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어웰 스핏 → 타카카(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페어웰 스핏 → 타카카(Ⅰ)

0 개 1,709 NZ 코리아포스트
상상 이상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페어웰 스핏

아직 정신도 들지 않았는데 바깥으로 끌려 나가보니 캠퍼밴 밖에 냄비가 있었다. 뚜껑을 열어보니 어젯밤 허영만 화백이 잡은 장어 몇 마리가 꿈틀거렸다. 뉴질랜드에 와서 장어에 물린 후부터 장어는 왠지 만지기도 싫었다. 봉주 형님과 허영만 화백은 장어를 가지고 나가더니 머리를 자르고 토막을 쳐서 부실한 양념과 야채를 넣어 한참을 끓였다. 봉주 형님이 노래를 흥얼거리며 냄비 뚜껑을 열자 진한 비린내와 함께 서서히 수증기가 걷히며 장어 머리가 입을 크게 벌린 채 나를 노려보고 있었다. 토막 친 몸과 머리가 3도 화상을 입은 채 냄비 속에 가득 들어 있는 모습을 보니 도무지 식욕이 나지 않았다. 이걸 어떻게 먹나 했는데, 두 형님들은 머리와 꼬리를 집어 짓궂은 얼굴로 내게 권하면서 감탄사까지 터뜨리며 먹는다. 나는 가리는 것 없이 거의 다 먹는 잡식성이지만 입 벌리고 죽은 미끈한 장어 머리를 아침부터 너무나 맛있게 먹는 두 사람에게는 두 손을 들고 말았다.

남섬의 최북단 페어웰 스핏

페어웰 스핏이 시작점에서 보이는 풍경은 '눈물 나게' 감동적이다. 드넓게 펼쳐진 모래사장은 바람에 날려온 작은 모래알들이 오랫동안 퇴적된 곳으로, 곱고 흰 모래가 길이 35킬로미터, 너비 1킬로미터로 길게 뻗어 있다. 남섬의 최북단이며 교통이 불편해서 단체 관광객은 전혀 보이지 않지만 절대 그냥 지나쳐도 되는 곳은 아니다. 얕은 바다에 계속 모래가 퇴적되어 매년 약 3000평만큼의 땅이 새로 생 기는 페어웰 스핏. 해변 안쪽은 수심이 워낙 완만해서 썰물이 되면 상상할 수도 없이 넓은 모래톱이 육지로 변하는데, 이러한 지형이 새들에게는 먹이를 찾을 수 있는 최적의 장소다. 그래서 페어웰 스핏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새 서식지이기도 하다. 이곳에서는 약 90종류의 새가 서식하는데 흑조, 물떼새 등을 비롯해서 펭귄까지 매우 다양하다. 특히 밀물 때 물이 차면 새들이 모두 해안가로 밀려 올라오기 때문에 가까이서 새들을 관찰할 수 있다.
 
썰물 때 생기는 얕고 넓은 모래톱은 새들에게는 좋은 서식지이지만, 물고기들에게는 무서운 덫이 되기도 한다. 특히 시야가 좁은 고래나 돌고래가 얕은 곳에 고립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일을 스트랜딩(Stranding)이라고 한다. 스트랜딩의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는데, 이 지역은 세계적인 스트랜딩 지역으로 한 번에 100마리의 고개가 스트랜딩된 기록이 있다. 고래는 허파로 숨을 쉬는 동물이지만 육지에 올라오면 물의 부력을 받지 못해, 스스로의 무게에 내장이 짓눌려 파열되어 죽는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피어슨 호수 → 아서스 패스(Ⅳ)

댓글 0 | 조회 1,952 | 2010.10.13
어쨌든 우리도 옛 뉴질랜드 선인들의 … 더보기

피어슨 호수 → 아서스 패스(Ⅲ)

댓글 0 | 조회 1,639 | 2010.09.29
노다지를 찾아 아서스 패스(Arthu… 더보기

피어슨 호수 → 아서스 패스(Ⅱ)

