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이의 Academic English는 문제가 없는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내 아이의 Academic English는 문제가 없는가?

0 개 1,259 이현숙

학교만 간다고 영어실력이 쑥쑥 늘고 키위친구들도 사귀고 한국에 비해 느슨한 교육환경이니 웬만큼 하면 대학가는 것은 문제가 없다고 여기시는 부모님들이 의외로 많다. 그러나 뉴질랜드에 온지 일년에서 사 년까지의 학생들 중 한국에서도 실력이 있었고 어려서부터 영어공부를 꾸준히 해온 학생들 외에는 여전히 영어의 어려움이 전과목에 영향을 미치고, 학교 숙제 하느라 수업 따라 가느라 시험 대비해서 무조건이라도 외우자 정신 없이 따라만 가다 보면, 영어실력은 향상되지 않았는데 학년은 올라 가고 그에 따라 레벨도 상승하면서 다시 그런 힘든 시간을 반복한다.

사실 뉴질랜드에서 태어나서 자랐다고 또 영어에 문제가 없느냐 하면 그것도 아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 중에 학창시절 내내 국어 백 점, 수능국어과목 만점 그리고 논술도 높은 점수를 받으신 분들이 얼마나 많은가?

키위학생들도 고등학교에서 공부 못해서 대학 못 가고 대학 가서도 학년을 못 올라 가는 것이 현실이다. 즉 학문적인 영어를 공부를 하거나 아니면 어려서부터 책을 많이 읽어서 언어적 문학적 한계가 없지 않다면, 학교에서의 영어는 말 잘하고 잘 듣는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닌 것이다.

여기서 더 문제인 것은 이런 자녀들의 영어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는 부모님들이 많지 않고 십대의 자녀들은 고민들을 부모에게 잘 털어놓지 않아서 13학년이 돼서 대학에 실패하거나 빠르면 Level 1 NCEA 성적의 결과로 화들짝 놀라고 충격을 받는 부모님들이 많다. Year 9 이나 10 때 영어과목에서 좋지 않은 성적을 받아도 대부분은 나아지겠지 생각하시고 아직 앞으로 시간이 많다 여기기도 하고 자녀의 말하기 영어 실력만을 생각하고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Academic English는 대학에서도 꾸준히 요구되어지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 상당한 이슈가 될 수 있다.

자녀들의 입장에서 보면, 영어공부를 해야 하지만 학교 공부도 따라 가야 해서 두 가지 토끼를 모두 놓치며 전전긍긍해 하면서도 부모님께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 이른다. 그런 학생들을 만나게 되면 필자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아 단기간에 영어실력을 향상하는데 투자할 것을 권한다.

즉 매일 영어 공부를 위해 특정한 양의 시간을 배정해 놓고는 영어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나머지 시간에 학교에서 요구하는 숙제나 평가준비를 하는 것이다. 마음이 조급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고는 문제가 심각해질 뿐 해결 할 답은 없다. 이 과정을 해내기 위해서는 부모의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면 당장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면 공부는 하는 것 같은데  집중은 하지 않고 대충했다는 오해를 하기 쉽기 때문이다. 

영어를 향상시키는 방법들은 다양하지만, 영어기초 즉 문법이나 기본적인 단어들 문장구조를 익히기 위해 읽기를 하고 non-fiction 책들을 읽으면서 world issues에 대해 지식을 넓혀가고 문제들을 사고해보고 나름대로의 생각을 정리해보고 에세이를 쓰는 연습들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구사회의 학교들은 학생들의 사고를 요구하는 교육을 하므로 스스로 생각해보고 의견을 내고 해결 방안을 궁리해 보는 연습과 자세가 절실하다. 다양한 과목들이 있지만 결국은 모두 동일하게 이러한 논리적 사고능력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녀의 상태를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려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이 있더라도 과목별로 하는 Parents meeting에 가서 자녀와 함께 각 과목 선생님들을 만나 자녀의 상태를 정확히 아는 것이 우선 되야 한다. 부족한 부분이 있으면 선생님들로부터 조언을 구하고 방법을 찾아보고 이메일 주소를 직접 받아와서 틈틈이 연락하면서 지속적으로 현실적인 도움을 주기를 권한다.

