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님 코끼리 만지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장님 코끼리 만지기

0 개 4,655 코리아포스트
장님들이 제각기 코끼리 몸의 한 부분만을 만져 보고는 자기가 만진 부분이 코끼리라고 우기는 이야기가 있다. 꼬리를 만져 본 장님은 코끼리가 '밧줄과 같다'고 하고, 다리를 만져 보고 '기둥과 같다', 옆구리를 만져 보고 '벽과 같다', 코를 만져 보고 '부드럽고 굵은 대롱과 같다', 그리고 상아를 만져 보고는 '창과 같다'고 한다. 자기가 만져 본 것이 코끼리 몸의 일부분인 줄 모르고 코끼리를 다 아는 것처럼 주장한다. 아무도 코끼리를 제대로 모르면서 자기만이 코끼리를 바르게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는 옳고 다른 장님은 다 틀렸다고 한다. 심지어는 발전한 의료기술 덕분에 개안수술(開眼手術)을 받고 눈을 떠서 코끼리의 모습을 제대로 본 장님이 코끼리의 참모습을 이야기해 주어도 듣지 않고 오히려 눈을 뜬 장님보고 틀렸다 하고 끝까지 자기가 옳다고 고집부리는 장님마저 있다. 세월이 흐르면서 장님세계에 사는 장님들은 코끼리를 만져 본 적이 없어 코끼리를 알지도 못하면서 각자 자기가 옳다고 생각하거나 자기의 취향에 맞는 장님에게로 모여들어 派를 만든다. 그리고는 서로 자기 派가 맞고 다른 派는 틀렸다고 하면서 싸운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장님들은 자기가 맞는지 틀리는지도 모른다. 다른 장님에게 자기 주장을 하지만 자기확신이 없기 때문에 끊임없는 의문의심과 번뇌 속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그러면서도 자기는 옳고 다른 장님은 틀렸다고 하면서 그것을 증명하기 위해 수단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제각기 경험한 것에서 형성된 자기만의 기준 잣대를 들이대어 그 기준에 맞으면 받아들이고 맞지 않으면 배척한다. 옳으니 그르니 시비분별(是非分別)에 끝이 없고 대립ㆍ갈등이 끊이질 않는다. 이와 같은 일들은 각자가 자기가 경험한 것만 알고 있고, 그 관념 속에 갇혀(묶여)있기 때문이다.

이 장님들은 지혜도 없다. 눈을 뜬 장님은 코끼리가 덩치가 크고 힘이 세며 성질이 온순하다는 것을 알았다. 그리고 코를 팔처럼 사용한다는 것도 알았다. 그래서 코끼리를 길들여 무거운 짐을 운반하도록 하면 되겠다는 지혜를 가지게 되었다. 만일 다른 장님들이 자기의 관념을 벗어 던지고 눈뜬 장님의 말을 받아들였다면 그와 같은 지혜를 터득하게 되었을 것이다. 마음을 열고 다른 장님의 주장을 하나하나 귀담아 듣기라도 했더라면 정확하지는 않더라도 대충 코끼리가 어떠하리라고 짐작할 수가 있고 자기가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세상을 사는 우리는 어떠한가? 태어나 살면서 보고 듣고 경험한 것에서 형성된 좁디 좁은 자기의 관념 속에 갇혀 있는 줄도 모르고, 또 수많은 의문 의심 속에 있으면서도 나는 옳고 남은 틀렸다고 하고 있지는 않은지. 내가 아는 것이 많고 잘났다고 생각하면서 그것을 내세우며 살고 있지나 않는지. 나의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보면서 시비분별을 하고 번뇌 지으며 자기중심적으로 살고 있지는 않은지.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백(餘白) - II

댓글 0 | 조회 2,391 | 2011.01.14
해는 저물어 가는데 천길 만길 낭떠러…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Ⅲ)

댓글 0 | 조회 2,719 | 2010.12.22
가지미와 바라미의 어머니는 행여나 가…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Ⅱ)

댓글 0 | 조회 2,832 | 2010.12.08
세월이 흘러 가지미는 어깨가 떡 벌어… 더보기

가지미와 바라미의 꿈(Ⅰ)

댓글 0 | 조회 2,889 | 2010.11.24
가지미와 바라미에게는 한 순간도 놓은… 더보기

숲 속의 나무처럼

댓글 0 | 조회 2,903 | 2010.11.10
햇빛을 좋아하는 양지 식물이 먼저 숲… 더보기

마음으로 짓고 부순다

댓글 0 | 조회 2,753 | 2010.10.28
해는 땅에 있는 만물에게 차별을 두지… 더보기

북한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41 | 2010.10.13
바깥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차단되어 살… 더보기

두 물방울 이야기

댓글 0 | 조회 2,792 | 2010.09.29
수많은 빗방울이 모여서 작은 도랑을 … 더보기

창조질서의 파괴

댓글 0 | 조회 3,104 | 2010.09.15
이 세상은 조화자체이다. 만물만상이 … 더보기

여백(餘白)

댓글 1 | 조회 2,733 | 2010.08.25
여행에 필요한 것들을 배낭에 넣었습니… 더보기

보고만 있겠는가

댓글 0 | 조회 2,807 | 2010.08.11
낭떠러지 건너편 절벽 위에 예쁜 꽃이… 더보기

물웅덩이(Ⅲ)

댓글 0 | 조회 2,605 | 2010.07.28
하늘을 떠돌던 구름이 빗방울 되어 땅… 더보기

물웅덩이 (Ⅱ)

댓글 0 | 조회 2,985 | 2010.07.14
물이 흐르다가 움푹 패인 곳이 있으면… 더보기

솔직하고 용기 있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2,720 | 2010.06.22
꽤 오래 전 어느 스님이 돌아가시면서…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582 | 2010.06.10
러시아의 문호 푸시긴은 ‘세상이 나를… 더보기

시련과 축복

댓글 0 | 조회 2,672 | 2010.05.26
세상을 살다 보면 하는 일이 순조롭게… 더보기

늑대소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105 | 2010.05.12
인도에서 실제로 있었던 이야기이다. … 더보기

금강산에 가봐야 금강산을 안다

댓글 0 | 조회 2,542 | 2010.04.28
한아름이와 공 모름이는 친구 사이인데… 더보기

하루살이와 매미와 나비

댓글 0 | 조회 5,039 | 2010.03.23
"세상에는 낮 밖에 없어.”하고 하루… 더보기

큰 삶

댓글 0 | 조회 2,376 | 2010.03.09
자기와 가족만을 위한 삶은 세상 사람… 더보기

어리석음

댓글 0 | 조회 2,034 | 2010.02.24
자기 속에 갇혀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 더보기

마음과 골프

댓글 0 | 조회 2,202 | 2010.02.09
골프를 잘 칠 수 있는 비결몸은 마음… 더보기

아프리카 초원의 사자

댓글 0 | 조회 2,517 | 2010.01.26
아프리카 초원에 사는 사자는 햇볕 속… 더보기

흐르는 물

댓글 0 | 조회 2,170 | 2010.01.13
흐르는 물은 머물지 않는다. 흐르는 … 더보기

모두 다 잘 사는데

댓글 0 | 조회 2,403 | 2009.12.09
자갈밭에 떨어진 씨앗은 그 곳이 메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