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 불면증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4] 불면증

0 개 2,276 KoreaTimes
흔히 ‘사람이 밥 잘 먹고, 화장실 잘 가고, 잠 잘 자면 건강하다'라는 말을 많이 한다. 우리가 쉽게 생각하고 지나쳐버리는 이러한 기본적인 것들이 사실은 우리의 건강과 가장 크게 직결되는 문제인 경우가 많은데, 그 한 예로 주변에서 잠을 푹 자지 못해 날마다 괴로워하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다.

사람은 잠을 통해 낮동안 쌓였던 정신적ㆍ육체적 피로를 말끔히 씻어내고 새로운 활력을 회복한다. 그런데 만약 2~3일을 계속 자지 못한다면 졸린 것은 물론이고 정신집중이 안되어 착각ㆍ환시ㆍ환각 등이 나타나고, 심한 경우 정신분열증 같은 착각과 망상에 빠지며, 말과 행동이 몹시 거칠어지기도 한다.

잠은 누구에게나 중요하지만, 특히 성장기 어린이는 잠자는 동안에 성장 발육이 더욱 촉진되고 또 산모는 유선을 자극하는 호르몬이 수면 중에 많이 분비되므로 키가 크고 모유를 잘 나오게 하려면 잠을 충분히 자야 한다.

이렇게 중요한 잠을 잘자지 못하는 증세를 불면증이라고 한다. 사실 불면증은 잠을 자지 못하는 것뿐만 아니라 잠이 들어도 깊은 잠을 자지 못하거나 자주 깨는 증세까지 모두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바로 습관성 불면증이라고 할 수 있다. 여행이나 결혼, 주위 사람의 죽음 등 갑작스러운 충격 때문에 일시적으로 불면증이 생기는 경우는 대개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회복되지만 이 습관성 불면증은 대부분 만성적인 긴장이나 불안이 원인이므로 지속적으로 잠을 이루지 못하고, 그 때문에 환자 자신이 겪는 고통이 매우 크다.

불면증 증세는 잠을 잘못 이루는 것이 주된 증세이지만, 환자에 따라 이로인해 유발되는 식욕부진, 피로감, 눈의 피로, 주의력과 집중력 감퇴, 두통, 변비, 가슴 두근거림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한의학에서는 불면증을 심장의 문제로 보고 이를 다스려주는 약물과 침구치료를 통해 불면증을 해소한다. 더불어 효과적인 수면 방식은 사람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발은 따뜻하게 하고, 가슴과 머리는 약간 서늘하게 하며, 등은 따뜻하게 하고 자는 것이다.

잠이 오지 않는다고 수면제를 복용하고 잠드는 습관은 일시적인 효과를 보일 뿐, 결국 병을 더욱 만성화시켜 치료를 어렵게 한다. 이 때는 오히려 적당한 운동이나 노동으로 신체를 움직이는 근육활동을 하여 긴장과 불안을 없애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잠을 자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고, 마음의 평화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348] 한약의 효능

댓글 0 | 조회 3,525 | 2007.01.15
일반적으로 한약은 효과가 더디다고 한… 더보기

[347] 피부 건강

댓글 0 | 조회 2,533 | 2006.12.22
사람의 피부는 내부 기관을 보호하고 … 더보기

[346] 척추건강

댓글 0 | 조회 2,630 | 2006.12.11
일상생활에서 어떤 특정한 동작을 할 … 더보기

[345] 일광욕

댓글 0 | 조회 2,510 | 2006.11.27
여름 휴가철이면 바다나 산을 찾는 사… 더보기

[344] 인체의 소우주

댓글 0 | 조회 2,409 | 2006.11.13
한의사라는 직업상 진료실에서뿐만 아니… 더보기

[343] 아침식사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3,025 | 2006.10.24
많은 사람들이 바쁘다는 이유로, 특히… 더보기

[342] 봄의 생기

댓글 0 | 조회 2,432 | 2006.10.09
일반적으로 사람이 봄처럼 생기발랄하다… 더보기

[341] 최악의 발명품, 보행기와 하이힐

댓글 0 | 조회 3,230 | 2006.09.25
척추측만증이란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면… 더보기

[340] 관절염 환자‘편한 신발 신어라'

댓글 0 | 조회 2,507 | 2006.09.11
평균수명이 늘고 고령화 사회로 진입함… 더보기

[339] 단순 요통과 병적인 요통

댓글 0 | 조회 2,384 | 2006.08.21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번은 요통을 경… 더보기

[338] 난소낭종

댓글 0 | 조회 3,161 | 2006.08.08
난소낭종은 부인과 질환 중에서 나이에… 더보기

[337] 골다공증

댓글 0 | 조회 2,438 | 2006.07.25
우리 몸의 뼈는 일정 상태를 그대로 … 더보기

[336] 우울증

댓글 0 | 조회 2,138 | 2006.07.11
우울증 기분에 빠져 의욕을 상실한 채… 더보기

[335] 신경성 위염

댓글 0 | 조회 2,610 | 2006.06.27
예로부터 ‘밥이 보약이다'라는 말이 … 더보기

현재 [334] 불면증

댓글 0 | 조회 2,277 | 2006.06.13
흔히 ‘사람이 밥 잘 먹고, 화장실 … 더보기

[333] 공황장애

댓글 0 | 조회 2,514 | 2006.05.22
누구든 중요한 시험을 치거나 면접 또… 더보기

[332] 파킨슨병

댓글 0 | 조회 2,405 | 2006.05.10
운동을 심하게 했을 때나 긴장했을 때… 더보기

[331] 탈모증

댓글 0 | 조회 2,305 | 2006.04.26
머리를 감을 때나 머리를 빗을 때 머… 더보기

[329] 고혈압

댓글 0 | 조회 2,282 | 2006.03.29
날씨가 갑자기 싸늘해지면 혈압이 높은… 더보기

[328] 차가운 배

댓글 0 | 조회 2,756 | 2006.03.29
혈액순환이 안되면 열 균형이 깨져요 … 더보기

[327] 구내염

댓글 0 | 조회 2,124 | 2006.02.28
비타민을 많이 섭취하세요 ******… 더보기

[326] 편도선염의 예방과 치료

댓글 0 | 조회 2,233 | 2006.02.14
소금물로 목 안을 청소해요 *****… 더보기

[325] 편도선 질환

댓글 0 | 조회 2,145 | 2006.01.31
과로나 스트레스 등으로 심신이 지쳐 … 더보기

[324] 코 풀기와 코 세척하기

댓글 0 | 조회 3,164 | 2006.01.16
축농증이나 비염으로 코가 안에 많이 … 더보기

[323] 정력이 문제

댓글 0 | 조회 2,345 | 2005.12.23
대부분의 남성들은 40대부터 정력이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