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로병사의 비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생로병사의 비밀

0 개 1,643 김영안

ac1bf281f84879f9c8f5c5eb0f8d9dc8_1539250101_9647.jpg
 

인간은 누구나 건강하게 오래 살고 싶은 욕망이 있다. 웰빙(well-being) 시대에 점점 노령화 되는 과정에 건강에 관심이 높아졌다. 비단 노인뿐만 아니라 누구든 건강은 있을 때 지켜야 한다. 

 

있을 때는 모르지만 없을 때 절실해지는 것이 바로 건강이다. 건강이란 병에 안 걸리기 위한 집요한 노력이 아니라 ‘몸과 마음과 생활의 조화로운 상태’를 뜻한다. 시간과 돈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잃으면 아무 소용없는 것이 바로 건강이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우리는 건강을 담보로 권력과 재물에 혈안이 되어 있다. 우리는 뭔가 모자라면 부족함에 관심이 높아진다. 하지만 현대는 부족에서 생기는 병보다 과도해서 생기는 병이 더 많아지고 있다. 또 ‘젊음은 곧 건강’이라서 젊을 때는 소홀하지만, 나이가 들면 자연스레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질 수 밖에 없다.

 

15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KBS의 최장수 교양프로 -‘생로병사의 비밀’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취재 과정을 보면서 국민들이 건강에 대해 관심이 높아졌으며, 식생활도 많이 바뀌고 있다. KBS가 수년간 취재한 국민 건강 프로그램 ‘생로병사’가 여러 권의 책으로 출판되었다. 

 

그 첫 번째가 ‘생로병사의 비밀(가치창조-2004)’이라는 제목으로 전 3권으로 나왔다. 한때 이 책은 삼성 그룹에서는 필독서로 권장했던 책이다. 요약본을 전 직원에게 나누어 주기도 했다. 직원의 건강이 곧 회사의 건강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건강 또는 위생에 관한 책으로 아마도 가장 많이 팔린 건강에 관한 책은 ‘스포크 박사의 육아 일기(정음문화사: 1988)’일 것이다. 한국은 물론 전세계적인 베스트셀러다. 최근에 오류도 많이 발견되고 또 미국 기준이라 국내에 안 맞는 경향이 있어 국내 저자들이 우리 현실에 맞는 육아 일기 등이 나오고 있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건강에 대한 책들이 주로 서양 의학에 비롯되어 우리와는 다소 거리가 있는 것이 많다. 이런 문제점을 바로 잡아 최근 국내 현실에 맞게 나온 책이 바로 ‘한국인의 100세 건강의 비밀(비타북스-2011)’, ‘한국인 무병장수 밥상의 비밀(비타북스-2011)’등이다. 한마디로 10여 년 동안 프로그램을 하면서 정수만 뽑아 한국 현실에 맞게 제작된 건강 도서라 할 수 있다.

 

아주 오래 전 삼황오제 때부터 건강에 대해서는 관심을 가졌다. 황제는 약초를 관장했고, 도교에서는 섭생과 양생을 강조했다. 대부분 민간 요법이 이로부터 나온 것들이다. 또 건강을 지키는 보약에 대해 흔히들 삼보(三補)라 한다. 

 

그 첫 번째가 식보(食補)이고, 두번째가 육보(肉補)이며, 마지막이 약보(藥補)이다. 다시 말하면, 밥만 잘 먹어도 무병 장수할 수 있으며, 몸이 허해지면 고기로 보를 하고, 최후에 약으로 보하는 것이 우리 한방의 요체이다. 이처럼 한방은 직접 치료보다는 우리 몸을 보(補)하고 사(瀉)하여 시스템의 균형을 이루게 한다. 

 

이에 반해 서양 의학은 직접적으로 기능적인 수술이나 투약으로 원인을 제거한다. 둘중에 어느 것이 좋고 나쁨을 가릴 수는 없고, 상황에 따라 각자의 일장일단 서로 보완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 어쨌든 간에 질병은 없이 조금이라도 건 강하게 살고 싶은 욕망을 채워주는 것이 바로 건강 식품이다. 

 

건강보조식품은 의학적으로 약간의 효능이 있다고 생각되는 특정 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해 가공한 식품이다. 따라서 가공하지 않은 식품은 건강 보조 식품이 아니다. 또, 건강 보조 식품은 의학적 효능이 확실하지 않으므로 ‘보조’라는 말을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질병은 치료보다는 예방이 더 중요하다. 그래서 섭생이 중요하다. 도인들과 같은 섭생을 하라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의 섭생 즉 식생활이 중요하다는 뜻이다.

 

율곡 이이(李珥) 선생의 건강십훈(健康十訓)대로 하면 된다. 

 

(1) 소육다채(小肉多菜): 육식은 적게 하고 채소는 많이 먹는다. 

(2) 소식다작(小食多嚼): 식사를 적게 하고 잘 씹는다. 

(3) 소염다혜(小鹽多醯): 염분은 적게, 식초는 많이. 나물을 무칠 때 염분을 쓰고도 먹을 수 있게 하려면 식초를 조금 가해 주면 염분은 적어도 간이 맞는다. 

