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의 경량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자동차의 경량화

0 개 4,016 NZ코리아포스트
자동차 업계의 최대 화두는 역시 연료 절감이다. 많은 업체들은 하이브리드 차량을 선보이며 연비 향상에 힘쓰고 있다. 연비를 향상 시키기 위한 기술적 혁신들이 많은 활성화를 보이며 이미 소비자들이 손쉽게 구비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모든 메이저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하이브리드를 다년간 연구 개발 하였으며 이미 많은 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동차의 경량화 역시 차량의 연비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자동차가 가벼워야 같은 연료로 더 많이 갈 수 있다는 기본적인 진리는 변함이 없기 때문이다.

자동차의 무게 대비 연비를 보면 자동차의 무게가 반으로 줄면 연비는 30% 이상 좋아진다고 한다.

신차들의 경쟁을 보면 더 가볍고 더 혁신적인 소재를 들을 사용하여 차량의 무게를 대폭 줄여 나가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경량화 경금속으로는 알루미늄을 들 수 있다.

기존의 강판 종류에 사용되는 철은 알루미늄에 비하면 최소 25% 이상은 무겁다.

외관 차체와 엔진 그리고 부품들을 알루미늄으로 대체 함으로 인하여 차량 무게의 30% 이상을 감량하는 효과를 보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 나올 차량의 경량 소재는 우리의 상상 이상으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람보르기니의 AVENTADOR는 상업용 차량 중 최초로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로 차체를 만들었다. 차체의 무게는 147.5KG이다. 슈퍼카 브랜드인 람보르기니는 연비보다는 더 좋은 가속력을 위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을 사용했다고 발표 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은 주로 항공기 동체 등에 사용되고 있다.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은 아크릴 섬유를 특수 열처리를 통해 강한 강도를 갖게 된다.

무게 역시 철에 비하면 70% 정도 가벼운 소재이다. 생산 공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가격이 일반 소재보다 적게는 5배 크게는 30배 이상 차이가 난다.

또 다른 소재로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이미 독일의 전문가들은 단열성능을 가진 경량화된 자동차 지붕을 폴리우레탄으로 개발 하였다.

첨단 폴리우레탄은 방음 특성을 향상시키고 강도를 높여 우박이나 기계적 영향에도 강하게 버틸 수 있게 제작 되었다.

향후 나오게 될 차량들은 더욱 가벼워지고 더욱 안전한 경량화 신소재를 통하여 연비 향상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물론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연비가 좋고 안전한 차량이 최고이지만 이에 따른 신차 가격의 고공행진은 불가피 하지 않을까 싶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가 오는 계절(Ⅱ)

댓글 0 | 조회 3,398 | 2011.06.15
비가 자주 오는 뉴질랜드의 겨울에 꼭… 더보기
Now

현재 자동차의 경량화

댓글 0 | 조회 4,017 | 2011.05.25
자동차 업계의 최대 화두는 역시 연료… 더보기

비가 오는 계절

댓글 1 | 조회 3,403 | 2011.05.10
날씨가 쌀쌀해 지고 해가 짧고 비가 … 더보기

자동차 시장의 변화

댓글 0 | 조회 3,526 | 2011.04.28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인수 합병 바람… 더보기

동일본 대지진 여파로 전세계 차량 생산에 차질

댓글 0 | 조회 3,055 | 2011.04.13
자동차 대국인 일본이 지진으로 인해 … 더보기

세계 5대 모터쇼 (Ⅱ)

댓글 0 | 조회 3,360 | 2011.03.23
도쿄 모터쇼도쿄 모터쇼는 아시아 지역… 더보기

세계 5대 모터쇼 (Ⅰ)

댓글 0 | 조회 3,835 | 2011.03.09
모터쇼는 주요 자동차 메이커들의 새로… 더보기

차량 절도를 예방하는 방법

댓글 1 | 조회 3,783 | 2011.02.22
색상이 주는 절도의 위험률현대식 차량… 더보기

교통 체증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

댓글 0 | 조회 3,622 | 2011.02.09
교통 체증은 평이적으로 통행하는 차량… 더보기

2010년의 자동차 이슈 (Ⅱ)

댓글 0 | 조회 3,291 | 2011.01.26
하이브리드 차량2008년부터 꾸준한 … 더보기

2010년의 자동차 이슈 (Ⅰ)

댓글 0 | 조회 3,328 | 2011.01.14
최대 자동차 시장은 역시 중국2010… 더보기

모터사이클

댓글 0 | 조회 3,654 | 2010.12.22
뉴질랜드의 휘발유 값이 인상되어 많은… 더보기

일본 자동차 빅3의 사업 전략

댓글 0 | 조회 3,389 | 2010.12.08
일본의 자동차 빅3는 토요타, 혼다,… 더보기

여름철 차량의 관리

댓글 0 | 조회 3,799 | 2010.11.24
여름철에는 차량이 열에 많이 노출되어… 더보기

2011년 자동차 시장의 전망

댓글 0 | 조회 5,088 | 2010.11.10
자동차 시장의 화두는 역시 중국이다.… 더보기

F1 코리아 그랑프리(Korean Grand Prix)

댓글 0 | 조회 3,173 | 2010.10.28
영암군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2… 더보기

친환경 신차들의 축제(파리 모터쇼)

댓글 0 | 조회 3,347 | 2010.10.13
세계는 친환경적 사업에 집중적인 관심… 더보기

국가별 자동차 통행법과 유래

댓글 0 | 조회 4,176 | 2010.09.28
자동차의 운전석을 보면 보통 우측 핸… 더보기

자동차의 신금속

댓글 0 | 조회 3,996 | 2010.09.16
자동차의 구조를 보면 대부분의 금속 … 더보기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차량의 발전

댓글 0 | 조회 3,695 | 2010.08.25
2008년 5월에 소개 되었던 대체 … 더보기

공기가 필요 없는 타이어 - Tweel

댓글 0 | 조회 4,752 | 2010.08.10
뉴질랜드의 날씨는 화창하다가도 갑작스… 더보기

엔진제어유닛의 발전

댓글 0 | 조회 3,432 | 2010.07.27
자동차는 과학의 발전과 함께 많은 부… 더보기

자동차 환경 규제

댓글 0 | 조회 3,207 | 2010.07.13
지구 온난화가 전세계의 화두로 떠오르… 더보기

자동차 - 로봇 시대의 시작

댓글 0 | 조회 3,060 | 2010.06.23
자동차가 위험을 판단하고 스스로 제어… 더보기

자동차의 패밀리룩(Family look)

댓글 0 | 조회 3,557 | 2010.06.10
유명 자동차 브랜드는 저마다의 패밀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