 안될 것 같아서 아이들 사이에 부모한테 이르기나 하는 루저로 보일까봐 그리고 내 아이가 요즘 반항기인데 자기도 잘못을 했을지도 모르는데… 등등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문제를 피해가려는 모습을 보았기 때문이다. 
 
뉴질랜드 인권위원회(Human Rights Commission)에 따르면 인종차별을 받은 명백한 증거가 있어야 불만을 접수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한다. 본인이 인종차별을 당했다고 느껴진다면 그것만으로도 인종차별을 받았다고 간주한다고 한다. 아이들이 인종차별을 당할 때 그건 분명 잘못된 것이고 그것을 바로 잡는 것은 스스로의 책임이라는 것을 알게 하고 가르친다면 아이들은 문제제기를 하면서 주눅들지 않고 자기가 잘못하지 않은 일 앞에서 당당하게 자신의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되며 그런 경험이 미래의 사회생활에서도 도움이 될 것임이 분명하다. 왜냐하면 직장내의 왕따와 인종차별도 우리에게 심각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단 자녀가 이런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면 부모 스스로 탐정이 되려 하지 말고 자녀들을 통해 가해 학생들의 학년 이름 등을 받아서 학교 담당선생님께 이메일로 정황을 설명하며 조사해 줄 것을 요구하면 된다. 만일 대응이 적극적이지 않으면 한 두번 더 이메일을 보내고(기록은 항상 보관) 그 후 교장과의 면담을 요청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선의 여지가 없을 시 앞서 말한 인권위원회에 연락을 취하여 도움을 받도록 한다. 모든 서비스가 무료이기 때문에 부담없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유학생들도 마찬가지의 과정을 통해 도움을 받도록 하며 인권위원회에서 유학생들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주저 없이 조처를 취할 것을 권한다. 
 
▷ Human Rights Commission:  InfoLine 0800 496 877 / Email: Infoline@hrc.co.nz /한국어 서비스 가능
 
▷ Raeburn House: 09 441 8989 / Email: info@raeburnhouse.org.nz / 한국인 직원근무 

자녀들의 어려움에 너그럽지 못한 부모

댓글 0 | 조회 2,354 | 2016.09.29
청소년들을 상담하면서 그들이 상담실안… 더보기

맹모와 한석봉 어머니에게서 배울 부모의 태도

댓글 0 | 조회 2,362 | 2014.12.24
요즘 들어 부쩍 아이들 교육에 관련된… 더보기

자녀들의 불법을 방관하는 부모들

댓글 0 | 조회 2,384 | 2016.05.25
어느 세대이건 어느 시대이건 부모 몰… 더보기

자녀들 앞에서 기죽는 부모들

댓글 0 | 조회 2,397 | 2014.11.26
<비교의식의 문제> 지금의… 더보기

부모를 의지한다는 것의 의미

댓글 0 | 조회 2,415 | 2016.09.15
자본주의 사회에 살면서 돈이 많은 부… 더보기

시간이 약이 되지 않는 상처들

댓글 0 | 조회 2,432 | 2016.04.14
우리 말에 시간이 약이라는 건 이미 … 더보기

부모에겐 대화, 자녀에겐 잔소리

댓글 0 | 조회 2,451 | 2016.06.23
가끔 각종 모임들에서 가족들이 모이거… 더보기

자녀의 생활 관리에서의 부모의 몫 정하기

댓글 0 | 조회 2,478 | 2016.01.27
자녀들은 계속 성장하고 어린아이였다가… 더보기

방에서 은둔하는 청소년기 아이들: 문제인가?

댓글 0 | 조회 2,480 | 2014.03.11
부모에게는 방에서 꼼짝하지 않는 자녀… 더보기

생떼쓰는 자녀길들이기

댓글 0 | 조회 2,518 | 2016.10.27
이미 십대중반을 지나서 조금은 감정을… 더보기

부모의 원자폭탄과 같은 말들

댓글 0 | 조회 2,613 | 2014.02.12
제목이 다소 과격하다고 느낄 수도 있… 더보기

인맥이 중요한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2,751 | 2015.06.09
며칠 전, 뉴질랜드에 오신지 오래되지… 더보기

급증하는 분노조절장애

댓글 0 | 조회 2,775 | 2016.07.27
한국에서 들려오는 소식중에 점점 묻지… 더보기

현재 학교 내 인종차별에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2,987 | 2012.11.13
뉴질랜드 내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해 조… 더보기

규칙적인 생활이 공부의 습관을 기른다

댓글 0 | 조회 3,031 | 2014.10.30
균형 잡힌 생활이 중요하다는 것을 모… 더보기

도전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녀로

댓글 0 | 조회 3,065 | 2016.02.25
부모는 자녀에 대해 염려투성이인 존재… 더보기

화가 화를 부르는 이유와 결과

댓글 0 | 조회 3,092 | 2016.02.11
요즘 한국 뉴스를 보면 부모가 끔찍하… 더보기

자녀들의 불안증과 염려증

댓글 0 | 조회 3,220 | 2016.06.09
한 학생이 수업 중에 갑자기 숨이 막… 더보기

청소년 시기의 분노 조절

댓글 0 | 조회 3,354 | 2014.02.26
흔히 말하는 질풍노도의 시기인 청소년… 더보기

엄한 부모와 유한 부모 사이

댓글 0 | 조회 3,557 | 2014.12.09
대한민국의 부모 밑에서 자란 자녀들은… 더보기

과연 뉴질랜드 대학은 졸업하기 어려운가?

댓글 0 | 조회 3,811 | 2015.04.15
한국 대학은 들어가기는 힘들지만 나오… 더보기

자녀 양육에서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3,973 | 2014.09.24
벌써 오래 전부터 아버지와 좋은 관계… 더보기

미디어의 폭력성에 노출되어가는 아이들, 그 후폭풍...

댓글 0 | 조회 4,398 | 2014.08.13
많은 분들이 한국 뉴스를 보기 겁난다… 더보기

영화 ‘사도’를 통해 본 부모와 자녀의 갈등

댓글 0 | 조회 5,234 | 2015.11.11
사도세자가 뒤주 속에서 죽어간 것은 … 더보기

뉴질랜드 학교에 적응 못하는 한인 청소년들

댓글 0 | 조회 5,355 | 2014.04.24
아이들이 고등학교 다닐 때 한국에서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