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키기와 음미하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삼키기와 음미하기

0 개 1,899 NZ코리아포스트
“자기 일은 자기가 스스로 하였으면 좋겠어요. 너무 산만해요. 무엇이 중요한지도 모르는 것 같아요. 벌써부터 조그만 것이 거짓말을 시작하니 정말 걱정이에요. 말이 통 안 먹혀가니 때릴 수밖에 없지요. 만화영화 볼 때나 게임할 때처럼 공부를 열심히 하면 얼마나 좋아. 어쩔 땐 저 아이가 내 아이인가 싶을 때가 많아요.”

초등학생 아이를 둔 한 학부모의 하소연이다. 가만히 듣고 보니 남의 집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집, 우리 아이들 이야기 같은데. 엄마의 눈동자가 붉어지고 목소리가 메이는 걸 보니 꽤나 마음고생이 심했던 모양이다.

상담이 진행되면서 삼십대 중반 정도의 젊은 엄마는 말끝마다 ‘제가 교육을 잘못 시켰지요? 정말 죄책감이 들어요. 저에게 화가 나요.’ 하면서 온 몸으로 힘들어했다. 참으로 안타까웠다. 하지만 상담을 하면서 더욱 분명한 것은 앳되게 보이기까지 한 엄마가 결과야 어쨌든 자녀를 위해서 사랑하는 마음으로 하였다는 것이었다. 사실 세계 여러 나라 중에서도 우리나라 부모의 자식 사랑은 유별나다. 특히 교육열이라면 말할 것도 없지 않은가. 피를 빼서라도 몸을 팔아서라도 교육을 시키겠다는 일념은 가히 올림픽 금메달감이다.

그런데 문제는 여기에 있다. 과하면 부족함만 못하다 하지 않던가? 사실 말이 교육열이지 우리나라 부모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은 교육열이 아니라 교육 광에 가깝다. 공부를 하는 것은 자녀인데 정작 고민은 부모가 하니 주체가 전도되는 현상이다. 공부라는 것이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는 과정이 필수적인 것인데 무조건적으로 공부하는 행위만 강조하니 자녀들에게 공부는 일이고 귀찮은 것이며 피하고 싶은 것이 되어 자연스레 흥미를 잃게 된다. 인간이라면 고통을 줄이거나 피하려 하는 게 본능인데 교육 광에 가까운 부모에게 걸렸으니 꼼짝달싹 할 수 없다. 공부에 관하여는 타협의 여지가 없기 때문이다. 한 숨이라도 쉬려고 거짓말을 했다간 감시망에 걸려 그 성능만 확인할 뿐 죄인이 되고 곧바로 ‘공부 못하는 것은 하면 되지만 부모를 속이는 자식은 자식도 아니고 인간도 아니라’ 며 칼날을 세워 인성지도를 해대니 받아들일 수 없는 전과만 늘고 아이는 강요되는 반성에 감성만 무디어 갈 뿐이다.

아이들이 주체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화를 해야 하는데 이것은 집안 분위기나 아이 능력상 불가능하고 결국 달려들거나 가출하거나 하는 것 뿐 인데 이것도 나이가 좀 들어 이런 저런 것을 탐색하고 경험한 뒤에나 가능한 일이니 아이들은 눈치꾼이나 공부 못하는 능력 없는 아이로 남을 수 밖 에 없는 것이다. 이렇듯 일방적인 주입식 교육은 학교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그 원조가 가정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주체의식이 없이 성장하는 자녀들은 엄마가 주는 우유만 먹고 자라나는 것과 같다. 진정한 성장을 위해서는 적정기간이 지나면 스스로 음식물을 씹어 소화시키기 쉬운 상태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처럼 유아기가 지났으면서도 음식물을 씹지 않고 삼키니 소화불량에 걸리게 되고 다양한 병의 원인을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성장한 사람들은 나와 남을 잘 구별 못하는 경계혼란을 경험하기 쉽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게 무엇인지도 모르고, 자신이 의지를 가지고 있는 존재임을 망각하여 피상적이고 단발 적 이며 판에 박힌 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의 행동은 흔히 조급하고 게으르며 인내력이 없다. 한번도 천천히 씹으면서 음미하면서 자기 것으로 소화해 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소화하기보다는 습관적으로 그냥 ‘삼키려는’ 태도를 보이거나 씹을 것인지 삼킬 것인지 구별이 되지 않아 항상 불안하기 때문에 깊은 인간관계를 맺지 못하고 남의 평가를 지나치게 의식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결국 우리에게 토론 문화가 없으며, 비판은 잘하나 대안이 없고, 조급증에 걸려 있다는 식의 표현들이 자기 비하 적이라고 일축하기에는 뭔가 찜찜한 느낌이다. 콜라도 마시고 커피도 마시고 차마져 마셔버리려 하는 우리의 유아기적 습성을 떼기 위해서는 우리 자녀들에게 빨리라는 이름으로 벌컥 삼키게 하기보다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소화가 잘되도록 천천히 깨물고 맛을 음미하는 교육이 일상생활에서부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를 변화시키고 싶다면 부모부터 달라지자

