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에게 생기는 분노를 잘 이기는 방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자녀에게 생기는 분노를 잘 이기는 방법

0 개 1,991 jj
부모들은 자녀들을 물심양면으로 돕기 위해 육체적, 정신적으로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하지만 실제로 유아기때 부터 청소년기등 갈등을 일으키는 상황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마련이어서, 때때로 분노가 생기고, 부정적인 감정을 자제하는게 힘들어지기도 합니다.

화를 참자니 인내하기가 힘들고, 화를 내고 나면 아이에게 미안하게 됩니다.

먼저 우리는 분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데, 분노는 왜 일어나게 되며, 일상에서 분노를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그것에 따른 결과는 무엇인가?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원인
대체로 엄마가 아이에게 머리까지 화가 치솟는 상황은 아이가 그렇게 나쁜 짓을 한 것이라기보다, 엄마 쪽이 이미 지쳐 마음의 안정을 잃어버려 평상시에 힘들었던 것이 한꺼번에 폭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 온종일 아이들에게 시달리다보면 깨닫지 못하는 사이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게 되는데, 화를 꾹꾹 눌러 참다가 아주 사소한 상황에서 폭발 해버리는 경우로 아이들은 왜 엄마가 화를 내는지 잘 모릅니다. 아이들에겐 예상치 못한 분노인 셈입니다.

2.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고통스러운 경험에 촉발사고를 더하면 분노반응이 구성되는 경우로, 촉발사고란 예를 들면 경제적인 문제로 시부모님과의 갈등이 있는데, 딸아이가 비싼 물건을 사달라고 조른다면, 딸아이는 엄마가 경제적인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지에 대해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는 것이 촉발사고가 되어 분노가 일어나게 됩니다. 

분노의 효과
무조건 화를 내지 않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부모가 아이에게 화를 내는 것이 꼭 나쁘지만은 않기 때문입니다. 아이가 자기 자신이나 형제를 위험하게 만들거나, 다른 사람의 기분이나 물건에 주의하지 않을 때, 그리고 중요한 문제를 놓고 부모의 결정에 따르지 않을 때는 화를 내는 것이 좋습니다. 물론 지나치게 화를 내서는 안됩니다. 

분노를 표출한 후에 사람들은 종종 이상하게도 편안해짐을 느낀다는데, 분노는 분노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 아이의 주의를 끌기 위해 계속해서 화를 내게 될때도 주의할 것은 습관적이 되거나, 실제로 가벼운 비판이나 상처 혹은 불안에도 폭발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럴 경우 아이들은 무감각해지게 되고 점점 부모의 욕구와 감정에 관심을 덜 갖게 됩니다. 

분노는 핵심적인 문제나 정서적인 고통을 숨기게 되는데, 두려움, 상실, 죄책감, 그리고 거절감이나 실패감을 느낄 때, 스스로 자각하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그것에 직면해서 무언가를 해야 될 필요가 있을 때 분노는 그것을 방해합니다.

분노의 효과적인 대처방법
1. 화가 나려고 하면 아이들에게 자기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화를 낼 때도 나름대로 규칙과 한계를 정해서, 하지 말아야 할 말을 절제하지 못해 아이들의 마음속에 오랫동안 앙금으로 남는 말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3. 화를 낼 때는 1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1분이상 잔소리를 하면 제대로 듣지 않고 반항하기 때문에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하루에 3번 이상 화내지 않는것이 좋겠습니다.

4. 감정을 가라앉히고 분노 조절을 통해서 “너는 도대체 왜 그러니?”라고 말하는 대신 “그런 일을 하면 엄만 정말 화가 난다”라고 자신을 주어로 이야기합니다. 

5. 화가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멈추는 것입니다. “잠깐 머리 좀 식히자”라고 말한 뒤, 바깥 공기를 쐬거나 옆방에 가는 것도 좋습니다. 

6. “이것 아니면 안 된다”라고만 주장 하지 말고, 우선 아이의 생각을 확실히 들어준 후에 부모로서의 생각을 이야기하고, 타협점을 찾아 나갑니다.

7. 부모의 분노는 자녀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상처를 줍니다. 부득이 화를 냈을 땐 아이의 탓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 초조해서 생긴 일이라는 것을 인정합니다. 이것은 매우 용기있는 행동입니다.

