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회-책임을 파는 사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소회-책임을 파는 사람

0 개 2,209 이동온
변호사가 된지 올해로 만 10년을 찍는다.

가끔, 아주 가끔 스스로에게 질문을 할 때가 있다.  십오년 전으로 돌아간다면 그 때에도 법을 공부하고 변호사의 길을 걷게 될까.  항상 같은 질문을 하고, 매번 똑같은 대답을 얻는다.  진로에 대해 별 고민 없이 다시 법을 공부하고 당연하게 변호사가 되어, 역시나 가끔 똑같은 질문을 할거라고.

회사에 출근하는 것이 즐겁고, 고객을 만나는 것을 즐겁고, 경험해보지 못한 색다른 종류의 의뢰를 받았을 때 눈이 반짝여진다면, 이 직업은 아마도 천직이리라.  금전적인 대우의 크고 작음에 개의치않고, 업무의 강도에 연연하지 않으며,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스트레스와 고뇌를 잠시 망각한다면, 이 직업은 충분히 매력적이리라.

십 년이란 시간에 초심을 잃고 간혹 교만에 빠질 듯 하면 필자는 존 그리샴 아저씨의 오래된 소설 the rainmaker나 the street lawyer를 찾아 다시 읽어본다.  처음 변호사로 임용될 때의 설렘과, 이력서가 담긴 편지봉투를 우체통에 넣을때의 초조함, 그리고 처음으로 출근하던 날의 뿌듯함을 떠올리면 한동안 다시 열심히 일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

‘책임을 파는 사람’은 언젠가 필자가 글을 모아 책을 내게 된다면 쓰려고 하는 제목이다.  십 년간 법조계란 거창한 이름의 호수에서 변호사란 이름으로 유영해본 결과, 필자가 생각하는 변호사란 책임을 파는 사람이다.

독자께 질문 하나 드려볼까 한다.  뉴질랜드에 오기 전 한국에서 변호사를 만나 선임해본 경험이 있으신가? 경험이 있다면 몇 차례 변호사를 선임해본 경험이 있으신가? 그리고 뉴질랜드에 와서는 어떠하신가?  필자의 생각으로는 한국에서 변호사를 선임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은 극히 적을 것이고, 뉴질랜드에서 변호사를 선임해 본 경험이 있으신 분은 그보다 압도적으로 많을 것이다.  이 차이점은 각 국가에서 변호사들이 하는 주 업무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변호사의 주 업무는 송무(소송업무)와 자문일 것이다.  그 중, 대한민국에서 변호사를 찾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소송이 그 이유이고, 뉴질랜드에서 변호사를 찾는 사람들의 주 목적은 자문이 아닐까 생각한다.  고객의 입장에서 유능한 변호사란 소송에서 이길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사람보다는 애초에 소송이 일어날 수 없도록 위험요소를 없애주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그런 의미에서 변호사의 자문업무는 소송업무 이상 고객에게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사실 넓은 의미에서는 송무 역시 자문의 연장선이 아닐까 싶다.)

법은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만들어간 최소한의 규칙이다.  그런데 법은 생각보다 찾기도 힘들고, 읽고 이해하기는 더 어려울뿐더러, 이해했다 하더라도 생활에 알맞게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변호사란 사람들이 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필요한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머리를 자르러 미용실에 가고 영어를 배우러 학원에 가듯이 변호사 역시 법률자문이 필요할 때 가서 보는 사람이고 변호사가 파는 것은 법률자문이란 이름의 ‘서비스’이다.  변호사가 고객에게 제공한 자문에는 책임이 따른다.  그렇다면 변호사가 파는 것은 결국 책임이 아닐까.

이번 칼럼은 필자가 코리아포스트에 본명으로 작성한 200번째 법률 칼럼이다.  칼럼보다는 일기장에 더 어울리는 글도 적지 않았음을 떠올린다.  필자는 코리아포스트 편집장께 송고를 한 후에 지난 칼럼을 절대 읽어보지 않는다.  괜시리 얼굴이 화끈거릴까봐 부끄러워서 그렇다.  칼럼을 쓰면서 부족한 한국어 실력에 국어책도 읽어보고 나름대로 공부를 하면서 부족함을 채워보려 노력했지만 독자들에게는 생소한 단어와 난해한 문맥 그리고 어색한 표현들이 눈에 들어왔을 것을 짐작하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  그 동안 보내주신 성원과 격려에 감사 드리며, 추후 기회가 된다면 더 나은 글로 찾아 뵐 것을 약속 드린다.

오미크론 변종 FLiRT

댓글 0 | 조회 1,897 | 3일전
신종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 더보기

'2025 한국대학 입시 분석 및 대응 전략'

댓글 0 | 조회 477 | 3일전
드디어 한국대학들이 각 대학별로 20… 더보기

오토파지 디톡스가 이런 일까지도 한다

댓글 0 | 조회 412 | 7일전
오토파지와 디톡스는 살아 있는 세포로… 더보기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794 | 2024.05.29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812 | 2024.05.29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728 | 2024.05.29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61 | 2024.05.29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82 | 2024.05.29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21 | 2024.05.28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563 | 2024.05.28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58 | 2024.05.28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204 | 2024.05.28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46 | 2024.05.28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360 | 2024.05.28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215 | 2024.05.28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87 | 2024.05.25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82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76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81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90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58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64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78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533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930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