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흑산

0 개 1,203 김영안

초창기에 종교의 탄압은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도 존재한다.

 

무언가 새로운 것을 받아 들이기까지는 고난의 세월을 보내고 공인(公認) 되기까지는 오랜 세월을 필요로 한다. 

 

현재 서방세계를 지배하는 기독교 역시 초기에는 로마 시대의 숱한 탄압을 견디어 낸 후 콘스탄티누스 대제 때 정식 국교로 인정받았다. 

 

불교 역시 마찬가지로 우리나라 들어 올 때 많은 수난을 겪었다.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 천주교가 들어 온 것은 조선 말기 실학파를 중심으로 중국으로부터 들어 왔다. 수많은 박해를 거듭하면서 많은 순교자들이 나왔다. 이런 역경을 견디어 내면서 서서히 민초 속으로 뿌리를 내렸다.

 

 

2017년 신작 소설 ‘공터에서(해냄)’로 베스트셀러를 만들어 낸 원로 작가 김훈(金勳)은 서울 사람으로 1948년생이다. 고려대학교 영문학과를 중퇴하고 나서 <한국일보>에 들어가 신문기자 생활을 시작한다. 한국일보를 거쳐 <시사저널>과 <한겨레신문> 등에 적을 두기도 했다. 

 

신문기자를 그만둔 뒤 본격적으로 전업 소설가로 나선다. 그 동안 지은 책으로 에세이『내가 읽은 책과 세상』,『선택과 옹호』,『문학기행1, 2』(공저),『풍경과 상처』,『자전거 여행』등과 소설『빗살무늬토기의 추억』,『칼의 노래』,『현의 노래』,『강산무진』,『남한산성』등이 있다. 그는 이 순신 장군을 그린‘칼의 노래(생각의 나무-2001)’로 동인문학상을 수상했다.

 

 

역작을 내고 난 후 오랜 침묵을 깨고 이 책‘흑산(학고재-2011)’을 세상에 내 놓았다.

 

313257befb170a1fb43d24217a4eaa5f_1498547804_7938.jpg

 

제목이 암시하듯 흑산도를 주제로 쓴 소설이다. 소설은 정약전의 귀양 이야기를 중심으로 풀어 갔지만 전반적으로 조선의 천주교 박해의 역사에 대한 것이다.

 

순조 즉위 후 1801년 신유박해로 동생 정약종은 순교하고, 정약전(흑산도)과 정약용(강진)은 유배길에 오른다. 정약전은 조선 정조시대에 최고의 석학으로 알려진 정약용의 둘째 형이다.

 

정 약용은 겉으로 배교를 해서 생명을 부지하게 된다.

 

비록 개인적으로는 비굴하게 삶을 구걸했지만 조선 후기의 정치. 문학사 상에 눈부신 산출물들을 보면 도리어 우리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조선 시대에 대부분 하층계층에 천주교가 퍼졌고 기득권 세력인 권력층에 많은 박해를 받았다. 그래서 기생, 노비 마부 그리고 역관 등 서민층의 피해자가 많았다.

 

일부 선각자인 양반층도 동참했는데 그 중심에 정약용 가문이 그 중심에 있었다.

 

그로 인해 정약용 가문은 많은 피해를 보았다. 본가는 물론 사위도 피해 갈 수 없었다.

 

새로운 문물이 들어오는 데 많은 저항과 희생은 필연적이다.

 

흑산도는 요즈음에는 관광과 홍어 잡이로 유명하지만, 조선 시대에는 유배지에 불과했다.

 

그래서 정약용의 형 정약전이 유배를 가서 살 던 곳이다.

 

정약전은 그 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면서 물고기의 상태를 파악한‘자산어보(玆山魚譜)’를 집필했다.

 

자산어보에‘창대(昌大)’가 말하기를, 이라는 표현을 통해‘장 창대’라는 인물이 아홉 번 나온다.

 

‘창대’라는 현지 어민의 도움으로 책을 집필한 것이다.

 

이 책의 서문에서도 덕순 장창대란 인물과 함께 연구하여 책을 완성했다고 밝혔다.

 

실제 해부한 듯이 물고기를 묘사한 것이 자못 놀랍고, 그의 뛰어난 관찰력이 우리나라 어류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이 책 제목에 대한 이견도 있다.‘자산어보’가 아닌‘현산어보’라는 이론이다. 최근‘자산어보’를‘현산어보’라고 부르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그 발단은 정약전은‘자산어보’의 서문에‘자산자 흑산야(玆山者 黑山也)’라는 구절을 남겼다. 자산이 곧 흑산이라는 뜻이다. 또한 옥편에는‘자’자가‘잔 초목이 우거지다’라는 의미로 쓰이며, 검다는 의미로 사용할 때는‘현’이라고 읽는다 고 설명되었다. 또 다른 해석은 자(玆)는 검을 현(玄)자를 중복해서 쓴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결국 현산은 흑산을 또 다른 이름이라는 뜻이라는 것이다.

