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새 우 깡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14] 새 우 깡

0 개 2,961 코리아타임즈
새우 먹겠다고 바쁘게 달려온 세시간여의 여행, 그게 목적은 아니었지만 서울에서 모처럼 여행온 딸애를 위한 관광코스 중에 하나였기에 안내를 맡은 큰사위가 점심때를 맞추느라 애를 쓴다.
  조금 늦은 점심때, 출출해진 속에 달작지근하게 입맛 땡기는 새우의 유혹으로 기대감이 부푼다. 그는 일 때문에 자주 다니는 길목이어서 가끔씩 들린다고 하지만 우리는 이런 기회가 아니면 쉽게 맘먹고 와 볼 수가 없질 않은가. 바둑판처럼 반듯반듯하게 나뉘어진 마치 시골 논 못자리같은 양식장이 꽤 넓게 자리한 가운데 커다란 건물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차에서 내리는 순간 바다 냄새와 다른 특유하게 비릿한 냄새가 후각 속으로 파고든다. 지열 발전소가 멀지 않은 산 자락에, 거리에서 흘러나오는 따뜻한 물을 이용해서 양식장을 만들었다던가.
  깨끗하고 넓은 홀에는 일부러 알고 찾아온 관광객들이 제법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가운데 큼직한 난로에서 활활 타 오르는 불길이 커텐도 없이 썰렁한 실내에 따뜻한 온기를 전해준다. 근접한 양식장을 직접 내다 볼 수있도록 유리문으로만 만든 모양이다. 여름철엔 문밖 테이블에 앉으면 좋을 것 같은데 비취파라솔 밑에 테이블이 썰렁하게 비어있다. 더러 밖에 나가 빵을 뜯어 던져주는 사람들이 보인다. 받아 먹는 새우들의 멋진 곡예를 보기 위해서겠지. 온갖 새우의 요리가 거기에 다 있는 것 같다.
  아이들과 일행 여섯이 제각각 다른 것으로 시켜본다. 갖가지 맛을 다 보자는 생각에서…, 새우스프, 새우버거, 새우 샐러드 등 새우를 포식하는 날인가.  쫀득한 마늘빵에 겯드려서 스프가 부드럽고 맛있다. 모두가 우리 입맛에 잘 맞았지만 맨 나중에 여러 가지 것들을 함께 섞어서 버무린 우리들 자작요리(?)가 최고의 맛임에 놀랐다. “새우 야채 과일 올 소스 믹스”라 할까.
  여행은 보는 것만이 즐거운게 아니고 색다른 음식을 먹어 보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데 그 자리에서 금방 건져 올린 생물을 요리해 먹는다는 신선함 같은게 재미롭다. 한국 같으면 가는 곳마다 토속음식이 있어 도토리묵이며 산채비빔밥, 더덕구이 같은 먹거리도 많아 먹는 재미가 특별한데 여기는 그런게 없질 않은가. 서해안 새우 소금구이가 한창이던 옛날 생각이 간절하다.
  화장실에 다녀온 아이들이 거기도 새우가 있다고 희안해 한다. 문 손잡이까지 새우를 깎아 만든 아이디어가 기발하고 철저하다.
  허기진 배를 채우고 밖의 매장에 나오니 큼직한 어항 속에서 새우들이 놀고 있다. “새우도 까맣다.” 어린 손녀가 하는 말이다. 빨간 새우를 먹었는데 살아 있는 것은 까맣다는 말. 어떤 며느리가 시아버님이 좋아 하시는 게를 사려고 시장에 갖는데 온통 검정 게만 있을뿐 빨간게가 없어 실망해서 돌아왔다. “아버님이 잘 잡수시는 빨간게가 없어서 못 사왔는 걸요. 그건 어디서 파나요?”
“내 눈에는 온통 빨간게 뿐이던데 네 눈엔 그게 모두 검게 보이던가 보다”
  살림물정 모르는 며느리가 하도 우스워서 그렇게 말해 한바탕 웃었다는 우리 집안 이야기가 있다. 그 이야기를 아이가 알고 있어 익히면 빨개진다는 것을 저는 안다고 제법 뻐기는 말투다.
“어머 이거 새우깡 아냐!!”누군가가 놀래서 하는 말에 우루루 쫓아 가보니 우리의 그 유명한 새우깡이 진열대위에서 자랑스럽게 우리를 반기고 있었다. 그도 우리처럼 먼 길을 떠나와 새우의 진수를 보여주는 이 집에서 단단히 한 몫을 하고 있구나 생각하니 친구를 만난 듯 반갑고 감회로웠다. 한국 식품점에서나 볼 수 있었던 것을 이런 곳에서 보게 되니 휠씬 그 진가가 돋보였다. 새우깡이 처음 나왔을 시절에 엄청 먹어댔던 생각이 난다. 시도 때도 없이 주전부리에 맥주 안주로도 얼마나 사랑을 받았나. “메이드 인 코리아”가 자랑스럽다. 옆의 낯선 얼굴들이 들으라고 “메이드 인 코리아”라고 한 번 더 소리쳐 본다. 이래서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말을 하게 되나 보다. 배도 부르지만 정신적인 충만감이 더 앞서 이번 여행이 멋지게 시작됨을 마음속으로 자축했다.
  밖에 나오니 태공들이 낚시를 드리우고 앉아 있는 모습이 먼 발치로 보였다. 그것도 투어 이벤트의 하나라니 짧은 시간에 얼마나 잡을런지…, 허지만 스낵과자 새우깡 하나로 코리안의 자부심을 낚은 우리의 기쁨을 어찌 따를소냐.  

