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의학속의 다산 정약용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조선 의학속의 다산 정약용

0 개 1,386 박기태

코로나 바이러스로 전세계적인 악몽을 겪고 있는 요즈음 문득 조선 후기 때의 천재학자 다산 정약용이 떠올려진다. 약관의 나이로 정조 대왕과 함께 백성을 구제하는 그의 모습이 생각나는 것은 왜 일까?


4832b0c1911e4657fa215689edf04300_1638839201_5866.png
 

조선을 대표하는 석학인 다산 정약용은 의학에도 정통하여 마과회통이라는 전염병 전문의학서적을 정조22년(1798년)에 저술하였다.


정약용은 어린 나이에 천연두에 걸려 사망직전의 상태에까지 이르렀다가 이헌길이라는 명의의 처방을 받고 살아날 수 있었다. 그 후유증으로 오른쪽 눈썹에 세 갈래의 갈라진 흔적이 남아서 스스로를 삼미자(三眉子)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그의 자녀들 중 6명이 홍역과 천연두로 사망하는 아픔을 겪기도 하였다. 그 때 당시만 해도 홍역과 천연두는 소아사망의 원인 중에 큰 부분을 차지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과회통을 저술하여 백성들을 구제하고자 한 그의 노력과 열정이 너무나도 감사한 이유이다. 


정약용은 이헌길의 마진심법을 중심으로 한 조선의 5종문헌과 명• 청대에 저술된 천연두, 홍역, 종두법에 관한 서적 58종을 두루 섭렵한 후 그만의 발진 분류 및 홍역 감별, 종두법 등 새로운 진단이론과 치료법 등을 제시하였다. 이외에도 임상 의학자로서의 현실적 진료 입장에서 역대 유명 의가들의 이론을 엄격하게 평가하고, 또한 유행성이 컸던 전염질환들을 연차적으로 정리까지 해 놓았던 것이다.


우리의 전염병 의료 역사상 가장 많은 기록을 보이는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 외에도 동의보감을 집필한 허준은 신편벽온방과 벽역신방이라는 전염병 전문의학 서적을 펴냈으며, 홍석주의 마방통휘 등 수많은 전염병 전문 서적들이 조선시대 내내 출간되었다. 



조선 오백 년 역사속에서도 내내 전염병과 의학자들의 전쟁은 지속되었던 것이다.


전염병과의 전쟁은 인류역사속에서 늘 있어왔고 중요한 점은 비록 많은 이들이 사망했으나 인류는 늘 이겨왔다는 것이다. 


현재의 코로나 사태도 결국에는 인류가 승리할 것이다. 하지만 너무 많은 희생이 따른다면 그건 곤란한 일일 것이다. 조선시대나 지금이나 코로나 같은 전염성질환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첫째는 완벽한 봉쇄, 둘째는 치료약의 발견 또는 개발 뿐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어설픈 봉쇄, 어설픈 백신 때문에 죄 없는 많은 이들이 더 이상 희생당하지 않게 끔 하루 빨리 치료약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귀속에서 삐~ 하는 소리가 들리시나요?

댓글 0 | 조회 3,001 | 2022.01.26
별다른 이유 없이 갑작스럽게 삐~, … 더보기

이대남의 생각

댓글 0 | 조회 946 | 2022.01.26
■ 오 길영오늘자 토요판 종이신문에서… 더보기

거지같다니요!

댓글 0 | 조회 1,278 | 2022.01.26
‘거지같아요!’한다. 복불복프로그램에… 더보기

피로를 푸는 방법

댓글 0 | 조회 1,296 | 2022.01.26
피로는 대개 마음의 피로입니다. 마음… 더보기

비자 만료시 고용주의 의무 2

댓글 0 | 조회 1,370 | 2022.01.26
피고용인의 비자 만류를 사유로 고용관… 더보기

늘 새차처럼! 자동차 수명 연장법

댓글 0 | 조회 1,417 | 2022.01.26
먼 거리를 효과적으로 이동하기 위해 … 더보기

검은 호랑이의 해

댓글 0 | 조회 930 | 2022.01.22
2022년 임인년(壬寅年) 호랑이의 … 더보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1,874 | 2022.01.20
시간이란 무엇인가?한창 방황하던 20… 더보기

[포토스케치] 거듭나기

댓글 0 | 조회 883 | 2022.01.17

새해 아침

댓글 0 | 조회 928 | 2022.01.12
시인 송 수권새해 아침은 불을 껐다 … 더보기

아마추어 골프는 쉬워야 하고 즐거워야 한다

댓글 0 | 조회 1,685 | 2022.01.12
다이아윙스 브랜드는 기존의 고정 관념… 더보기

아가의 웃음소리

댓글 0 | 조회 1,006 | 2022.01.12
까르르르~~ 유은이의 웃음소리가 우리… 더보기

지금 당신의 집에 '화장실'이 없다면?

댓글 0 | 조회 1,324 | 2022.01.12
우리나라 인구의 약 11배에 달하는 … 더보기

천둥 치던 날

댓글 0 | 조회 852 | 2022.01.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흐르는 숲 속 … 더보기

때가 이르매 거두리라

댓글 0 | 조회 782 | 2022.01.12
2022년 임인년 새해가 되었습니다.… 더보기

달보드레한 그 느낌

댓글 0 | 조회 754 | 2022.01.12
오늘 많이 걷고는 출출한데 뭘 먹을까… 더보기

걷기에는 심신을 치유하는 힘이 있다

댓글 0 | 조회 1,441 | 2022.01.11
최근 저는 걷기를 생활화하여 매우 행… 더보기

감성여행 종결자, 삼랑성 전등사(三郞城 傳燈寺)

댓글 0 | 조회 900 | 2022.01.11
철통 요새 속, 피안(彼岸)의 역사·… 더보기

백석, 우리 시대 시인들의 시인

댓글 0 | 조회 1,080 | 2022.01.11
■ 백 승종백석은 자신이 태어난 마을… 더보기

새해 새몸, 하루 5분 운동!

댓글 0 | 조회 1,032 | 2022.01.11
2022년 새해 잘 시작하셨나요? 크… 더보기

백두산 호랑이

댓글 0 | 조회 951 | 2022.01.11
“호랑이는 착하고 성스럽고, 문채(文… 더보기

누비처네

댓글 0 | 조회 809 | 2022.01.11
■ 목 성균아내가 이불장을 정리하다 … 더보기

만성 피로 증후군을 아시나요?

댓글 0 | 조회 1,010 | 2022.01.11
평소에 일반적인 생활을 하는 가운데도… 더보기

비만은 질병이다

댓글 0 | 조회 1,276 | 2022.01.08
“나 살쪘지?” 아내가 걱정하며 체중… 더보기

부스터(Booster) 3차 추가 백신 접종 발표 안내

댓글 0 | 조회 3,476 | 20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