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가 요구하는 인간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미래가 요구하는 인간

0 개 2,103 코리아포스트
겨울나무 가지는 앙상하여, 이 가지에서 생명의 기운을 단순한 인간의 감각으로는 감지하기 어렵다. 이 가지에서 싹이 트고 꽃이 피리란 예감은 긴 세월을 살아내면서 얻은 경험에 의한다. 경험은 예측과 추론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볼 때 경험은 지식의 원천이 된다. 만약에 이런 경험이 없다면 우리 삶은 참 막막할 것이다. 가령 경험 없이는, 겨울나무 가지에 아름다운 꽃이 피고, 튼실한 열매가 맺으리라고 예상하는 일은 어렵다.

우리는 지금 지식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 시대의 키-워드는 ‘지식’임을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지식이 현대 문명의 방향을 잡아주는 방향타 구실을 하는 동시에 현대 사회를 지탱하는 버팀목으로 작용하고 있다. 때문에 지식을 갖추지 못한 사람은 이 시대의 열패자(劣敗者)가 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선진된 국가일수록 요구하는 지식의 양은 많다. 그 중에서도 정보화 지식을 더 요구한다. 생존 경쟁에서 쓰러지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 지식을 쌍아 두어야 한다. 이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미래 사회에도 이렇게 지식을 필요로 할까? 물론 그럴 것이다. 문명의 발달이 지식을 기반으로 해서 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 때 가서도 지식이 문명의 중심에 자리 잡고 있을까? 아마 그렇지는 아니하리라 생각한다. 산업 혁명으로 농경 사회가 산업 사회로 바뀌면서 문명의 중심이 노동에서 기술로 옮겨갔듯이 미래엔 지식의 자리를 밀고 들어올 새로운 가치가 있을 것이다.

미래 학자들은 산업 사회와 정보화 사회를 이끌던 좌뇌의 시대에서, 미래 사회는 우뇌의 시대로 변화해 가리라고 예측하고 있다. 좌뇌가 이성적인 활동을 활성화시킨다면 우뇌는 감성적인 활동을 활성화시킨다고 한다. 결국 미래 사회는 모든 분야를 넘나드는 멀티 능력을 갖추고, 분석보다는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는 감성의 시대로 옮아 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래서 미래 학자들은 미래 사회를 주도할 인간을 우뇌형에서 찾는다. 즉 미래 사회는 이성-지식-보다는 감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해 갈 것으로 판단한다.

「a whole new Mind」의 저자 다니엘 H. 핑크는,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자질로 디자인(Design), 스토리(Story), 조화(Symphony), 공감( Empathy), 놀이(Play), 의미(Meaning) 등을 제시하고 있다. 경직되고,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면에 충실한 프레임에서 한 발 나아가 유연한 감성의 세계를 계발시킴으로써 상상력과 창의성을 갖춘 인간형이 미래 사회의 이상적인 인간형이라고 주장한다. 물론 감성을 중시한다고 해서 지식을 무시해 버린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감성을 중심에 놓고, 이 둘의 조화를 꾀하자는 것이다.

교육도 이러한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리라고 본다. 교사는 제자들을, 부모는 자녀들을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으로 키워나가는데 힘써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수반될 때 비로소 명품 교육은 가능하지 아니할까?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책 읽었는데 기억이 안 난다?

댓글 0 | 조회 2,027 | 2009.01.29
원인첫째, 목표가 없는 '맹목적인 독… 더보기

[339] 일본 편(일본 가정의 시쯔께 교육)

댓글 0 | 조회 2,037 | 2006.08.21
일본이라는 나라, 우리와 무척 가까운… 더보기

10대를 최고로 사랑하는 5가지 방법

댓글 0 | 조회 2,041 | 2008.09.24
1. 자신의 십대 시절을 떠올려 보라… 더보기

다양한 공격성을 보이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2,046 | 2014.02.12
공격성이란 의도적으로 신체적 또는 심… 더보기

[307] 부모의 3대 문제 행동

댓글 0 | 조회 2,053 | 2005.09.28
부모님들이 사춘기에 접어든 자녀들과 … 더보기

우리 영어교육의 현 모습

댓글 0 | 조회 2,054 | 2009.10.27
아이의 영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려고 … 더보기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Ⅱ)

댓글 0 | 조회 2,059 | 2011.06.28
그만큼 우리 삶에서 감정표현은 미숙한… 더보기

“공신”들을 키워낸 엄마들의 공통적인 습관

댓글 0 | 조회 2,065 | 2014.07.08
몇 년전 모 고등학교 우수반 학부모 … 더보기

산만한 아이들

댓글 0 | 조회 2,068 | 2014.02.25
유치원생부터 중·고등학생에 이르기까지… 더보기

부부, 서로 다른 두 사람(Ⅱ)

댓글 0 | 조회 2,069 | 2011.08.09
부모는 자녀를 통해 어린 시절의 삶을… 더보기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댓글 0 | 조회 2,071 | 2010.12.08
자녀의 버릇고치는 대화법 버릇없는 자… 더보기

[300] 우리 아이, 책 읽게 만드는 방법

댓글 0 | 조회 2,073 | 2005.09.28
====================… 더보기

Reading skill

댓글 0 | 조회 2,088 | 2009.03.25
읽기 실력(Reading skill)… 더보기

아이에게 배움의 욕구 길러주기

댓글 0 | 조회 2,092 | 2010.07.28
배움이란 학교 공부만으로 끝나는 것이… 더보기

완벽한 부모는 없다-회복탄력성

댓글 0 | 조회 2,096 | 2015.03.11
많은 부모가 이상적인 부모가 되어야 … 더보기

애들은 큰 소리를 쳐야 말을 듣는다?

댓글 0 | 조회 2,103 | 2010.10.28
생후부터 2세 정도의 시기를 어휘 폭… 더보기

현재 미래가 요구하는 인간

댓글 0 | 조회 2,104 | 2009.07.29
겨울나무 가지는 앙상하여, 이 가지에… 더보기

[284] 인터넷ㆍ게임의 문제와 대책

댓글 0 | 조회 2,104 | 2005.09.28
유용한 정보습득 뿐 아니라 대인관계,… 더보기

자녀의 학습지도 어떻게 도울까?

댓글 0 | 조회 2,104 | 2011.11.23
공부는 습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 더보기

아동 학대(Ⅱ)

댓글 0 | 조회 2,109 | 2015.07.28
‘꽃으로도 때리지 마라’는 어떠한 폭… 더보기

뭐든 쉽게 포기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2,111 | 2008.10.30
끈기가 없고, 조금만 어렵다 싶으면 … 더보기

우리아이 독서왕으로 만드는 7가지 비결

댓글 0 | 조회 2,134 | 2009.05.14
아이들은 놀이가 삶이다. 놀면서 호기… 더보기

말 잘하는 자녀 만들기

댓글 0 | 조회 2,139 | 2010.07.13
아이가 제대로 말할 때까지 기다려주고… 더보기

[332] 내 아이 습관에 맞는 공부 지도 방법

댓글 0 | 조회 2,142 | 2006.05.09
아이들이 공부하는 습관은 다음 4가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