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1] 바보가 되어가는 이야기 하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1] 바보가 되어가는 이야기 하나

0 개 2,612 KoreaTimes
  "여기 우산 떨어졌는데요"
  등 뒤에서 들려 오는 말에 흘낏 돌아보니 어떤 젊은이가 내 우산을 집어서 작은 돌담에 얌전히 걸쳐 놓고 간다.  (어머나 큰일 날 뻔 했네)  "고마워요" 철없는 아이처럼 너스레를 떨며 우리 아이들을 웃기고 즐거움을 준 우산이 아니던가. 무슨 마트였었지. 서울에서 마지막 쇼핑을 하던 날. 떠날 준비에 바쁜 내 곁에서 벌써부터 결별의 아픔을 달래는 표정의 언니 때문에 나는 소풍 가는 가벼운 기분으로 수선을 떨수밖에 없었다. "무슨 선물 같은 것 없나요?" 사은품이 넘쳐 나는 한국이기에 주책없이 보채 본다. "우산 밖에 없는데요. 그거라도 괜찮으시다면...." 한정된 금액에 미달이어서 곤란하지만 먼 곳에서 오신 분이라 특별히 드리겠다며 엄청 생색까지 낸다. 까짓거 안 받아도 그만이지만 장대같이 긴 케이스를 받아 들고 집으로 돌아왔다. 어떤 것인지 꺼내 보지도 궁금하지도 않았다. 짐을 다 꾸리고 나니 그것 하나가 남아 썰렁한 자리를 지키고 있질 않은가. 오클랜드에 돌아가면 곧 우기일텐데.... 골프 우산이 시원찮았던 생각이 떠올랐다. 귀찮기는 하겠지만 꾹 참고 가지고 가 볼까? 고개를 갸웃거리다가 혹시? 하는 마음에 살며시 가방 위에 올려 놓았다.

  그 날은 억수같이 비가 퍼부었다. 가방을 끌고 내려오니 이 빗속에도 이사를 오는 사람이 있어서 하얀 차일을 치고 그 밑에서 작업을 하고 있었다. 차일 밑에 바짝 차를 들이대고 여자들이 낑낑대니 일하던 인부 한 사람이 안쓰러운지 가방을 번쩍 들어 차에 얹어 준다. 고맙다는 인사를 하고 차에 오르려는 순간 우산 생각이 났다. 다시 돌아가 현관 바닥에 버려진 긴 박스를 찾아 짐 위에 걸쳐 놓았다. 꽤나 가로 걸리는 귀찮은 짐이라 용케 가져갈 수 있을런지는 끝까지 의문 부호가 찍혔다.

  인천공항! 딸애를 돌려보내고 배웅 나온 친구와 찐하게 수다라도 좀 떨려고 했는데 허겁지겁 밥 한그릇 먹고 입가심 차한잔 마실 시간도 없이 바쁘게 헤어져 왔건만 겨우 시간에 맞출 것 같다. 게이트까지 왜 그렇게 멀고 먼지. 무거운 가방을 양손에 끌고 옆구리에 그 우산까지. 팔이 마냥 늘어나서 너무 많이 아팠다. (그런데 왜 이렇게 조용 한거야 다들 나갔나?) 문득 공항에 미아로 혼자 남았다는 바보같은 불안감이 스쳐 지나갔다. 그 때 마침 케어를 한 휠체어 손님과 노약자들이 도착했고 곧바로 개찰은 시작되었다. 그들이 타려는 엘리베이터가 있었다는 것은 내게도 반가웠다. "젊고 건강하신 분은 저 계단으로 내려가셔요" 나를 보고 하는 말이었다. "나 젊지 않아요. 나도 자격있어요". 그 뻣뻣한 체면 자존심 다 어디에 버리셨나 바보같이. 밀고 들어가서 그렇게 비행기에 오르고 보니 내가 일등으로 아무도 타고 있는 사람이 없었다. 느긋하게 자리를 찾고 짐 칸에 가방까지 넣으니 드디어 살아났구나. 홀가분함에 안도를 했다. 물론 그 길다란 우산도 가로질러 짐 칸에 들어갔다. 짐과의 전쟁이 끝나고 나니 그제서야 억수같은 비 속을 집까지 무사히 들어 갔는지 딸애가 궁금해졌다. 헤어지는 슬픔마져도 깨닫지 못하고 얼떨결에 이별을 했으니 헤어짐은 이렇게 하는겐가. 혼자 씁쓸한 미소를 먹음는데 나중에 탄 사람들이 짐을 넣느라고 법석이다. 몇 사람이 가방을 올려 보다가 다른 곳으로 가져가는 것은 문이 닫히지 않아서였다. 그게 그 우산 때문이라는 걸. 깨달았을 때 끔틀 대는 양심에 미안해서 견딜 수가 없었지만 이제 어쩔건가. 달아오르는 얼굴에 철판을 깐다.

