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가 작은 우리 아이, 고민하지 마세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키가 작은 우리 아이, 고민하지 마세요

0 개 1,622 박기태

요즘 아이들에게 질문을 해보면 공부를 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큰 키라는 대답이 나온다. 요즘 세태가 자기 내면적 개발보다는 외모적인 우월성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뜻이다. 그러다 보니 부모들 역시 아이들의 키 성장 및 외모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키가 자라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요인, 즉 선천적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작용한다. 선천적 요인이라 함은 유전적 요인을 말하는데, 큰 부모로부터 큰 자녀가 나온다는 뜻이다. 그래서 키가 작은 부모들의 자녀는 키가 작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키가 클 가능성은 적다.

 

한편, 후천적 요인으로는 영양, 운동, 수면, 스트레스등이 관여를 한다. 후천적 요인은 각자의 노력이나 관심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후천적인 요소가 선천적인 요소보다 훨씬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많은 보고서에 따르면 후천적 요인이 80% 정도를 차지하고 선천적 요인은 20% 정도 작용한다고 한다. 

 

c9a9d5ada724f5548cb7de3cdd5cc2b8_1566880145_3502.jpg
 

보편적으로 사람은 출생 후 2년간 급속성장을 하고 그 이후 사춘기 전까지는 1년에 4~6cm 정도씩 성장을 한다. 그리고 사춘기에 여성은 20~25cm, 남성은 30~35cm 정도 자라는 것이다. 그래서 치료의 방법도 사춘기 전과 후가 다르다. 사춘기 전의 시기는 1년 최대 6cm 성장을 목표로 치료를 해야 하고, 사춘기의 치료는 1년 최대 10cm이상의 성장을 목표로 치료를 한다는 것이다. 

 

사춘기 이전의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특정 질병과의 연관성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편도선염 등의 면역관련 질환이 있다거나, 편식, 식욕부진, 변비, 설사, 비만 등의 영양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키가 잘 크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먼저 이러한 질환들을 잘 치료해 주어야 할 것이다. 

 

사춘기 때의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이다. 성장호르몬은 깊은 수면을 할 때 많이 분비된다. 이 시기는 공부도 중요하겠지만 성장을 위하여 최소한의 수면시간을 지켜야 하는 것이다. 밤 10시에서 아침 6시까지의 8시간 수면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밤 늦게까지 공부하는 습관을 바꾸어 아침 일찍 일어나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야 키도 크고 공부도 잘하는 일거양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키 성장을 위하여 키 크는 약이나 영양제등을 복용시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세상 어디에도 키 크는 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약간의 도움을 줄 뿐이다. 아이들의 성장 부진원인은 개개인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정확한 진료후의 결과에 따라 처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청룡의 기상으로 카이로스를 잡자

댓글 0 | 조회 319 | 2024.01.31
2024년 1월은 정신없이 지나갔다.… 더보기

월경불순

댓글 0 | 조회 485 | 2024.01.31
여성에게 순조로운 월경은 건강의 척도… 더보기

재시행된 Trial Period이 고용주에게 미치는 영향

댓글 0 | 조회 750 | 2024.01.31
2023년 새 정부가 시작되면서 신규… 더보기

지혜의 숲에서 꿈꾸는 바다

댓글 0 | 조회 250 | 2024.01.31
유학생 두 사람이 찾은 오대산 숲과 … 더보기

한강철교를 지나며

댓글 0 | 조회 337 | 2024.01.30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저녁 무렵전철 … 더보기

지워지지않는 이름, 그녀 ‘레베카’

댓글 0 | 조회 997 | 2024.01.30
내게 북유럽 패키지 여행은 아무래도 … 더보기

시작

댓글 0 | 조회 350 | 2024.01.30
모터웨이를 달리던 중 이었습니다. 빠… 더보기

매일 이 두동작을 했을 때 찾아오는 놀라운 변화

댓글 0 | 조회 697 | 2024.01.30
운동 시간이 길거나 강도가 세다고 해… 더보기

학생의 육아출산 수당 수급

댓글 0 | 조회 1,065 | 2024.01.30
뉴질랜드에서 육아출산 수당 수급 자격… 더보기

서울복음 2

댓글 0 | 조회 497 | 2024.01.30
시인 정 호승너희는 너희에게 상처 준… 더보기

단전호흡법 : 와공(臥功)

댓글 0 | 조회 477 | 2024.01.30
와공(臥功)은 단전을 자리 잡게 하고… 더보기

외로움 유행병

댓글 0 | 조회 867 | 2024.01.26
시인 정호승(鄭浩承, 1950년 경남… 더보기

자궁경부암 검사 방법의 변경

댓글 0 | 조회 1,240 | 2024.01.23
2023년 9월 12일부터, 자궁경부… 더보기

사람 마음을 얻으려면

댓글 0 | 조회 615 | 2024.01.17
공통년 392년 로마제국 테오도시우스… 더보기

이상한 용기로 청룡열차를 타고

댓글 0 | 조회 559 | 2024.01.17
60을 넘어서고 나서부터 내 지능은 … 더보기

녹차 덖고 마음 닦고

댓글 0 | 조회 317 | 2024.01.17
세 엄마와 로원 양의 해남 대흥사 템… 더보기

한방에 이해되는 온라인 비자 수속

댓글 0 | 조회 924 | 2024.01.17
외국인 자격으로 뉴질랜드에서 체류하고… 더보기

새해에는 날마다 좋은 날 되소서

댓글 0 | 조회 307 | 2024.01.17
시인 정 진하기도하는 마음으로 한 해… 더보기

겨자씨만한 씨를 심어

댓글 0 | 조회 342 | 2024.01.17
단전은 기운 주머니인데 처음에는 크기… 더보기

왜 우리 집 주방 싱크대는 자주 막히나요?

댓글 0 | 조회 796 | 2024.01.16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하루 3분 살빠지는 스트레칭

댓글 0 | 조회 442 | 2024.01.16
2024년 새해 잘 시작하셨나요?매년… 더보기

청용(靑龍)의 해에 용꿈을 꾸세요

댓글 0 | 조회 517 | 2024.01.16
우리 한민족의 삶 속에는 언제든지 용… 더보기

새해에는

댓글 0 | 조회 413 | 2024.01.16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한 해가 가는 … 더보기

기계고객의 시대

댓글 0 | 조회 403 | 2024.01.16
전 세계의 90개국 이상의 기업에 컨… 더보기

비빔밥 이야기

댓글 0 | 조회 595 | 2024.01.12
창립 25주년을 맞은 구글(Goog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