엉뚱함과 창의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엉뚱함과 창의성

0 개 947 명사칼럼

영국에서 들은 속담… 한 구두 수리하는 사람이 일 감이 줄어들어 결국 굶어 죽었다는 얘기가 있다. 구두를 한번 고치면 다시 올 필요가 없을 정도로 잘 고쳐준다는 것으로, 영국사람들이 매사에 정직하고 실용적인 기질을 우스개 소리로 표현한 얘기일 것이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말이 중국에 있다. 우공(愚公)이란 영감이 집 앞을 막고 서 있는 산을 답답히 여겼다. 하루는 지게를 지고 산으로 가 산 흙을 한 짐 가득 퍼내어 다른 곳에 버리기를 시작했다. 여러 날 계속하자 동네 사람들이 이상히 여겨 우공에게 그 까닭을 물었다. 우공이 말했다.“나는 이미 늙었으나 내 자식과 손자가 있고 그들이 자자손손 내 대를 이어가며 산을 옮길 것이다. 이렇게 하다 보면 산은 불어나지 않으니 결국은 우리 동네에서 살아질 것이다.”중국사람들의 느리지만 앞을 멀리 보는 꾸준한 성품을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국문학자로 잘 알려진 조윤제(趙潤濟)선생은 한국인이 갖는 심성의 특징을 “은근과 끈기”라고 한 적이 있다. 한국의 전통 민요의 노랫말이나 시문(詩文)에 깔려 있는 우리 한국사람들의 깊은 마음을 읽은 것으로 보고싶다. 필자는 이에 더 하여 한국인의 기질에“엉뚱함”이 있음을 말하고 싶다. 그러나 필자는 우리의 엉뚱함은 고도의 창의성과 역발상(逆發想)과 돌발적인 돌파력이 함께 모여서 이룬 것으로, 우리 민족의 마음에 자리잡고 있는 기질이라고 보고싶다. 몇 나라들이 자기 문자를 갖게 된 상황을 보면, 중국의 문자인 한자(漢字)는 갑골문자로부터 시대를 따라 변천되어 약 3000 여년의 시간을 흘러 발전-변형된 것으로 본다. 유럽 각국과 북-남미는 물론, 동남 아시아의 인도네시아나 월남도 빌려 쓰는 로마글자도 약 600BC 여년 전부터 형성되어 오랜 시간동안 변형-발전되어 온 것이다. 이에 비하면 우리가 자랑하면서 쓰고 있는 “한글”은 고도의 창의성을 지닌 학자들과 글자가 없어 하고싶은 말을 쓰려 해도 쓰지 못하는 백성들을 딱하게 여기는 한 임금님의 사랑하는 마음과 뜻이 어울려 약 570 여년 전에 독창성을 지니고 “태어난” 것이다. 고도의 창의성과 돌파력이 빚어낸 놀라운 열매이다.


1c7000b85bb5b19e73a0b694cc615197_1651122627_688.png
 

한국인들의 “엉뚱함”은 요즘 여러 곳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해외에서 특히 그렇다. 세계 유명 예능-재능 Show 에서 놀라운 재능을 보여주고 있다. 마루 바닥에서 대련과 기와나 목판 격파를 하던 태권도는 이제 자기 키 몇 배 높이까지 날라 올라 목판을 발로 화려하게 격파하여 관객을 놀라게 하고 기립 박수를 받기도 한다. 태권도는 이미 다양화되고 국제화되어 세계무대에서 무예로서 즐거움도 주고 있다. 누구도 생각하기 어려운 역발상의 좋은 본보기로 한국이 몽골에 나무심기를 한 것이다. 몽골이 모래가 쌓여 사막이 넓어져 한반도도 피해를 보게 함에 그 예방 조치로 나무를 심기 시작한 것이다. 아무도 생각치 못 했던 발상이라고 하겠다. 사막에 녹지대가 생겨나 현지 생활환경 개선과 경제발전에도 도움이 되고 있다. 유럽의 각국은 오랫동안 독특한 역사와 고유의 문화를 자랑하고 있다. 런던, 파리, 로마… 등은 이미 세계에 자랑하는 문화 역량이 넘치는 곳으로 자기문화에 대한 자부심이 깊은 중심지이다. 그런데 여기에 언제부터 인가 “길 거리 연주”인 버스킹(Busking)이 한국인의 엉뚱함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다. 버스킹은 원래 시가지 등 공공 장소에서 노래나 연주나 춤 등으로 즐거움을 주고 약간의 돈 기부를 받는 것을 일컫는다. 그러나 특히 요즈음 외국에서의 한국인의 버스킹은 우리의 독특한 문화를 맛뵈며 소개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한국의 젊은층이 많이 활동하며 또 악기도 서양 악기는 물론 우리 국악 악기로 연주하고 있다. 점잖고 아름다우며 깊은 멋이 은은히 풍기는 한복과 고전 연주복에 때로는 사모관대(紗帽冠帶)를 고루 갖추고, 거문고, 가야금, 대금, 아쟁, 북… 을 연주하여 현지인들의 발걸음을 멎게 하고 있다. 요즘 부지런히 터를 넓혀가는 K-culture 시리즈가 한국의 문화력을 지구 위 여기저기에 펼치고 있다. 이들의 창의적 용기와 역발상과 돌파력에 필자도 기립 박수를 보낸다. 언제 어디서 이런 한국인들의 엉뚱함이 어떤 모습으로 튀어나올지 아무도 모를 정도라 필자도 기대가 된다.



