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유산 - 어떻게 할까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반복되는 유산 - 어떻게 할까요?

0 개 1,088 박기태

유산은 크게 자의에 의한 인공유산과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자연유산으로 나눌 수 있는데, 둘 다 여성의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 

 

36b5d34e875d6cbed3bf1b602d3be771_1565670610_4847.jpg
 

특히 첫 임신에 대한 기쁨과 설레임이 채 가시기도 전에 자연유산이 되면 여성은 육체적으로는 물론 정신적으로도 커다란 상처를 입게 된다. 이러한 자연 유산이 연속해서 두 번 이상 계속되는 것을 습관성 자연유산이라고 한다. 습관성 자연유산은 속발성 불임 환자의 60% 정도를 차지하며, 현재 그 비율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어떤 경우에 자연유산이 되는 것일까? 자연유산의 원인 중 50% 이상이 수정란 자체의 염색체 이상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수정란의 염색체 결함은 여성의 염색체와 남성의 염색체 모두에서 기인하는 것이므로 유산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서는 여성의 건강상태는 물론 남성의 건강상태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특히 자궁근종이 없거나 자궁경관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데도 계속 자연유산이 된다면 남성의 건강상태에 문제가 있는지 한번쯤 살펴보아야 한다. 최근에는 환경오염과 불규칙하고 무절제한 식습관, 지나친 스트레스, 음주 및 흡연 등으로 남성의 정자 수나 활동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습관성 자연유산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자궁경관 무력증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착상은 잘 되었으나 태아가 자라면서 자궁경관이 지탱하지 못해 유산되는 경우를 말한다. 이 때는 되도록 안정을 취하고, 증세가 심할 경우 수술로 자궁경관을 묶어준다. 

 

어느 환자의 경우 자궁경관 무력증 때문에 7번 이상 자연유산이 되었는데, 자궁경관을 묶는 수술을 받고 5개월 내내 중환자처럼 누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유산하고 말았다. 평소 불규칙한 식습관 때문에 장기를 잡아 고정시켜주는 비기의 기능에 문제가 생긴 것이 원인이었다. 이 경우 손상된 비기를 바로잡고 장기의 기능을 되찾도록 한약을 처방하면 많은 도움이 된다. 

 

하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다시 임신해도 수 차례 되풀이한 유산 때문에 크게 손상된 자궁과 시간적 손실, 그리고 심리적인 상처 등을 생각한다면 무엇보다 예방이 가장 적절한 치료임을 알 수 있다. 

 

요즘은 원인이 밝혀진 유산 외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유산이 계속되는 환자가 많아 안타깝다. 과거보다 훨씬 풍요로운 환경 덕분에 육체적ㆍ정신적 제2차 성장은 점점 빨라지는 반면 여성들의 사회 진출로 결혼이 점차 늦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 개방화된 성 풍조로 혼전임신과 그로 인한 중절수술이 잦다 보니 자궁의 기능이 점점 약해졌으며, 수술 후유증으로 생긴 어혈이 자궁의 환경을 더욱 나쁘게 만드는 것이다.

 

습관성 유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자궁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임신중절수술은 어혈을 만들어 자궁벽을 딱딱하게 하므로 아이를 가질 계획이 없다면 적극적으로 피임을 해야 한다. 그리고 규칙적인 식사와 운동을 통해 배우자 양쪽 다 건강한 신체상태를 유지 하도록 한다.

 

그의 끝나지 않은 사랑

댓글 0 | 조회 653 | 2023.12.22
그의 아내는 장난끼 많은 남편 곁에서… 더보기

한해를 되비추는 예술의 힘

댓글 0 | 조회 413 | 2023.12.22
▲ 영화 ‘괴물’. 미디어캐슬 제공1… 더보기

단전은 기운의 저수지

댓글 0 | 조회 361 | 2023.12.22
단전은 저수지입니다. 항상 어딘가로부… 더보기

감 잡았다, 고용주 인증 워크비자(AEWV)

댓글 0 | 조회 1,811 | 2023.12.21
뉴질랜드에서 일하고 싶다고 해서 누구… 더보기

행복해진다는 것

댓글 0 | 조회 637 | 2023.12.21
시인 헤르만 헤세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더보기

여름철 건강을 잘 지키는 요령

댓글 0 | 조회 437 | 2023.12.21
여름을 준비하시고 잘 보내시길 바랍니… 더보기

비만(肥滿) 이야기

댓글 0 | 조회 573 | 2023.12.19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가…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699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 더보기

연장된 워크비자 기간 및 시행 기간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1,079 | 2023.12.13
2023년 11월 27일부로 자격 인… 더보기

하동

댓글 0 | 조회 451 | 2023.12.13
시인 이 시영하동쯤이면 딱 좋을 것 … 더보기

무릎 통증 없이 하체 운동하는 법

댓글 0 | 조회 760 | 2023.12.13
만성 무릎 통증으로 고생중이신가요?하… 더보기

선한 마음 사이로도 차별이 샐 수 있다

댓글 0 | 조회 499 | 2023.12.13
▲ 단편 영화 ‘빠마’의 한 장면으로… 더보기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과 전화상담

댓글 0 | 조회 357 | 2023.12.13
기술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은 크… 더보기

지금 인도는 K-불교에 ‘Holic 중’

댓글 0 | 조회 458 | 2023.12.13
한국-인도 수교 50주년 교류행사 참… 더보기

갑자기 호흡이 곤란하고 가슴에 통증이 느껴지나요?

댓글 0 | 조회 504 | 2023.12.12
누구든 중요한 시험을 치거나 면접 또… 더보기

대한민국 소멸(Disappearing)?

댓글 0 | 조회 507 | 2023.12.12
국내에 거주하는 주민등록 인구는 20… 더보기

영주권 받고 2년 되가는 우리는

댓글 0 | 조회 3,279 | 2023.12.12
돌이켜보면, 무척 감격스러운 승인소식… 더보기

12월

댓글 0 | 조회 441 | 2023.12.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그냥 설레고순수… 더보기

단전호흡이란?

댓글 0 | 조회 471 | 2023.12.12
단전호흡이란 정확히 배꼽 아래 단전으… 더보기

환갑을 맞은 라면

댓글 0 | 조회 630 | 2023.12.12
우리나라의 라면 역사가 오래된 줄은 … 더보기

김치의 날

댓글 0 | 조회 470 | 2023.12.08
‘국민 대통합 김장 행사’가 경기도 … 더보기

‘전쟁의 해’ 2023년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

댓글 0 | 조회 480 | 2023.11.29
▲ 지난 5일(현지시각) 팔레스타인 … 더보기

홍수 비해가 걱정이시라면, 섭소일 드레인 작업을 추천합니다

댓글 0 | 조회 785 | 2023.11.29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5년 워크비자 시대의 우리는

댓글 0 | 조회 1,922 | 2023.11.29
고용주인증 워크비자법의 일부 조항들이… 더보기

우화의 강

댓글 0 | 조회 297 | 2023.11.29
시인 마 종기사람이 사람을 만나 서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