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 살아도 자 알 사는 나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못 살아도 자 알 사는 나라

0 개 2,156 한일수

6c32b9f8ca59dc7a98f2b4b51a6e492e_1576037544_102.jpg

북극권에서 세상을 바라보다(2)

 

스칸디나비아 반도를 중심으로 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아이슬란드 등 노르딕 국가들이 국민 행복지수 조사에서 왜 세계 10위권 안에 항상 포함되는지 호기심을 가질만하다. 이들 나라들은 지구상의 변방에 위치해 있으며, 인구 500만 내외(단 스웨덴은 970만, 아이슬란드는 330만)의 약소국가이고 한대지방에 위치한 국가이다. 국민들이 가장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제일 행복한 삶을 사는 나라로 평가받고 있는 행복지수는 1인당 GDP, 고용/소득 격차, 사회적인 포용성, 건강하게 생존할 수 있는 기대 연령, 삶을 자주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 정치/경제적 청렴도 등을 고려하여 평가하는데 이들 외에 행복감에 반영되는 다른 요소들이 포함된다고 보는 관점도 눈 여겨 볼만하다.

 

‘못 산다’ ‘잘 산다’는 개념은 흔히 재산이 많아 부유하게 사는 가 빈곤하게 고생하며 사는 가의 척도로서 평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다. 그런데 부유한 사람이 반드시 행복하게 사는 것은 아니며 경제적으로 좀 부족한 것 같아도 나름대로 자기 기준을 정해 놓고 인생을 즐기며 행복하게 사는 사람이 있다. 이런 경우 ‘자 알 사는’ 것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러면 노르딕 국가들이 국민 소득으로 볼 때 그렇게 잘 살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은데 왜 행복한 나라로 상위권을 휩쓸고 있는지 생각해 볼 일이다. 2018년도 UN에서 작성한 ‘The World Happiness Report’에 의하면 1위 핀란드, 2위 노르웨이, 3위 덴마크, 4위 아이슬란드, 9위 스웨덴으로 발표되고 있다. 부유하지도, 세계 경제 시장의 주요 국가도 아닌 나라들이 어떻게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국민들을 가지고 있을까?

 

물론 이들 나라들이 복지가 좋고, 사회적 지원이 많아 국민들은 많은 세금을 내면서도 그 많은 세금이 본인의 삶의 질을 더 높여 준다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층 국민들의 저변에 깔려 있는 삶의 철학 같은 것이 건전하게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얀테의 법칙(Law of Jante)’은 노르딕 국가들에서 통용되는 일종의 행동 지침으로 평범함에서 벗어나려는 행동이나 개인적으로 야심을 품는 행동을 부적절하게 보는 사회규범이다. 덴마크 계 노르웨이 작가인 악셀 산데모세(Aksel Sandemose)r가 풍자소설 ‘도망자’에서 묘사한 얀테의 법칙에서 유래한 이 법칙은 덴마크나 노르웨이인들의 정신세계에 수세기 동안 박혀있는 규범이다. 개인주의의 사적인 성공에 몰두하기 보다는 집단과 공동체의 이익을 중시하는 태도와 개인주의적인 사람들을 일제히 비판하는 태도를 명시한 것이다. 이 법칙을 열거하면

 

 1. 자기만이 특별하다고 여기지 말라.

 2. 우리만큼 잘한다고 여기지 말라. 

 3. 우리보다 똑똑하다고 여기지 말라.

 4. 우리보다 낫다고 여기지 말라.

 5. 우리보다 많이 안다고 여기지 말라. 

 6. 우리보다 더 가치 있다고 여기지 말라.

 7. 모든 것에 능하다고 여기지 말라.

 8. 우리를 비웃지 말라.

 9. 누군가 당신에게 신경 쓴다고 여기지 말라.

 10. 우리에게 무언가를 가르칠 수 있다고 여기지 말라. 

 11. 우리가 당신에 대해 모른다고 생각하는가?

 

1인당 국민 소득이 44,600 달러인 뉴질랜드는 소득 순위는 20위이지만 행복순위는 8위이다. 반면 소득이 32,800 달러로 29위 수준인 한국의 행복 수준은 57위이다. 국민 소득이 15,000 달러인 칠레와 12,000 달러인 러시아와 비슷한 행복 수준이다. 이처럼 한국이 높은 경제 규모와 IT 강국이라는 타이틀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행복지수가 거기에 못 미치고 있음은 어떤 이유에서 일까? 성공 또는 돈이 많아야 행복할 것이라는 인식을 가진 한국인은 사회의 치열한 경쟁에서 국민들이 스트레스가 높아지고, 행복지수가 떨어지고 있다고 본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보다 남이 가지고 있는 것 때문에 내가 불행해지고, 자기가 못 가진 것 때문에 불행한 것이 아니라 남이 가지고 있는 것 때문에 내가 불행해지는 것이다.