이런 한국인의 은근과 끈기에 용기와 창의적 돌파력과 역발상이 함께하여 한국의 각계 지도자들에게도 자극을 주어 사회, 정치, 경제 그리고 문화계에도 새로운 활력을 주었으면 좋겠다. 우리 교민사회도 다민족-복합 문화권의 뉴질랜드 사회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고 우뚝서기를 기대한다. 청소년 자녀들이 엉뚱하고 또 거꾸로 생각하더라도 탓하거나 꾸짖는 대신 격려하여 고도의 창의성으로 키워 나가도록 길을 열어 줌이 바람직하지 않을까?


한가지… 아들 딸 결혼 예식장에서 신랑 아버지와 신부 어머니가 함께 가벼운 춤을 곁들어 축가를 노래하는 엉뚱함은 어떻게 생각하시는 지요?


■ 유 승재 

한민족한글학교 BOT 의장


1c7000b85bb5b19e73a0b694cc615197_1651122687_0152.jpg
 

남북, ‘동족’은 아니라 해도 적이 될 필요야…

댓글 0 | 조회 660 | 3일전
▲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 더보기

가정용 온수 시스템 비교

댓글 0 | 조회 675 | 3일전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유학후 이민과정 활용 가이드

댓글 0 | 조회 561 | 3일전
뉴질랜드 영주권 비자를 취득하기 위한… 더보기

포기를 포기하라

댓글 0 | 조회 213 | 3일전
5월이 끝나갑니다.벌써 2024년의 … 더보기

이만큼의 은혜

댓글 0 | 조회 140 | 3일전
■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여기까지 와… 더보기

청춘

댓글 0 | 조회 102 | 4일전
시인 사뮤엘 울만청춘이란 인생의 어떤… 더보기

창 밖은 아파트

댓글 0 | 조회 486 | 4일전
지금도 변함없지만 이 집에 처음 입주… 더보기

숲의 성장 소설을 읽다

댓글 0 | 조회 108 | 4일전
인제 백담사 숲 명상숲으로 난 길을 … 더보기

아이가 밥을 잘 먹지 않고 잔병치레가 잦나요?(2)

댓글 0 | 조회 189 | 4일전
한방에서 말하는 간장과 심장은 간과 … 더보기

임시직 피고용인

댓글 0 | 조회 422 | 4일전
고용계약에는 정규직 외에도 여러 가지… 더보기

기적의 오토파지 금식과 디톡스

댓글 0 | 조회 294 | 4일전
1. 오토파지의 정의오토파지는 그리스… 더보기

72근의 정(精)을 아껴라

댓글 0 | 조회 151 | 4일전
인간은 태어날 때 몸을 에너지화 할 … 더보기

나이 들면 뭐가 중헌디?

댓글 0 | 조회 764 | 7일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성인… 더보기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과 운동

댓글 0 | 조회 953 | 2024.05.20
1. 장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식습관… 더보기

선거와 이미지

댓글 0 | 조회 345 | 2024.05.15
“정치는 국민의 마음을 읽는 예술이다… 더보기

가스 안전에 관하여

댓글 0 | 조회 346 | 2024.05.15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멀어도 멀지 않은 길

댓글 0 | 조회 174 | 2024.05.15
스페인에서 온 연인의 범어사 템플스테… 더보기

종자

댓글 0 | 조회 143 | 2024.05.15
시인 최 재호울음 그친 하늘이 다시 … 더보기

알고 나면 속 시원한 학생비자

댓글 0 | 조회 539 | 2024.05.15
뉴질랜드에서 학업을 시작하고자 하면,… 더보기

Pink Shirt Day

댓글 0 | 조회 551 | 2024.05.15
2024년 5월17일(금요일)은 핑크… 더보기

잔인한 5월

댓글 0 | 조회 494 | 2024.05.15
‘그니까요 쌤~ 제가 자~알 알아 들… 더보기

유익균을 늘리고 유해균을 억재하는 식사와 생활 습관

댓글 0 | 조회 895 | 2024.05.14
1. 유익균이 좋아하는 음식과 습관들… 더보기

두 죽음의 방식: 홍세화와 서경식

댓글 0 | 조회 550 | 2024.05.14
▲ 왼쪽부터 고 홍세화 장발장은행장,… 더보기

우리 명상은 철저한 내공

댓글 0 | 조회 171 | 2024.05.14
명상에는 크게 외공(外功)과 내공(內… 더보기

쓰레기통을 내어 놓다가

댓글 0 | 조회 992 | 2024.05.14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고양이 발걸음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