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D 부과 벌금 및 이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IRD 부과 벌금 및 이자

0 개 5,615 코리아포스트
IRD에서 부과하는 벌금에는 상당히 많은 종류의 벌금이 있다. 이런 벌금들은 대부분 개인종합소득세, PAYE, GST신고 관련한 벌금인데, 우선 각 신고별로 벌금에 대해 설명해 보도록 하겠다. 벌금 중 지연납부벌금 (Late Payment Penalty)는 공통이며, 납기 내에 납부하지 못할 경우에는 벌금이외에 미납세금에 대한 이자 연 8.91%가 (2009년 12월 14일 현재) 별도로 부과된다.

개인종합소득세

개인종합 소득세 신고 대상자가 소득세 신고를 신고기한 내에 신고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과세소득이 10만불 미만인 납세자에게는 $50, 과세소득이 10만불 이상 100만불 미만인 납세자에게는 $250의 신고서 미제출 벌금이 부과된다. 종합소득세를 납부기한 내에 납부하지 못할 경우에는 지연납부벌금 (Late Payment Penalty)가 부과된다. 지연납부 벌금은 납부기한 내에 납부되지 않을 시 납부기한 그 다음날에 1%가 부과되고 7일 이내에 납부되지 않을 경우 8일째 되는 날 4%가 부과된다. 그리고, 신고기한이 지나고 한달 이내에 납부되지 않으면 매월 1%씩 지연납부벌금이 추가 부과된다.

PAYE (직원급여세신고)

IRD에 고용주로 등록되어 있는 납세자가 PAYE신고서(IR348)를 신고기한 내에 제출하지 않으면 $250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된 지연납부벌금과 이자가 똑같이 적용된다. 만약에 세금납부 없이 세금신고서만 제출하였을 경우에는 미납부벌금 (Non-payment Penalty)이 부과될 수 있다. 미납부벌금은 매월 미납부금액의 10%씩 부과된다.

GST (부가세신고)

교민업체의 대부분이 입출금기준 (Payment Basis)에 의해 GST신고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업체가 GST신고를 신고기한내에 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신고서 미제출벌금으로 $50이 부과될 수 있다. 참고로, 혼합기준 혹은 Invoice기준 (Hybrid or Invoice Basis)에 의한 GST신고자의 신고서 미제출 벌금은 $250이다. GST를 납부하지 않을 경우에도 역시 상기와 같은 기준의 지연납부벌금 및 이자가 부과된다.

상기의 세금신고별 벌금내용을 살펴보면, 지연납부벌금(Late Payment Penalty)과 이자가 비중이 상당히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대수롭지 않게 느낄 수 있는 부분은 매월 1%가 추가부과되는 지연납부벌금은 매월 복리로 계산된다는 것이다. 간단한 예로, $10,000의 세금을 납기 1년이 지나서 (366일째) 납부되었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기준데로 지연납부벌금을 계산하면 약 $1,720이 되며, 이자는 $891이 된다. 벌금과 이자만을 더할 경우 합계 $2,621이 된다 (연 26.2%이상).

만약에 납부기한내에 세금을 납부하기가 어려워 IRD에 연락하여 분할납부를 신청하고 IRD로부터 승인을 받을 경우, 분할납부신청을 하는 날짜에 지연납부벌금 부과가 정지된다. 하지만, 분할납부 신청하는 날짜까지 부과된 지연납부벌금은 납부를 해야 하며, 미납세액에 대한 이자는 분할납부승인 후에도 계속 부과된다.

모든 회계사무소는 IRD 신고기한과 납부기한에 맞추어 고객의 세무업무를 대행하고 있다. 따라서, 회계사의 서비스를 받는 납세자의 경우에는 불필요한 벌금 및 이자의 부과를 피하기 위해서라도 회계사무소와의 즉각적인 업무협조가 절실하다 하겠다.

▶ 상기의 연재글은 일반적인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실무에 대해서는 의뢰하는 세무/회계사의 조언을 받아 진행하기를 권장합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Ⅳ

댓글 0 | 조회 2,305 | 2012.03.14
이번호에는 사업주로부터 자주 문의를 …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Ⅲ

댓글 0 | 조회 2,349 | 2012.02.29
이번호에는 사업주가 납부하는 ACC에…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Ⅱ

댓글 0 | 조회 2,067 | 2012.02.15
ACC가 징수하는 ACC Levy와 …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Ⅴ

댓글 0 | 조회 2,651 | 2012.02.08
(지난호(466호)에 이어서 계속) … 더보기

ACC (Accident Compensation Corporation) -Ⅰ

댓글 0 | 조회 2,254 | 2012.01.31
이번호를 시작으로 앞으로 3~4회에 … 더보기

고용주에게 유용한 정부 웹사이트

댓글 0 | 조회 2,775 | 2012.01.17
이번호에는 고용주에게 도움을 줄 수 …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Ⅳ

댓글 0 | 조회 2,667 | 2011.12.14
5. Mr Lennard는 Ms Bo…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Ⅲ

댓글 0 | 조회 2,501 | 2011.11.23
(지난호 이어서 계속) 2. Mr L…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Ⅱ

댓글 0 | 조회 2,382 | 2011.11.09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예고했던데로, 이… 더보기

IRD의 납세자 방문 - Ⅰ

댓글 2 | 조회 4,450 | 2011.11.01
IRD는 납세자의 영업장 혹은 가정집… 더보기

은퇴시 고려할 사항

댓글 0 | 조회 4,133 | 2011.10.13
직장 및 사업체 운영에서 은퇴 이후에… 더보기

Independent Earner Tax Credit

댓글 0 | 조회 2,768 | 2011.09.28
이번호에는 지난 2009년 4월 1일… 더보기

회계수수료

댓글 0 | 조회 3,036 | 2011.09.14
일반적으로 사업체의 구매계약에 서명하… 더보기

Hidden Economy

댓글 0 | 조회 2,513 | 2011.08.24
이번 호에는 드러내지 않고 행해지는 … 더보기

홈스테이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2,907 | 2011.08.10
이번 호에는 홈스테이 소득에 대한 신… 더보기

노동당 공약-Capital Gains Tax(CGT)

댓글 1 | 조회 4,597 | 2011.07.26
지난 7월 14일 노동당은 오는 11… 더보기

가족수당 정산시 ‘기타소득’ 정의 변경

댓글 0 | 조회 5,839 | 2011.07.15
가족수당 (Working for Fa… 더보기

2011 정부예산 - 가족수당

댓글 0 | 조회 4,491 | 2011.06.29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2011년 … 더보기

2011 정부예산 - 키위세이버

댓글 0 | 조회 3,409 | 2011.06.15
지난 5월 19일 2011년 정부예산… 더보기

권리금(Goodwill)

댓글 0 | 조회 3,956 | 2011.05.25
일반적으로 영업장을 소지한 사업체를 … 더보기

사업업종 및 사업체 선정

댓글 0 | 조회 3,119 | 2011.05.11
자영업을 고려하고 있는 교민은 제일 … 더보기

2012 PAYE 표

댓글 0 | 조회 3,196 | 2011.04.28
이번 2012세무년도 (2011년 4… 더보기

세금 할부 납부 신청

댓글 0 | 조회 2,958 | 2011.04.13
세무/회계사를 통해서 소득세신고를 한… 더보기

2011년 정부예산

댓글 0 | 조회 2,866 | 2011.03.23
지난 2월 9일 Bill Englis… 더보기

상품재고 관리

댓글 0 | 조회 3,546 | 2011.03.09
업종에 따라 세법상 사업체의 과세소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