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0 개 1,434 김영안

위대한 우리 문화 유산의 전도사인 전 문화재 청장 유홍준의 한국인의 교양필독서인‘나의 문화유산답사기(창비, 2011)’전집을 읽어 보기를 권한다.

 

이 책은 1993년 1권을 필두로 94년에 2권, 97년에 3권, 그리고 98년에 북한답사기를 거쳐 2011년 제6권이 새롭게 개정 증보되어 나왔다. 

 

약 20년 동안 이렇게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은 책은 흔치 않다. 뿐만 아니라 유명 소설도 아닌 재미가 별로 없는 인문학 책으로는 거의 없었다고 본다.

 

저자는 이 책 외에도‘국보’,‘화인 열전 1. 2’등 우리 문화에 대한 좋은 책들을 많이 썼다.

 

그 동안 십 수년 동안 한 권, 한 권 출판될 때마다 관심을 끌었지만, 2차 개정 해서 나온 전집 6권을 구입해 한꺼번에 완독하는 것도 또 다른 묘미가 있다.

 

초판에 비해 일단 모든 화보가 컬러로 바뀌었고, 그 동안 오류나 미진한 부분이 보완 되었으며, 특히 그 동안 개발되어 흉물화된 부분도 지적하여 시대 감각도 같이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전집 중 가장 핵심적인 첫 책과 최근에 나온 책, 그리고 북한 지역 답사를 읽고 나니, 우리 문화 유산에 대한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통상 유적지하면 경주이고, 그리고 가장 볼 거리가 많이 남아 있는 곳이 서울(한양)인데, 저자는 이 두 곳을 피하고 강진의 남도를 그 첫 번째로 잡은 것이 특이했다.

 

경상도에는 유학자들이 많았지만, 남도에는 유명 문인이 많이 귀양가서 살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남도를 흔히 예향(藝鄕)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가 익히 아는 윤선도, 김정희, 정약용 등이 귀양지에서 뿌린 문화 유산들 덕이다.

 

그 중 한국의 다빈치라고 부를 수 있는 조선 후기 실학파 문인 다산 정약용이 귀양 살이 하던 강진을 기점으로 제 1권 (남도 답사 일 번지)의 답사가 시작된다.

 

저자는 미술 평론가로 주로 불교 미술에 조예가 깊어 주로 절을 중심으로 답사 코스가 설계되었다.

 

제 4권 북한 편(평양의 날은 개었습니다.)을 보면서 문화 지킴에는 우리가 북한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체제 선전용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문화와 역사관을 주입시키려는 노력은 높이 살 만하다. 묘를 개방해서 보여 주라는 상부의 특별 지시를 거절한 북한의 문화 지킴이는 존경스러울 정도다. 

 

개발과 보존이라는 서로 상반된 개념을 어떻게 슬기롭게 조화를 이루냐 하는 것이 큰 화두로 떠올랐다.

 

6권 (인생도처유상수)은 기존 패턴과는 조금 다르게 경복궁을 중심으로 엮어졌는데, 저자가 경회루를 일반에 참관을 개방하는 것에 찬성하는 것 까지는 동감하나 연회에 까지 개방 하는 것에 대해서는 조금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선암사의 화재를 막기 위해 석등까지 치울 정도로 세심하신 분이 어째서 경회루를 참관하는 것이 아니라 연회 장소로 사용을 하면 훼손되는 것이 불 보듯 뻔한데 강조하는지 너무 지나친 논리의 비약인 것 같다. 

 

서구의 사례를 들어 당위성을 강조 했는데 서구의 유적지는 대부분 석조이기에 훼손이 적지만, 목조인 우리 건물은 쉽게 훼손되기 때문이다.

 

‘나의 문화답사기 7(창비, 2012)’은 잊혀져 가는 섬 -탐라의 역사와 현재를 답사한 것이다. 제주도에는 바람, 돌, 여자가 많아 삼다도라 하고, 도둑, 거지, 대문이 없어 삼무를 말한다. 여기에 더해 제주에는 삼보가 따로 있다. 그것은 자연, 민속, 언어이다.

 

2007년 6월 27일 뉴질랜드 크라이스처치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31차 총회에서 만장일치로‘제주 화산섬과 거문 오름 용암 동굴계가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음을 선포합니다’라고 통과되었다.‘8권 남한강 편(창비 2015)’외에‘일본편 1.2.3.4’역시 일독해 볼만 하다. 우리 문화가 어떻게 일본에 전해졌고 그 유적이 남아 있는 현장을 생생히 그려 놓았다.