 

한 사람의 삶은 비록 미미하지만 역사에 한 획을 그을 수 있는 것도 바로 그 한 사람이다.

 

‘태산의 한 줌의 흙도 버리지 않았기에 큰 산이 되었고, 황화는 실개천의 물 한줄기도 버리지 않았기에 그 깊이를 유지할 수 있다’라는 이사(李斯)의 말과 같이 작은 것일지라도 모이면 큰 것을 이룰 수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노력이 모여 우리 역사를 만들고 후세에 까지 밝혀 주는 것이다. 

한시 미학 산책(漢詩美學散策)

댓글 0 | 조회 854 | 2017.11.21
독서를 하다 보면 나름대로 독서 취향… 더보기

동양고전이 뭐길래

댓글 0 | 조회 1,121 | 2017.08.08
지난 번까지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야… 더보기

화인열전

댓글 0 | 조회 1,165 | 2017.04.12
해외 여행 중 시간이 허락되면 반드시… 더보기

희망의 귀환

댓글 0 | 조회 1,191 | 2019.01.16
그 동안 여러 방면의 책을 골고루 읽… 더보기

아버지의 편지

댓글 0 | 조회 1,195 | 2017.07.11
세미나의 메카인 제주의 5월은 무척이… 더보기

파스칼의 팡세

댓글 0 | 조회 1,199 | 2018.01.31
이 번주부터는 그 동안 우리 나라와 … 더보기
Now

현재 흑산

댓글 0 | 조회 1,204 | 2017.06.27
초창기에 종교의 탄압은 어느 나라, … 더보기

Art is

댓글 0 | 조회 1,229 | 2018.04.11
뉴욕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메트로폴리… 더보기

옆으로 본 우리 고대사..

댓글 0 | 조회 1,230 | 2017.02.08
컬럼을 시작하면서,* 21세기의 문맹… 더보기

최근 서점에는 CEO시리즈가 범람하고 있는데...

댓글 0 | 조회 1,232 | 2018.07.25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어제와 오… 더보기

중용, 인간의 맛

댓글 0 | 조회 1,241 | 2017.09.13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으로는… 더보기

1Q84

댓글 0 | 조회 1,288 | 2017.12.19
인문학 산책 (21)요즈음 우리 세대… 더보기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만 책은 사람을 만든다

댓글 0 | 조회 1,306 | 2018.08.08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 더보기

문명의 배꼽, 그리스

댓글 0 | 조회 1,355 | 2019.01.31
영국의 대영박물관에 가면 건물입구가 … 더보기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책 만들기란?

댓글 0 | 조회 1,365 | 2018.08.23
최근 인터넷 조사에서 지하철에서 결혼… 더보기

댓글 0 | 조회 1,369 | 2018.03.28
사물과 사물 사이의 빈 공간을 틈이라… 더보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73 | 2018.12.11
‘헐!’요즈음 아이들이 쓰는 신조어가… 더보기

인간의 길을 묻다

댓글 0 | 조회 1,405 | 2017.10.26
방대한 중국 역사를 우리는 주로 소설… 더보기

미국 문화에 대한 애교 넘치는 독설, '발칙한 미국 문화'

댓글 0 | 조회 1,411 | 2018.07.11
나의 첫 해외 여행은 1981년 뉴욕… 더보기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댓글 0 | 조회 1,415 | 2017.04.26
요즈음 명화 마케팅이 한창이다. 모 … 더보기

역사 스페셜

댓글 0 | 조회 1,432 | 2017.02.22
흔히 TV를 바보상자라고 한다. 비정… 더보기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댓글 0 | 조회 1,442 | 2017.03.22
위대한 우리 문화 유산의 전도사인 전… 더보기

그리스, 로마신화

댓글 0 | 조회 1,464 | 2018.02.15
우리는 불가능한 일을 이루었을 때 기… 더보기

양보와 소외된 계층에 대한 배려로 윈윈할 수 있는 세상...

댓글 0 | 조회 1,474 | 2018.09.13
​지식e우리나라 대선 정국에는 항상 … 더보기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댓글 0 | 조회 1,477 | 2019.02.27
무려 11시간 반의 비행을 해야 도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