웃는 남자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웃는 남자

0 개 1,835 김영안

53c44accc13fa02305ec4c17d7da7ce1_1525991010_3071.jpg
 

‘행복한 가정은 모두 비슷한 점이 있지만, 불행한 가정은 제각각 다른 모습으로 불행하다’.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리나>의 첫 문장이다. 

 

주인공인 한 여성의 비극적인 삶을 그렸지만 실은 그를 사랑했던 시골 농장을 운영하는 조연 남자의 삶을 톨스토이가 바라는 행복한 인생이라고 한다. 이 작품이 극장가에 흥행을 일으켰다. 

 

요즈음 극장가에서는 고전 소설의 대작들이 속속들이 영화화되어 흥행에 성공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프랑스의 빅토르 위고의 <레 미레자블(민음사: 2012)>이다. 빅토르 위고는 1802년 2월 26일 브장송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나폴레옹 휘하의 장군이었고, 어머니는 왕당파 집안의 출신이었다. 

 

시(詩)《가을의 나뭇잎 Les Feuilles d’automne 1831》,《황혼의 노래 Les Chants du crepus cule 1835》,《마음의 소리 Les Voix interieures 1837》,《빛과 그림자 Les Rayons et les ombres 1840》와 희곡《마리옹 드 로름 Marion de Lorme 1831》,《왕은 즐긴다 Le Roi s’amuse 1832 》,《뤼 블라 Ruy Blas 1838》,《뷔르그라브 Les Burgraves 1843》등을 발표하였다. 

 

특히 소설에는 불후의 걸작으로 꼽히고 있는《노트르담 드 파리 Notre Dame de Paris 1831》가 있다. 나폴레옹 3세를 비난하는《징벌시집(懲 罰詩集) Les Chatiments 1853》, 딸의 추억과 철학사상을 노래한《정관 시집(靜觀詩集) Les Contemplations 1856》, 인류의 진보를 노래한 서사 《여러 세기의 전설 La Legende des siecles 1859》, 장편소설 《레 미제라블 Les Miserables 1862》,《바다의 노동자 Les Travailleurs de la mer 1866》,《웃는 사나이 L’Homme qui rit 1869》등을 발표하였다.

 

중학교 때 소년소녀 문학전집에 ‘장발장’이라는 제목으로 이 책을 처음 접했다. 여러 번 영화로 제작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지만 최근에 뮤지컬로 재 구성되어 아카데미 상의 여우 조연상도 수상을 했고, 그것을 패러디한 여러 유투브 소품-레 밀리터리블 등 이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그의 또 다른 명작 ‘웃는 남자(열린 책들: 2011)’역시 영화화 되어 흥행을 예고하고 있다. 위고 스스로 이보다 더 잘 쓴 소설은 없다고 말하고 있는 작품으로 조커(joker)라는 새로운 캐릭터를 유행시켰다. 

 

비단 이 영화뿐만 아니라 미국의 스코트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문학동네: 2009)’도 미남배우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를 주연으로 흥행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하게 활용하는 원 소스 멀티 유즈(OSMU: one source multi use)의 방식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기존에는 만화나 소설에서 영화로, 다시 캐릭터로 매체를 바꾸는 방식을 통해 재활용을 했다. 반대로 영화에서 다시 책으로도 변신해 두 산업이 서로 크로스 마케팅을 벌여 상부상조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같은 매체 속에서 스토리를 바꾸는 방식으로도 진화하 고 있다. 이런 방식으로 스토리나 구성을 새롭게 바꾸어 어린이 동화들이 재 구성되어 새롭게 성인 영화로 만들어지고 있다.

 

우리에게 ‘오버 더 레인보우(over the rainbow)’라는 팝송으로 잘 알 려진 프랑크 바움의 <오즈의 마법사( 더클라식: 2013)>가 ‘오즈 더 그레이트 앤 파워풀(OZ The great and powerful)’로 오즈의 마법사가 되기 전의 스토리로 환타지 영화를 만들어 냈고, <잭과 콩나무>는‘잭 더 자이 트 킬러(Jack the giant killer)’로 3D 영화로 재탄생하였다. 

 

그림 형제의 <백설공주와 난장이( 예림아이: 2012>는 ‘스노우 화이트(snow white)’로 변신해 미녀 배우 줄리아 로버츠를 미녀 마녀로 등장시켜 기존 고정관념을 깼다. 또한 <헨젤과 그리텔(비룡소: 2009)>’은 남성 마초 배우인 제럴드를 마녀 사냥꾼으로 재 구성해 성인용 블록버스터로 둔갑했다. 이처럼 원작을 배경으로 하여 새롭 게 재창조해내는 창의력이 관객을 끌어 모으고 있다.

 

어리석은 사람은 과거의 ‘경험’ 에서 배우고, 현명한 사람은 ‘역사’에서 배운다고 했다. 없는 것을 새롭게 만들어 내는 것이 창조이지만 있는 자산을 재활용하는 것도 역시 창조이다. 

 

우리의 문화 자산을 발굴하고 새롭게 비틀어서 세계적인 작품을 만들어 내야 한다. 새롭게 창조하는 기술은 과학에서 나오지만 기상천외한 아이디어와 상상력은 인문학에서 나온다. 

 

아이디어를 재구성해 새로움을 만들어 내는 것이 바로 창의력이다. 

 

창의력이 우리의 살 길이며, 우리의 미래다.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627 | 2일전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651 | 2일전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546 | 2일전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05 | 2일전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35 | 2일전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00 | 3일전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477 | 3일전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05 | 3일전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187 | 3일전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19 | 3일전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290 | 3일전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47 | 3일전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61 | 6일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52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40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46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73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42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38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45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491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894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 더보기

두 죽음의 방식: 홍세화와 서경식

댓글 0 | 조회 549 | 2024.05.14
▲ 왼쪽부터 고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더보기

우리 명상은 철저한 내공

댓글 0 | 조회 169 | 2024.05.14
명상에는 크게 외공(外功)과 내공(內… 더보기

쓰레기통을 내어 놓다가

댓글 0 | 조회 990 | 2024.05.1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양이 발걸음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