 

결론적으로 우리 나라는 남. 북한을 통틀어서 전 국토가 박물관이라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아는 만큼 느낀다’고 무심이 지나는 절간의 돌과 석탑 그리고 현판들이 모두 사연을 가지고 있다. 외형을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사연 (컨텐츠: contents)를 알고 보면 그 의미가 더 깊어 진다.

 

저자는‘답사에는 세 가지 큰 즐거움이 있으니 하나는 일상에서 벗어나는 기쁨이요, 하나는 아름다운 자연과 문화유산을 보는 기쁨이요, 하나는 맛있는 향토음식을 먹는 기쁨이다.’라고 했다.

 

눈과 마음과 배가 모두 즐거운 게 바로 답사이다. 

 

c2f0edbb08b098ed2fef04f8b57c5bb0_1490129660_4095.jpg
 

한시 미학 산책(漢詩美學散策)

댓글 0 | 조회 842 | 2017.11.21
독서를 하다 보면 나름대로 독서 취향… 더보기

동양고전이 뭐길래

댓글 0 | 조회 1,111 | 2017.08.08
지난 번까지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야… 더보기

화인열전

댓글 0 | 조회 1,158 | 2017.04.12
해외 여행 중 시간이 허락되면 반드시… 더보기

희망의 귀환

댓글 0 | 조회 1,179 | 2019.01.16
그 동안 여러 방면의 책을 골고루 읽… 더보기

아버지의 편지

댓글 0 | 조회 1,185 | 2017.07.11
세미나의 메카인 제주의 5월은 무척이… 더보기

파스칼의 팡세

댓글 0 | 조회 1,185 | 2018.01.31
이 번주부터는 그 동안 우리 나라와 … 더보기

흑산

댓글 0 | 조회 1,193 | 2017.06.27
초창기에 종교의 탄압은 어느 나라, … 더보기

Art is

댓글 0 | 조회 1,214 | 2018.04.11
뉴욕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메트로폴리… 더보기

옆으로 본 우리 고대사..

댓글 0 | 조회 1,223 | 2017.02.08
컬럼을 시작하면서,* 21세기의 문맹… 더보기

최근 서점에는 CEO시리즈가 범람하고 있는데...

댓글 0 | 조회 1,224 | 2018.07.25
인문의 숲에서 경영을 만나다어제와 오… 더보기

중용, 인간의 맛

댓글 0 | 조회 1,231 | 2017.09.13
동양 철학의 근간을 이루는 고전으로는… 더보기

1Q84

댓글 0 | 조회 1,277 | 2017.12.19
인문학 산책 (21)요즈음 우리 세대… 더보기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만 책은 사람을 만든다

댓글 0 | 조회 1,294 | 2018.08.08
독(毒)과 도(道)사람이 책을 만들지… 더보기

문명의 배꼽, 그리스

댓글 0 | 조회 1,345 | 2019.01.31
영국의 대영박물관에 가면 건물입구가 … 더보기

디지털 시대에 살아남는 책 만들기란?

댓글 0 | 조회 1,350 | 2018.08.23
최근 인터넷 조사에서 지하철에서 결혼… 더보기

댓글 0 | 조회 1,355 | 2018.03.28
사물과 사물 사이의 빈 공간을 틈이라… 더보기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댓글 0 | 조회 1,362 | 2018.12.11
‘헐!’요즈음 아이들이 쓰는 신조어가… 더보기

미국 문화에 대한 애교 넘치는 독설, '발칙한 미국 문화'

댓글 0 | 조회 1,395 | 2018.07.11
나의 첫 해외 여행은 1981년 뉴욕… 더보기

인간의 길을 묻다

댓글 0 | 조회 1,397 | 2017.10.26
방대한 중국 역사를 우리는 주로 소설… 더보기

선비의 생각, 산수로 만나다

댓글 0 | 조회 1,402 | 2017.04.26
요즈음 명화 마케팅이 한창이다. 모 … 더보기

역사 스페셜

댓글 0 | 조회 1,425 | 2017.02.22
흔히 TV를 바보상자라고 한다. 비정… 더보기
Now

현재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댓글 0 | 조회 1,435 | 2017.03.22
위대한 우리 문화 유산의 전도사인 전… 더보기

그리스, 로마신화

댓글 0 | 조회 1,456 | 2018.02.15
우리는 불가능한 일을 이루었을 때 기… 더보기

양보와 소외된 계층에 대한 배려로 윈윈할 수 있는 세상...

댓글 0 | 조회 1,462 | 2018.09.13
​지식e우리나라 대선 정국에는 항상 … 더보기

내 인생에 용기가 되어준 한마디

댓글 0 | 조회 1,464 | 2019.02.27
무려 11시간 반의 비행을 해야 도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