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그들만의 세상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강남, 그들만의 세상

0 개 1,364 이정현

“심수련 가방, 송혜교 시계, 전지현 반지...” 


적게는 수백만 원에서, 많게는 5억원에 달하는 연예인 아이템을 주저 없이 사들이는 이들이 있다. 한국의 강남 엄마들 이야기다. 빈부격차는 세계 어디에나 존재한다. 미국과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의 정치인들이 선거 공약으로 예외 없이 빈부격차 해소를 언급하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오클랜드도 분명 부촌이 있다. 지금은 잘 모르겠지만 내가 오클랜드에서 살던 과거에는 학군이 좋은 Epsom, Remuera, Parnell 등이 소위 부자 동네로 인식됐던 것 같다. 하지만 한국의 빈부격차는 그 체감에 있어서 오클랜드나 다른 나라의 빈부격차와 사뭇 다르다. 


강남에 거주하는 주부들, 즉 강남 엄마들은 하나의 문화이자 콘텐츠이기 때문이다. 대놓고 강남 엄마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드라마나 영화가 늘어가고, “강남스타일”이라는 노래가 울려퍼졌다. 강남 엄마들만 대상으로 운영되는 헬스클럽부터 카페, 그리고 음식점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롯데백화점 측이 강남의 특정 아파트 거주자들만 가입할 수 있는 클럽을 만들어 쿠폰을 제공해 논란을 빚기도 했다. 강남 엄마들이 모든 마케팅과 홍보의 주 타겟이 되는 이유는 간단하다. 이들은 적극적으로 돈 쓸 곳을 찾는다. 더 비싼 것, 더 좋은 것, 더 유명한 것. 자신의 부를 과시하는 데 주저함이 없다. VIP 또는 VVIP 타이틀을 얻기 위해서라면 쉽게 지갑을 연다. 



강남에 사는 엄마들이 모두 그렇지는 않겠지만 대부분 명품 옷을 입고, 명품 가방을 들고, 외제차를 몰고 다닌다. 오죽하면 외제차를 몰지 않으면 강남에 차 끌고 갈 생각을 하지 말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까. 상황이 이렇다 보니 사업가들은 강남 엄마들을 상대로 비즈니스를 하길 원한다. 학원이나 과외 수업도 마찬가지다. 대치어학원, 청담어학원 등과 같이 학원명이 강남과 연관성이 있으면 등록을 원하는 학부모들로 문전성시를 이룬다. 고가의 교육비를 부담스러워하는 다른 지역의 엄마들과 달리, 강남 엄마들은 “우리 아이 이 만큼이나 내고 배우고 있다”라는 자부심이 강하므로 더 비싼 선생님을 찾기도 한다.  


강남의 아파트값 역시 수많은 규제에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전문가들은 강남 집값의 상승세 이유로 ‘학군’과 ‘인프라’를 꼽는다. 대한민국은 맹모삼천지교의 나라이므로 자식을 가르치겠다는 교육열과 생활·교통 편의를 보장하는 시설이 강남을 특별한 곳으로 만들었다는 해석이다. 이런 전문가의 해석은 강남 엄마들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고 내놓은 해석일지 모른다. 오랫동안 강남에서 살고 있는 나 역시도 과거에는 교육과 인프라가 강남의 전부라고 생각했다. 이 두 가지를 제외하면 굳이 강남을 고집할 이유가 없다고. 그런데 아니다. 몇 년 전 강남 엄마들을 취재할 기회가 있었다. 월간지라 상당히 오랜 기간 취재했는데, 이들은 주말이면 집에 모델을 불러놓고 패션쇼를 연다든지, 집에서 경매를 진행하기도 했다. 이들의 상당수는 특권의식 때문에 강남을 고집하고 있었다. 


8092a35924f4277bbfb24415d1ead914_1619664453_0283.png
 

최근 한 강남 아파트에 입주민 전용 26석 규모의 영화관이 들어선다는 기사를 접하고 내가 들여다본 강남 엄마들의 민낯이 떠올라 한국 안의 또 다른 나라, 강남 이야기를 적어보고 싶었다. 그들만을 위한 패션쇼, 그들만을 위한 극장, 상위 1%만이 누릴 수 있는, VVIP라는 타이틀이 늘 따라다니는 그들만의 세상 강남라이프에 대해.  