부부, 서로 다른 두 사람(Ⅰ)

댓글 0 | 조회 1,939 | 2011.07.27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성장한 남녀가… 더보기

[378] 반항이 심해진 아이

댓글 0 | 조회 1,943 | 2008.04.08
그동안 부모의 말을 잘 들었던 것 같… 더보기

[291] 학습능력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방법

댓글 0 | 조회 1,948 | 2005.09.28
이번 호에서는 현재 가정교육 방식에는… 더보기

올바른 TV시청 습관 만들기

댓글 0 | 조회 1,948 | 2009.03.11
습관이 아닌 선택가장 중요한 것은 T… 더보기

[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53 | 2008.03.26
아이들 중에는 간혹 친구들과 잘못 어… 더보기

열등감에 시달리는 자녀(2)

댓글 0 | 조회 1,957 | 2009.09.09
둘째로 중요한 것이 자녀의 강점을 다… 더보기

청소년 우울증

댓글 0 | 조회 1,959 | 2015.05.26
중학생입니다. 저는 초등학교 때부터 … 더보기

[351] SAT 에세이 '공부법'

댓글 0 | 조회 1,961 | 2007.02.26
지난 5일 치러진 SAT시험의 에세이… 더보기

[289] ‘사춘기 자녀와의 갈등, 줄이는 방법’

댓글 0 | 조회 1,962 | 2005.09.28
부모님과 청소년들의 사이에서 생기는 … 더보기

[283] “책을 빨리 읽게 하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댓글 0 | 조회 1,973 | 2005.09.28
Q : Primary 6학년에 다니는… 더보기

책벌레가 되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978 | 2009.04.16
미국의 유명한 독서 전문가인 버니스 … 더보기

아이의 휴대폰 사용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댓글 0 | 조회 1,978 | 2008.12.24
요즘 청소년들 대부분이 휴대폰을 가지… 더보기

부모가 자기를 충실히 돌보는 것의 중요성

댓글 0 | 조회 1,987 | 2011.08.24
옛날이나 요즈음이나 부모가 자식에 대… 더보기

현재 자녀에게 생기는 분노를 잘 이기는 방법

댓글 0 | 조회 1,992 | 2014.06.25
부모들은 자녀들을 물심양면으로 돕기 … 더보기

[310] 말 잘 듣는 아이로 키우는 방법(Ⅰ)

댓글 0 | 조회 1,993 | 2005.09.28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부모말 잘 들어주… 더보기

[330]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1,996 | 2006.04.11
두뇌 연구자들의 보고에 따르면 생후 … 더보기

[376] 형제간의 우애를 키우려면?

댓글 0 | 조회 2,000 | 2008.03.11
형제자매가 둘 이상인 가정에는 아이들… 더보기

자녀와 친밀한 관계를 만들어주는 대화요령(Ⅰ)

댓글 0 | 조회 2,002 | 2011.06.14
부모 - 자녀간의 대화의 중요성은 모… 더보기

스스로 공부하게 만드는 “최고의 기술”

댓글 0 | 조회 2,010 | 2010.10.13
좋은 부모란 자녀의 의도와 목적을 격… 더보기

부모 바로서기

댓글 0 | 조회 2,011 | 2010.12.22
- 자녀를 있는 그대로 인정하는 부모… 더보기

[298] 자꾸 미루는 아이 때문에 화가 나요

댓글 0 | 조회 2,014 | 2005.09.28
------- 사례 ------- 잠… 더보기

세컨드리 스쿨 진입 준비를 돕는 조언 및 점검표

댓글 0 | 조회 2,016 | 2015.01.28
새 학년을 맞는 자녀를 돕기 위해 할… 더보기

성공적인 자녀의 미래를 설계하는 아빠들의 열 가지 조언(Ⅱ)

댓글 0 | 조회 2,018 | 2010.06.10
6. 아버지가 어떻게 살아왔는지 가감… 더보기

[294]부모가 건강해야 자녀에게…’

댓글 0 | 조회 2,025 | 2005.09.28
--------------------… 더보기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2,025 | 2010.04.13
* 원인*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