댓글 0 | 조회 1,845 | 2010.09.16
아이켄 산 산행소화나 할 겸 데블스 … 더보기

피어슨 호수 → 아서스 패스(Ⅰ)

댓글 0 | 조회 1,959 | 2010.08.25
아침부터 달그락 소리가 나서 보니, …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 피어슨 호수(Ⅱ)

댓글 0 | 조회 1,970 | 2010.08.11
허정 PD, 드디어 도착하다 기다림이…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 피어슨 호수(Ⅰ)

댓글 0 | 조회 1,596 | 2010.07.28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더보기

모투나우 해변 → 크라이스처치(Ⅱ)

댓글 0 | 조회 1,752 | 2010.07.14
우리의 또 다른 관심사였던 로빈씨 부… 더보기

모투나우 해변 → 크라이스처치(Ⅰ)

댓글 0 | 조회 1,678 | 2010.06.23
부스럭 소리에 잠에서 깨니 부실한 저… 더보기

카이코우라 → 모투나우 해변(Ⅱ)

댓글 0 | 조회 1,721 | 2010.06.10
한적한 곳에서 밤을 보내기 위해 우린… 더보기

카이코우라 → 모투나우 해변(Ⅰ)

댓글 0 | 조회 1,669 | 2010.05.26
전체 인구 3600여 명의 작은 도시… 더보기

블레넘(Ⅱ)

댓글 0 | 조회 1,562 | 2010.05.11
뮬러 투르고(Muller Thurga… 더보기

블레넘(Ⅰ)

댓글 0 | 조회 1,773 | 2010.04.28
와인 구입하기 좋은 곳부지런한 허영만… 더보기

아벨 태즈먼 국립공원→케이블 베이(Ⅱ)

댓글 0 | 조회 1,915 | 2010.04.14
넬슨으로 돌아오다넬슨의 슈퍼마켓에서 … 더보기

페어웰 스핏 → 타카카(Ⅱ)

댓글 0 | 조회 1,813 | 2010.03.09
피부 역시 자외선에 매우 민감하기 때… 더보기
Now

현재 페어웰 스핏 → 타카카(Ⅰ)

댓글 0 | 조회 1,710 | 2010.02.24
상상 이상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페어… 더보기

넬슨→골든 베이(Ⅲ)

댓글 0 | 조회 1,683 | 2010.02.10
와이코로푸푸 스프링스이곳 골든 베이에… 더보기

넬슨→골든 베이(Ⅱ)

댓글 0 | 조회 1,858 | 2010.01.27
1. 중국 음식 주문하기저렴한 가격의… 더보기

넬슨→골든 베이(Ⅰ)

댓글 0 | 조회 2,396 | 2010.01.12
"북섬이여, 안녕!" 남섬으로 내려가… 더보기

파라파라우무→웰링턴(Ⅱ)

댓글 0 | 조회 1,990 | 2009.12.22
바람과 자진의 도시 웰링턴오후 3시 … 더보기

파라파라우무→웰링턴(Ⅰ)

댓글 0 | 조회 1,841 | 2009.12.08
어제 잠들기 직전부터 슬그머니 가족들… 더보기

통가리로 국립공원→와이오우루(Ⅱ)

댓글 0 | 조회 2,165 | 2009.11.25
통가리로 국립공원에서 와이오우루 군인… 더보기

통가리로 국립공원→와이오우루(Ⅰ)

댓글 0 | 조회 1,732 | 2009.11.10
밤새도록 불던 강풍과 우박이 아침이 … 더보기

타우포(Ⅲ)

댓글 0 | 조회 1,707 | 2009.10.27
우리가 오늘 저녁 야영하는 곳은 통가… 더보기

타우포(Ⅱ)

댓글 0 | 조회 1,790 | 2009.10.14
허영만 화백은 한참을 망설이다가 젖은… 더보기

타우포(Ⅰ)

댓글 0 | 조회 1,660 | 2009.09.22
드디어 아침이 밝았다. 허영만 화백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