그 남자의 6. 25

댓글 0 | 조회 3,293 | 2011.06.28
시니어클럽 ‘무지개’에 나오시는 분들… 더보기

서울 일기

댓글 0 | 조회 3,289 | 2009.10.27
9월 00일"여보시요 안녕하슈?" "… 더보기

봄이 오는 소리

댓글 1 | 조회 3,228 | 2008.09.24
연일 쏟아지는 비속에서 그토록 안달하… 더보기

나의 기쁨조 사람들

댓글 0 | 조회 3,207 | 2008.12.23
이 해도 마지막 달, 한 해를 마무리… 더보기

"DOULOS"의 사람들

댓글 0 | 조회 3,181 | 2008.08.13
그 날은 왜 그리도 비바람이 사나웠는… 더보기

사람 구경

댓글 0 | 조회 3,168 | 2009.06.23
온갖 새들이 지저귀는 아름다운 합창의… 더보기

검은 진주 가족의 아름다운 삶

댓글 0 | 조회 3,160 | 2009.01.28
딸 다섯에 막내로 아들 하나, 그 아… 더보기

희망을 주는 사람들

댓글 0 | 조회 3,104 | 2009.03.24
이른아침 산책길에서 만난 이름모를 진… 더보기

2010년 11월에는...

댓글 0 | 조회 3,087 | 2010.12.22
수도 없이 바뀌고 반복되는 세월속에서… 더보기

마음밭에 심기운 꽃

댓글 0 | 조회 3,078 | 2010.02.23
산자와 죽은자가 함께 동거한다는 부산… 더보기

[375] 짧은 만남, 긴 행복

댓글 0 | 조회 3,068 | 2008.02.26
금년(2008년) 설에 내 가족모임은… 더보기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Ⅱ)

댓글 0 | 조회 3,043 | 2010.06.22
진도대교 앞. 자그마한 모텔에 여장을… 더보기

쌀밥에 뉘

댓글 0 | 조회 3,034 | 2008.10.30
주차장 옆, 시커먼 고목나무 팔 벌린… 더보기

[379] 이 가을에는.....

댓글 0 | 조회 3,033 | 2008.04.23
강산이 변한다는 십 년 세월에도 나를… 더보기

나눔의 기쁨

댓글 0 | 조회 3,019 | 2011.04.28
큼직한 상자에 여러 옷가지들과. 먹을… 더보기

[299] 사랑하는 나의 진정한 친구 K에게

댓글 0 | 조회 3,010 | 2005.09.28
해도 마지막 저무는 달이 다가왔군요.… 더보기

[327] 캔노인과 인삼차

댓글 0 | 조회 3,007 | 2006.02.27
휘휘익~ 가느다랗게 금속성으로 울리는… 더보기

현재 [314] 새 우 깡

댓글 0 | 조회 2,962 | 2005.09.28
새우 먹겠다고 바쁘게 달려온 세시간여… 더보기

꿈나무 동산

댓글 0 | 조회 2,956 | 2009.05.26
거기는 활기차고 초롱초롱한 눈망울의 … 더보기

[347] 나 홀로 밥상

댓글 0 | 조회 2,944 | 2006.12.22
나를 먼저 사랑해야 다른 사람도 사랑… 더보기

[383] 일탈(逸脫)의 쾌감

댓글 0 | 조회 2,943 | 2008.06.25
길고 긴 여름 가뭄에 늦더위가 기승이… 더보기

[349] 고국에서 가을 단풍이…

댓글 0 | 조회 2,939 | 2007.01.30
해가 바뀌니 내가 원치 않아도 어김없… 더보기

[288] 영정 사진을 찍으며

댓글 0 | 조회 2,925 | 2005.09.28
아직은 아니에요. 10년쯤 후에나 찍… 더보기

[371] 예술처럼 늙고 싶다

댓글 0 | 조회 2,905 | 2007.12.20
"이제 늙고 볼품없어 제대로 보아주는… 더보기

주부(主婦) 실종시대

댓글 0 | 조회 2,902 | 2014.04.24
정신없이 흐려지는 시각을 거역이라도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