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

0 개 2,745 성태용

뉴질랜드는 다양한 법령으로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를 정의하고 있기에 뉴질랜드에서 일을 하거나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를 잘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피고용인의 권리에 비해 많이 다뤄지지는 않지만 흔히 말하는 고용주의 권리는 요건이 충족되었다는 전제하에 원하는 사람을 고용할 권리, 업무를 지시할 권리, 징계절차를 진행할 권리, 직원성과관리 절차를 진행할 권리, 해고를 할 수 있는 권리 등이 있습니다. 


피고용인의 최소 기본 권리는 서면 고용계약서를 가질 권리, 최저임금을 받을 수 있는 권리, 휴식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연 4주의 연차휴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 10일의 병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최장 3일의 유급 사별 휴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육아휴가를 받을 수 있는 권리, 연 11일의 공휴일에 쉴 수 있는 권리, 공휴일에 일할 경우 그에 합당한 보상(1.5배 임금, 대체휴일)을 받을 권리, 법적인 근거 없이 임금을 공제받지 않을 권리, 일한 시간과 받은 임금에 대한 기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 휴가를 가거나 공휴일 일한 기록을 받을 수 있는 권리, 임금을 돈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 법원에 배심원으로 참여해야 할 경우 무급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 등 입니다. 



이 외에도 피고용인은 나이, 국적, 인종, 피부색, 성별, 장애, 종교, 결혼 여부, 정치적 색깔, 노조참여 여부 등으로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피고용인의 최소 기본 권리는 법령으로 보장된 것이기에 고용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고 하여도 적용되며 고용주와 피고용인이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최소 기본 권리의 적용에서 열외가 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임금 인상, 보너스, 정리해고시 보상금, 재택근무는 피고용인의 권리가 아닙니다. 재택근무의 경우 피고용인이 재택근무를 신청하는 것은 가능하나 고용주는 비즈니스적인 필요를 이유로 재택근무 요청을 거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와는 별개로 고용주에게는 피고용인에게 안전한 직장을 제공할 의무,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피고용인을 대할 의무, 공정한 절차를 따를 의무 그리고 정당한 사유를 가지고 행동할 의무가 있습니다. 안전한 직장을 제공할 의무의 경우,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질병 등에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직장에서의 성추행 또는 직장내 괴롭힘 등에서 안전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동일하게 피고용인에게도 합의된 시간에 출근해야 하는 의무, 고용주의 지시를 수행해야 하는 의무, 지식과 능력을 사용하여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의무, 주의를 기울여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의무, 합리적으로 행동해야 하는 의무,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일해야 하는 의무, 그리고 직장에서 보건과 안전에 유의할 의무가 있습니다. 


피고용인과 고용주 모두에게 적용되는 의무는 신의성실의 원칙에 따라 행동해야 하는 의무입니다. 신의성실의 원칙의 일반적인 의미는 상대방의 신뢰에 반하지 않도록 성의있게 행동할 것을 요구하는 원칙이지만 고용법에서는 훨씬 광범위한 의미를 가집니다. 


그 중 가장 핵심적인 세가지는 

1. 피고용인과 고용주가 서로를 속이지 않을 것, 

2. 피고용인과 고용주가 서로 소통하고 신속하게 답변할 것, 

3. 고용주가 피고용인이 일자리를 잃을 수 있는 결정을 내리기 전에 피고용인이 의견을 제시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와 정보를 주는 것 입니다. 


▲ 이 칼럼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법률적인 자문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61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동종업계 이직제한

댓글 0 | 조회 1,294 | 2024.04.23
고용재판의 절대 다수는 피고용인이 고… 더보기

직원의 번아웃

댓글 0 | 조회 899 | 2024.03.26
번아웃이란 과도한 업무량, 충분하지 … 더보기

학생의 육아출산 수당 수급

댓글 0 | 조회 1,069 | 2024.01.30
뉴질랜드에서 육아출산 수당 수급 자격… 더보기

국민당 정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321 | 2023.12.23
지난 칼럼에서는 국민당이 선거에서 승… 더보기

SNS 게시글로 인한 해고

댓글 0 | 조회 1,948 | 2023.11.28
일반적으로 피고용인이 퇴근 후에 하는… 더보기

고용계약서 서명 전 고용주가 해야 하는 4가지

댓글 0 | 조회 999 | 2023.10.25
드물지 않게 고용주가 까다로운 면접을… 더보기

강제 정년 퇴직

댓글 0 | 조회 1,620 | 2023.09.26
정년은 직장에서 물러나도록 정해져 있… 더보기

통과된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093 | 2023.08.22
작년 칼럼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뉴…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3)

댓글 0 | 조회 1,261 | 2023.07.26
차량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우버(U… 더보기

무보수 인턴

댓글 0 | 조회 2,167 | 2023.06.28
고용시장이 부진한 경우 정식 일자리를… 더보기

임시 복직명령 (interim reinstatement)

댓글 0 | 조회 1,324 | 2023.05.23
2023년 말부터 경기가 안좋아질것으… 더보기

한인 교회 16만불 배상 판결

댓글 0 | 조회 3,594 | 2023.04.25
최근 고용관계청이 판결한 LABOUR… 더보기

고용법 개정 동향

댓글 0 | 조회 1,029 | 2023.03.27
2018년 고용관계법이 크게 개정된 … 더보기

고용법 위반 150만불 벌금 판결

댓글 0 | 조회 1,737 | 2023.02.28
최근 고용법원이 판결한 Te Puna… 더보기

직원이 허리 통증을 호소한다면?

댓글 0 | 조회 1,092 | 2023.01.31
하루 종일 모니터 작업을 하는 경우가… 더보기

우버드라이버는 고용된 직원인가 2

댓글 0 | 조회 3,444 | 2022.12.20
스마트폰 앱을 통해 자사 소속의 차량… 더보기

대규모 단체협약

댓글 0 | 조회 814 | 2022.11.22
공정임금계약법 (Fair Pay Ag… 더보기

강화될 외국인 노동자 착취 근절법

댓글 0 | 조회 1,617 | 2022.10.26
작년 칼럼에서는 예전에는 외국인 노동… 더보기

되돌릴 수 없는 고용분쟁 합의서

댓글 0 | 조회 1,484 | 2022.09.28
일반적으로 분쟁이 발생할 경우 소송을… 더보기

허울뿐인 승소

댓글 0 | 조회 1,957 | 2022.08.23
기업법에는 기업장막이라는 개념이 있습… 더보기

부당해고 역대 최고액 배상 판결

댓글 0 | 조회 2,951 | 2022.07.26
최근 저희 Shieff Angland… 더보기

현재 고용주와 피고용인의 권리와 의무

댓글 0 | 조회 2,746 | 2022.05.24
뉴질랜드는 다양한 법령으로 고용주와 … 더보기

오렌지 라이트전환으로 인해 변경된 고용주의 의무

댓글 0 | 조회 1,892 | 2022.04.27
뉴질랜드 신호등 시스템 방역체계가 주… 더보기

백신접종 의무화 명령 무효 판결

댓글 0 | 조회 1,802 | 2022.03.23
작년 말 칼럼에서는 뉴질랜드 정부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