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 교육의 중요성(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모국어 교육의 중요성(Ⅰ)

0 개 1,891 NZ코리아포스트
‘내아이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에서 삼중언어가 지혜로운가? 라는 질문에, 다중언어를 구사할수록 모국어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다중언어를 진행할수록 한가지 언어는 완전하게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는 첫 개념을 잡는 언어이고, 개념이며, 사고력입니다. 아이들의 사고력은 6,7세에 이미 어른의 95%가 완성됩니다.

아이들의 사고력을 엄마 뱃속에서부터 깨워내고 6,7세까지 완성시키는 언어는 영어가 아닌 모국어인 것입니다. 이 모국어의 성장으로 아이들의 사고력, IQ, 생각하는 힘이 완성되고, 제 2언어는 그 한도내에서 진행될 뿐입니다.

모국어로 개념이나 스토리가 인풋되어 있지 않다면 아이의 흥미, 집중을 끌어내기 힘듭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시간개념’이 잡혀있지 않다면 영어로도 진도를 나갈수 없습니다.

영미문화권에서 IQ 70 정도 되는 사람이 우리나라의 영어전공자나 IQ 150 이상의 사람보다 영어 말하기는 훨씬 유창합니다. 말하기는 감각이며, 환경, 노출의 문제이기 때문이고 우뇌적입니다.

반면 읽고 쓰기는 우리나라의 영문과 출신들이 훨씬 고급스런 문장을 읽으며 빠르게 쓸 수 있습니다. IQ 70인 사람은 아예 영자신문의 내용자체에 관심을 가질 수가 없습니다.

또한 교포사회에서 두가지 언어가 모두 얕게 형성되었다면 고급스런 문장을 쓸 수 없고, 초등학교 수준에 머물게 됩니다. 우리말도, 영어도 저급한 차원의 문장 구사를 하게 됩니다.

고급 읽기가 가능해야 말하기가 단순회화 수준에서 추상화되면서 고급 말하기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즉, 초급 말하기는 우뇌적인 작용이나, 고급 말하기, 읽기, 쓰기는 정확하게 사고력의 문제입니다.

장기적으로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한가지 언어, 모국어가 발전되어 있어야 합니다.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모국어가 깊이 있게 자리잡고 있어야만 합니다. 모국어는 제 2언어의 잠재력입니다.

이러한 이치를 모른다면 모국어는 돌아보지 않고, 오히려 모국어는 억업 하면서 영어몰입교육을 시키게 됩니다. 이중언어교육에 있어서 가장 금기시하는 것이 두 가지 언어가 모두 얕게 형성되는 것입니다. 그것은 낮은 사고력과 낮은 인성을 의미합니다.

최근까지만 해도 이중언어교육은 아이들의 사고력이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중론이었습니다. 가장 큰 이민국가인 미국에서 실험된 이중언어교육이 그러한 결과를 내었기 때문입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를 변화시키고 싶다면 부모부터 달라지자

댓글 0 | 조회 1,826 | 2009.01.14
기회비용을 잘 따져서 부모가 선택하라… 더보기

[314] '수줍음 타는 내아이...'

댓글 0 | 조회 1,829 | 2005.09.28
이런 걱정을 하는 부모가 많다. 아이… 더보기

삶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가르치기

댓글 0 | 조회 1,832 | 2015.05.12
부모의 욕심이나 상처, 열등감, 콤플…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40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21] 쉽게 화를 내고 잠을 푹 자지 못합니다

댓글 0 | 조회 1,842 | 2005.11.21
* 불안과 두려움이란 무엇인가? * … 더보기

[333] 자녀가 시험에 잘 대처하도록 하는 부모의 태도

댓글 0 | 조회 1,854 | 2006.05.22
* 사례 * 우리 아이는 공부를 그다… 더보기

맞벌이 엄마가 알아두어야 할 교육 원칙 3가지

댓글 0 | 조회 1,869 | 2008.11.10
아이에게 엄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 더보기

[345] 목표가 뚜렷하고 성취욕이 강한 자녀

댓글 0 | 조회 1,871 | 2006.11.27
■ 사례 아이만 보면 제 마음이 콱콱… 더보기

부모역할

댓글 0 | 조회 1,872 | 2013.12.24
▶ 품어주기 --> 제한하기 -… 더보기

늑장부리는 버릇을 고치려면?

댓글 0 | 조회 1,888 | 2008.08.27
아침이면 늑장 부리는 아이가 걱정스럽… 더보기

현재 모국어 교육의 중요성(Ⅰ)

댓글 0 | 조회 1,892 | 2011.09.14
‘내아이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에서 삼… 더보기

[383] 어른에게 버릇없이 구는 아이

댓글 0 | 조회 1,892 | 2008.06.25
예절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 더보기

[288] “컴퓨터 앞에서 아이 떼어놓기”

댓글 0 | 조회 1,893 | 2005.09.28
컴퓨터 게임을 아이들의 놀이문화라고 … 더보기

삼키기와 음미하기

댓글 0 | 조회 1,895 | 2010.05.11
“자기 일은 자기가 스스로 하였으면 … 더보기

[290] 갑자기 바뀐 우리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902 | 2005.09.28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 더보기

서로 다른 것의 가치

댓글 0 | 조회 1,903 | 2011.07.12
부모 두 사람이 자녀교육에 대한 생각…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06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우리 아이 새해 결심 실천하게 하려면

댓글 0 | 조회 1,906 | 2015.01.14
새해가 시작되면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 더보기

자녀와 더불어 성장하는 부모

댓글 0 | 조회 1,908 | 2011.03.22
자녀를 키워본 사람이나 키우고 있는 … 더보기

육아에서 성공하는 여성들의 3가지 리더쉽 원칙

댓글 0 | 조회 1,910 | 2008.11.26
첫 번째 원칙. 아이에게 신뢰감을 심… 더보기

타고난 성격

댓글 0 | 조회 1,919 | 2014.03.25
사람마다 혈액형이 다르듯이 타고난 성… 더보기

자녀들에게 “본데”를 보여줍시다

댓글 0 | 조회 1,923 | 2008.08.14
자녀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 더보기

공부습관 이야기

댓글 0 | 조회 1,926 | 2010.01.13
몇 년 전부터 저는 아이에게 잘했다는… 더보기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933 | 2009.04.28
아이를 양육하는 데 흔들리지 않는 부… 더보기

[299] ‘사교육보다 중요한 아침 먹기 습관’

댓글 0 | 조회 1,935 | 2005.09.28
무심코 거르게 되는 '아침밥'이 고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