댓글 0 | 조회 1,829 | 2009.01.14
기회비용을 잘 따져서 부모가 선택하라… 더보기

삶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가르치기

댓글 0 | 조회 1,833 | 2015.05.12
부모의 욕심이나 상처, 열등감, 콤플… 더보기

[314] '수줍음 타는 내아이...'

댓글 0 | 조회 1,835 | 2005.09.28
이런 걱정을 하는 부모가 많다. 아이…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44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21] 쉽게 화를 내고 잠을 푹 자지 못합니다

댓글 0 | 조회 1,845 | 2005.11.21
* 불안과 두려움이란 무엇인가? * … 더보기

[333] 자녀가 시험에 잘 대처하도록 하는 부모의 태도

댓글 0 | 조회 1,857 | 2006.05.22
* 사례 * 우리 아이는 공부를 그다… 더보기

[345] 목표가 뚜렷하고 성취욕이 강한 자녀

댓글 0 | 조회 1,873 | 2006.11.27
■ 사례 아이만 보면 제 마음이 콱콱… 더보기

맞벌이 엄마가 알아두어야 할 교육 원칙 3가지

댓글 0 | 조회 1,874 | 2008.11.10
아이에게 엄마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 더보기

부모역할

댓글 0 | 조회 1,874 | 2013.12.24
▶ 품어주기 --> 제한하기 -… 더보기

늑장부리는 버릇을 고치려면?

댓글 0 | 조회 1,891 | 2008.08.27
아침이면 늑장 부리는 아이가 걱정스럽… 더보기

[288] “컴퓨터 앞에서 아이 떼어놓기”

댓글 0 | 조회 1,893 | 2005.09.28
컴퓨터 게임을 아이들의 놀이문화라고 … 더보기

모국어 교육의 중요성(Ⅰ)

댓글 0 | 조회 1,895 | 2011.09.14
‘내아이를 위한 이중언어교육’에서 삼… 더보기

[383] 어른에게 버릇없이 구는 아이

댓글 0 | 조회 1,895 | 2008.06.25
예절은 지식이 아니라 생활 그 자체이… 더보기

현재 삼키기와 음미하기

댓글 0 | 조회 1,900 | 2010.05.11
“자기 일은 자기가 스스로 하였으면 … 더보기

[290] 갑자기 바뀐 우리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905 | 2005.09.28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 더보기

서로 다른 것의 가치

댓글 0 | 조회 1,907 | 2011.07.12
부모 두 사람이 자녀교육에 대한 생각… 더보기

우리 아이 새해 결심 실천하게 하려면

댓글 0 | 조회 1,909 | 2015.01.14
새해가 시작되면 어른들과 마찬가지로 …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09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자녀와 더불어 성장하는 부모

댓글 0 | 조회 1,910 | 2011.03.22
자녀를 키워본 사람이나 키우고 있는 … 더보기

육아에서 성공하는 여성들의 3가지 리더쉽 원칙

댓글 0 | 조회 1,915 | 2008.11.26
첫 번째 원칙. 아이에게 신뢰감을 심… 더보기

타고난 성격

댓글 0 | 조회 1,919 | 2014.03.25
사람마다 혈액형이 다르듯이 타고난 성… 더보기

자녀들에게 “본데”를 보여줍시다

댓글 0 | 조회 1,927 | 2008.08.14
자녀들이 행복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 더보기

공부습관 이야기

댓글 0 | 조회 1,927 | 2010.01.13
몇 년 전부터 저는 아이에게 잘했다는… 더보기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934 | 2009.04.28
아이를 양육하는 데 흔들리지 않는 부… 더보기

[299] ‘사교육보다 중요한 아침 먹기 습관’

댓글 0 | 조회 1,940 | 2005.09.28
무심코 거르게 되는 '아침밥'이 고액…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