 

뉴질랜드는 근로제도(유급 휴가 등), 대학 학자금 부담, 의료비 부담 등의 면에서 노르딕 국가들과 비슷한 제도가 운영되고 있고 다른 복지 정책도 비슷하다. 그래서 행복한 나라로 항상 10위 안에 들어가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의식 수준도 행복 선진국답게 형성 되어 있다. 만일 기후 요소를 삶의 질 평가에 반영한다면 어떻게 될까? 뉴질랜드, 특히 오클랜드는 연중 기온 차가 겨울 평균 12도에서 여름 평균 28도 정도로 대부분의 식물들이 얼어 죽지 않고 겨울을 지낼 수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에어컨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만일 기후 요소를 삶의 질에 반영한다면 단연 세계 제1의 행복한 나라로 평가 받을 만하다. 만일 노르딕국가들의 국민들을 자기들 나라들과 똑 같은 제도를 적용하고 뉴질랜드의 환경과 기후 조건에서 살아보게 한다면 행복지수가 훨씬 더 올라갈 것이라고 본다. 사실 그들 환경은 겨울철 동결 문제로 국민들이 심한 불편을 겪고 있는 형편이다. 

 

누구나 행복한 삶을 영유하고 싶지만 개인의 의지로만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사회시스템, 자연적인 조건 등이 조화를 이루어야겠지만 행복은 결국 자기 마음 안에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건전한 가치관을 가지고 쓸모없는 욕망을 자제할 줄 알며, 상대를 먼저 배려하는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면 결국 행복한 사회로 길이 열리는 것이 아닐까? 

 

6c32b9f8ca59dc7a98f2b4b51a6e492e_1576037615_6338.jpg
 

가을논에서

댓글 0 | 조회 299 | 2024.03.27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한적한 양구 벼… 더보기

참으로 좋은 삶, 늦복에 있네

댓글 0 | 조회 406 | 2024.03.26
처음 영정사진을 찍었을 때가 육십대 … 더보기

우화루에 꽃비 내리는 날

댓글 0 | 조회 154 | 2024.03.26
완주 화암사와 파주 보광사의 목어“이… 더보기

왕초보를 위한 워크비자 입문서

댓글 0 | 조회 822 | 2024.03.26
뉴질랜드에서 합법적인 노동을 하기 위… 더보기

그리운 이에게 편지를 쓴다

댓글 0 | 조회 268 | 2024.03.26
시인 이 해인먼 하늘노을지는 그 위에… 더보기

호흡이 안 되는 이유

댓글 0 | 조회 479 | 2024.03.26
호흡이 안 되는 것은 대개 불안해서입… 더보기

직원의 번아웃

댓글 0 | 조회 899 | 2024.03.26
번아웃이란 과도한 업무량, 충분하지 … 더보기

체질이 궁금하세요?

댓글 0 | 조회 358 | 2024.03.26
서양의학의 발전에 가려서 제자리를 찾… 더보기

뉴욕의 말똥 걱정, 그리고 파괴적 혁신기술

댓글 0 | 조회 326 | 2024.03.26
아내가 암으로 수술을 받고 회복중일 … 더보기

품위 있는 죽음(Well-dying)

댓글 0 | 조회 1,029 | 2024.03.22
지난주 아내와 함께 상암동 월드컵경기… 더보기

리커넥트 “Care to Self-care?” 정신건강 프로젝트

댓글 0 | 조회 395 | 2024.03.13
리커넥트는 다가오는 4월을 시작으로,… 더보기

건양하면 다경하다고?

댓글 0 | 조회 302 | 2024.03.13
1년을 24개로 나누어 절기(節氣)를… 더보기

‘내 잘못’보다 ‘세상의 악’ 더 성찰해야 하는 사순절

댓글 0 | 조회 463 | 2024.03.13
지난 2월 14일 수요일은 안중근 의… 더보기

한 사람을 사랑했네

댓글 0 | 조회 559 | 2024.03.13
시인 이 정하삶의 길을 걸어가면서 나… 더보기

우선순위가 있는 삶

댓글 0 | 조회 476 | 2024.03.13
나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 더보기

호미로 일군 미각 혁명, 망경산사

댓글 0 | 조회 311 | 2024.03.13
사찰음식 초짜의 사찰 탐방기무던히 잘… 더보기

욕실 리모델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637 | 2024.03.13
안녕하세요. 넥서스 플러밍의 김도형입… 더보기

입만 벌려도 턱이 너무 아파요 ㅠ ㅠ

댓글 0 | 조회 476 | 2024.03.13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는 행위를 제외… 더보기

기업 감사(audit)를 준비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519 | 2024.03.12
특정 규모의 기업들에게는 정기 감사는… 더보기

하체 집중 케어 요가

댓글 0 | 조회 563 | 2024.03.12
볼록한 앞벅지 1cm 얇아지는 운동과… 더보기

남자의 마음

댓글 0 | 조회 394 | 2024.03.12
갈보리십자가교회 김성국비가 그친 강물… 더보기

Post Study 워크비자 완전정복기

댓글 0 | 조회 748 | 2024.03.12
뉴질랜드는 소위 “유학후 이민 워크비… 더보기

고독을 사랑하는 남자

댓글 0 | 조회 383 | 2024.03.12
반대편에 위치한 뉴질랜드로 이주해 살… 더보기

호흡과 식사

댓글 0 | 조회 195 | 2024.03.12
식사 후에는 가급적 단전호흡을 하지 … 더보기

뇌경색(腦梗塞)

댓글 0 | 조회 533 | 2024.03.08
“새벽안개 헤치며 달려가는 첫차에 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