아이들의 고민에 어떻게 반응하세요?

댓글 0 | 조회 1,171 | 2013.04.24
한 학부모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는데 아… 더보기

현재 내 아이의 Academic English는 문제가 없는가?

댓글 0 | 조회 1,260 | 2012.12.11
학교만 간다고 영어실력이 쑥쑥 늘고 … 더보기

근절되어야 할 가정 내 폭력

댓글 0 | 조회 1,300 | 2013.01.16
사랑의 매라는 말이 남용되면서 오랜 … 더보기

한인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한국사람이라는 정체성

댓글 0 | 조회 1,302 | 2013.07.24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 더보기

정말 필요한 수험생들의 스트레스 해소

댓글 0 | 조회 1,366 | 2013.11.12
이제 드디어 NCEA시험을 코 앞에 … 더보기

대학 가기 위한 진로고민과 과목선정

댓글 0 | 조회 1,406 | 2013.06.26
한국 학생들의 고민 중에 가장 큰 부… 더보기

뉴질랜드 청소년들도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댓글 0 | 조회 1,440 | 2013.09.10
뉴질랜드 교육체계가 한국현실에 비하면… 더보기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는 청소년들

댓글 0 | 조회 1,451 | 2013.07.10
필자가 하필이면 아침에 일어나지 못해… 더보기

부모가 되는 데도 자격이 필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460 | 2013.03.12
아기를 낳아 기르는 것은 지구상에서 … 더보기

이 번 필리핀재해에 대해 자녀들과 무엇을 나누셨나요?

댓글 0 | 조회 1,467 | 2013.11.27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에 대해 기대하는… 더보기

몸을 아프게 만드는 자녀들의 심리

댓글 0 | 조회 1,505 | 2015.03.11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상식이다, 마…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부모역할

댓글 0 | 조회 1,508 | 2012.12.21
지난 호에서 밝혔듯이 내 자녀의 영어… 더보기

Parents interview(학부모 면담)에 꼭 참여하세요!

댓글 0 | 조회 1,514 | 2013.03.27
유학생들은 부모님이 계시지 않으니 홈… 더보기

여름 방학의 생사를 결정하는 성적표

댓글 0 | 조회 1,549 | 2015.12.23
이제 학기를 모두 마치고 긴 여름방학… 더보기

자녀들의 건강한 대인관계의 출발

댓글 0 | 조회 1,579 | 2015.10.15
얼마 전, 건전한 이성관계를 위한 강… 더보기

스마트 폰이 빼앗고 있는 우리 자녀들의 창의력

댓글 0 | 조회 1,581 | 2013.04.10
얼마 전 어느 미디어를 통해 &ldq… 더보기

관계성이 중요한 뉴질랜드 학교생활

댓글 0 | 조회 1,591 | 2013.02.13
새 학기가 시작되고 아이들이 학교로 … 더보기

불편한 학교생활, 전학이 최선인가?

댓글 0 | 조회 1,607 | 2013.09.25
의외로 많은 학생들이 전학에 대해 문… 더보기

자녀의 미래를 설계하는 부모들

댓글 0 | 조회 1,637 | 2015.01.29
요즘 나이든 분들 중에서 자녀들을 키… 더보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해 아는 부모의 힘

댓글 0 | 조회 1,638 | 2015.05.12
상담을 하면서 종종 부모들을 오시라 … 더보기

선을 긋는 관계가 주는 긍정적인 영향

댓글 0 | 조회 1,646 | 2015.07.28
우리나라 문화는 집단 중심적이여서 개… 더보기

IS, 시리아 난민, 파리테러와 우리 자녀들의 미래

댓글 0 | 조회 1,650 | 2015.11.25
IS(이슬람 국가)의 테러는 지금 지… 더보기

Cyber Safe (인터넷 중독)

댓글 0 | 조회 1,654 | 2012.10.25
지난 호에서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설… 더보기

성적과 우선순위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669 | 2015.06.24
시험을 마치고 성적이 나오면 상담실을… 더보기

자살율 1위 강대국, 대한민국: 우리 아이들은 절망한다(Ⅰ)

댓글 0 | 조회 1,687 | 2012.09.26
새삼스러운 일이 아닌 소식이다, 우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