  그렇게 그렇게 그 우산은 여기까지 잘 가지고 올 수가 있었다.
  짐을 모두 풀어 정리를 마치고 마지막으로 그 궁금한 우산을 꺼내 보았다. 새까만 바탕에 끝이 알록이 달록이다. 우산을 펼쳐 든 순간. 와! 멋져라 촘촘하게 열여섯개나 되는 튼튼한 살이 야무진 동그라미를 만드는데 알록 달록이는 빨ㆍ주ㆍ노ㆍ초ㆍ파ㆍ남ㆍ보의 무지개였다. "세상에 이걸 안 가지고 왔으면 얼마나 후회를 했겠나" 아이들은 철없는 애처럼 들떠서 호들갑을 떠는 나를 보며 웃어 죽는다고 야단이다. "우산 하나에 그렇게 좋으세요." 손톱만한거라도 내 맘에 꼭 드는 것은 기분 좋은 일이다. 아마 그 집에서 쇼핑한 여름 옷가지들보다 별 생각없이 받아 온 이 선물이 더 마음에 드는게 틀림없는 일인것 같다. "이만 이천원에 파는거에요" 우산을 건네주면 하던 주인의 말이 생각났다. 물방울이 또르르르 젖지도 않는 방수 처리까지. 엄청 횡재를 한 것 같은데 그런 값에 여기서는 이런 것 어림도 없지. 한국것의 자부심이 뭉클 치솟는다.

  Made in Korea 만세! 바보 만세!

아름다운 고별

댓글 1 | 조회 3,392 | 2011.09.27
옆집 할머니 ‘엘리자벳’이 갑자기 돌… 더보기

‘포우투카와’ 꽃잎 날리던 교정

댓글 0 | 조회 2,845 | 2011.08.24
우리가 살아가면서. 지난 일들 가운데… 더보기

차 사랑 할아버지

댓글 0 | 조회 2,847 | 2011.07.26
‘허버트’ 노인이 또 차를 바꿨다. … 더보기

그 남자의 6. 25

댓글 0 | 조회 3,292 | 2011.06.28
시니어클럽 ‘무지개’에 나오시는 분들… 더보기

오월의 그 열기처럼

댓글 0 | 조회 2,746 | 2011.05.25
뜨겁게 달아 오르던 ‘제11대 한인회… 더보기

나눔의 기쁨

댓글 0 | 조회 3,016 | 2011.04.28
큼직한 상자에 여러 옷가지들과. 먹을… 더보기

호평동에서 온 편지

댓글 0 | 조회 3,414 | 2011.03.23
어린 강아지풀과 노오란 민들레꽃이 얌… 더보기

설 명절에 웬 송편을....

댓글 0 | 조회 3,420 | 2011.02.22
‘젊은이는 희망으로 살고 늙은이는 추… 더보기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댓글 1 | 조회 3,624 | 2011.01.26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 앉아서 우리들… 더보기

2010년 11월에는...

댓글 0 | 조회 3,087 | 2010.12.22
수도 없이 바뀌고 반복되는 세월속에서… 더보기

띵호아! 사랑의 도시락

댓글 0 | 조회 4,100 | 2010.11.24
그들이 알고 들으면 섭섭하겠지만 중국… 더보기

감사합니다

댓글 0 | 조회 3,360 | 2010.10.28
“또 새로운 하루를 맞이할 수 있게 … 더보기

젊음이 흘리고 간 낭만을 줍다

댓글 0 | 조회 3,459 | 2010.09.29
감색 양복에 황금빛으로 번쩍이는 단추… 더보기

고목에 피운 무지개꽃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3,483 | 2010.08.25
“푸 -른 하-늘 은-하수 하-얀 쪽… 더보기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Ⅲ)

댓글 0 | 조회 3,585 | 2010.07.28
조(鳥)도를 구경하고 다시 ‘진도’로… 더보기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Ⅱ)

댓글 0 | 조회 3,042 | 2010.06.22
진도대교 앞. 자그마한 모텔에 여장을… 더보기

고국의 가을 속으로 달리다(Ⅰ)

댓글 1 | 조회 3,407 | 2010.05.25
낙엽 구르는 바람 소리에 잠을 잃은밤… 더보기

여기는 지금 해 질 무렵의 오클랜드 시티

댓글 0 | 조회 3,674 | 2010.04.27
무공해 초록 나라에 사는 내가 부러워… 더보기

부자(富子)가 싫다는 사람도 있네

댓글 0 | 조회 3,525 | 2010.03.23
"돈은 역 효과를 낳는다. 행복이 오… 더보기

마음밭에 심기운 꽃

댓글 0 | 조회 3,077 | 2010.02.23
산자와 죽은자가 함께 동거한다는 부산… 더보기

빛 바랜 도화지에 행복 그리기

댓글 0 | 조회 3,588 | 2010.01.27
새 카렌다를 바꿔 걸었으니 어김없이 … 더보기

실수야 떠나라

댓글 0 | 조회 3,380 | 2009.12.22
12월 마지막 달, 싫어도 또 하나 … 더보기

“A”시에서

댓글 0 | 조회 3,714 | 2009.11.25
내가 살던 A시가 이렇게 아름다운 도… 더보기

서울 일기

댓글 0 | 조회 3,289 | 2009.10.27
9월 00일"여보시요 안녕하슈?" "… 더보기

딸이 좋아

댓글 0 | 조회 3,581 | 2009.09.22
딸하나, 또하나! 이 딸딸이 엄마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