(4) 소의다욕(小衣多浴): 옷은 엷게 입고 목욕을 자주 한다. 

(5) 소번다면(小煩多眠): 근심은 적게 하고 잠은 많이 잔다. 

(6) 소욕다시(少欲多施): 욕심을 적게 내고, 남에게 많이 베풀도록 한다. 

(7) 소당다과(少糖多果): 설탕은 적게 먹고 과일을 많이 먹는다. 

(8) 소차다보(少車多步): 되도록 차는 적게 타고 많이 걷는다. 

(9) 소언다행(少言多行): 말은 적게 하고 실행을 많이 한다. 

(10) 소분다소(少憤多笑): 성은 적게 내고 많이 웃는다.

 

건강십훈의 마지막 구절은 김 시습의 일로일로 일소일소( 一怒一老 一笑一少)를 연상시킨다. 그저 오래 살기 위해서라기보다는 건강하게 살기 위해서 평소에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한다. 너무 많이 먹는 과식(過食)에서 벗어나 포만감을 느끼는 포식(飽食)으로, 다시 절제해서 먹는 절식(節食)을 통해 소박한 소식(素食)을 이루어 나가는 것이 무병장수의 지름길이다.  

한방에 이해되는 온라인 비자 수속

댓글 0 | 조회 928 | 2024.01.17
외국인 자격으로 뉴질랜드에서 체류하고… 더보기

새해에는 날마다 좋은 날 되소서

댓글 0 | 조회 313 | 2024.01.17
시인 정 진하기도하는 마음으로 한 해… 더보기

겨자씨만한 씨를 심어

댓글 0 | 조회 345 | 2024.01.17
단전은 기운 주머니인데 처음에는 크기… 더보기

왜 우리 집 주방 싱크대는 자주 막히나요?

댓글 0 | 조회 809 | 2024.01.16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하루 3분 살빠지는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445 | 2024.01.16
2024년 새해 잘 시작하셨나요?매년…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524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 더보기

새해에는

댓글 0 | 조회 418 | 2024.01.1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한 해가 가는 … 더보기

기계고객의 시대

댓글 0 | 조회 406 | 2024.01.16
전 세계의 90개국 이상의 기업에 컨… 더보기

비빔밥 이야기

댓글 0 | 조회 601 | 2024.01.12
창립 25주년을 맞은 구글(Googl… 더보기

'2024 학년도 한국대학 입시 결과'

댓글 0 | 조회 2,342 | 2024.01.04
세계보건기구 WHO에서 코로나 19 … 더보기

국민당 정부 고용법 개정

댓글 0 | 조회 1,323 | 2023.12.23
지난 칼럼에서는 국민당이 선거에서 승… 더보기

전신 군살 빼는 10분 전신운동

댓글 0 | 조회 609 | 2023.12.23
최근 gym에서 운동을 시작한 저희 … 더보기

휴가 동안 소규모 비즈니스의 현금 흐름

댓글 0 | 조회 711 | 2023.12.23
올해에는 사업에서 휴가를 즐길 계획이… 더보기

기왕 이렇게 된 것

댓글 0 | 조회 637 | 2023.12.23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지글지글 끓는 … 더보기

흔적의 역사(歷史), 미룰 수 없는 전법(傳法)

댓글 0 | 조회 403 | 2023.12.23
경주 남산 삼릉 ~ 금오봉 순례경주 … 더보기

그의 끝나지 않은 사랑

댓글 0 | 조회 669 | 2023.12.22
그의 아내는 장난끼 많은 남편 곁에서… 더보기

한해를 되비추는 예술의 힘

댓글 0 | 조회 440 | 2023.12.22
▲ 영화 ‘괴물’. 미디어캐슬 제공1… 더보기

단전은 기운의 저수지

댓글 0 | 조회 377 | 2023.12.22
단전은 저수지입니다. 항상 어딘가로부… 더보기

감 잡았다, 고용주 인증 워크비자(AEWV)

댓글 0 | 조회 1,913 | 2023.12.21
뉴질랜드에서 일하고 싶다고 해서 누구… 더보기

행복해진다는 것

댓글 0 | 조회 651 | 2023.12.21
시인 헤르만 헤세인생에 주어진 의무는… 더보기

여름철 건강을 잘 지키는 요령

댓글 0 | 조회 454 | 2023.12.21
여름을 준비하시고 잘 보내시길 바랍니… 더보기

비만(肥滿) 이야기

댓글 0 | 조회 582 | 2023.12.19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가… 더보기

유아의 기억력

댓글 0 | 조회 713 | 2023.12.13
크리스마스가 다가오자 각종 파티가 연… 더보기

연장된 워크비자 기간 및 시행 기간 변경에 대한 업데이트

댓글 0 | 조회 1,097 | 2023.12.13
2023년 11월 27일부로 자격 인… 더보기

하동

댓글 0 | 조회 467 | 2023.12.13
시인 이 시영하동쯤이면 딱 좋을 것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