수능 D-day 90일

댓글 0 | 조회 959 | 2021.08.25
한국 수능 문화에 대한 글을 쓴 지 … 더보기

결국, ‘절실함’

댓글 0 | 조회 1,323 | 2021.08.10
요즘은 어딜 가나, 누구를 만나나 모… 더보기

‘호의’라 쓰고 ‘오지랖’이라 읽는다

댓글 0 | 조회 1,113 | 2021.07.28
속상한 일이 생겼다. 영어를 가르치고… 더보기

나의 심장은 코리아로 벅차 오른다

댓글 0 | 조회 1,049 | 2021.07.13
코로나19 탓에 1년 남짓한 시간 동… 더보기

오지랖 대마왕

댓글 0 | 조회 1,452 | 2021.06.23
한국 사람들이 보는 외국인 혹은 이민… 더보기

If...

댓글 0 | 조회 1,284 | 2021.06.10
내가 만일 또다시 한국을 떠나 살게 … 더보기

나이라는 굴레

댓글 0 | 조회 1,359 | 2021.05.26
한국에 도착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 더보기

분노공화국, 대한민국

댓글 0 | 조회 2,057 | 2021.05.11
미국, 호주 등에서 아시아에 대한 인… 더보기
Now

현재 강남, 그들만의 세상

댓글 0 | 조회 1,365 | 2021.04.29
“심수련 가방, 송혜교 시계, 전지현… 더보기

코로나19 시대에 치러진 선거

댓글 0 | 조회 995 | 2021.04.14
“참여하는 사람은 주인이요, 그렇지 … 더보기

한국인의 독특한 재테크

댓글 0 | 조회 2,061 | 2021.03.24
한국 사람들의 유별난‘명품 사랑’은 … 더보기

락다운 vs. 야근

댓글 0 | 조회 2,321 | 2021.03.10
친구를 통해 뉴질랜드는 또다시 락다운… 더보기

5인 이상 집합금지 행정명령

댓글 0 | 조회 2,949 | 2021.02.24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많은 것… 더보기

소중한 인연

댓글 0 | 조회 1,769 | 2021.02.11
세상에 소중하지 않은 인연이 어딨겠냐… 더보기

댓글 0 | 조회 1,786 | 2021.01.28
공무원영어 모의고사 출제자로 일하면서… 더보기

한국이 느린 한 가지

댓글 0 | 조회 1,651 | 2021.01.12
지난 칼럼을 통해 한국의 “빨리빨리 … 더보기

어머니들이 죄인인 나라

댓글 0 | 조회 1,361 | 2020.12.23
한국에서는 유독 남을 원망하지 말고 … 더보기

한국에서만 볼 수 있는 진풍경

댓글 0 | 조회 2,731 | 2020.12.09
각 나라마다 그 나라에서만 볼 수 있… 더보기

영어에는 없는 한국어

댓글 0 | 조회 2,126 | 2020.11.25
주변에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 영어 … 더보기

한국 거주 외국인

댓글 0 | 조회 2,749 | 2020.11.11
올해의 한 통계에 따르면 국내 체류 … 더보기

열띤 토론

댓글 0 | 조회 1,385 | 2020.10.29
요즘 들어 부쩍 언니와 조카의 교육에… 더보기

그 어느 때보다 핫한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128 | 2020.10.14
“친정이 잘 살아야 한다”라는 말이 … 더보기

뉴질랜드에서 만나고 온 사람들

댓글 0 | 조회 3,081 | 2020.09.23
매년 뉴질랜드에 가면 처음 만나는 한… 더보기

To Stay Sane Inside Insanity

댓글 0 | 조회 1,562 | 2020.09.08
“Stay sane inside in… 더보기

어른이 돼서 본 뉴질랜드의 삶

댓글 0 | 조회 3,534 | 2020.08.26
지난 칼럼에서도 언급했듯 나는 뉴질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