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1 3,620 NZ코리아포스트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 앉아서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정확히 70년대의 아주 옛날 노래를 요즈음 새삼스럽게 웅얼거리는 입버릇이 된 것은 어쩐 일일까? 별로 노래란걸 입에 달고 살아본 적이 없는 무미건조한 내가 언제부터 이 노래를 시작했는지도 모를 일이다.

“인생은 연기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것...”

인생을 절규하는 그 어떤 노래보다 공감대가 확실한 노랫말이며 차분한 곡이 마음에 와 닿았음인가? 활활 타 보지도 못한 아쉬운 내 불꽃이 그나마 다 사위어 소복한 재만 남기고 어둠으로 멀어져 가는 지금의 내 인생. 그것은 바로 내 노래이기 때문이리라,

서울 친구가 다니러와서 부산스럽던 한달여의 시간을 정리하고 물속같이 가라앉은 오랫만의 휴식속에서 문득 집어들은 한 권의 책. 우연치고는 타이밍이 잘 맞은. 바로 “모닥불”을 불렀던 가수 ‘박인희 마음의 글’이었다.

그는 한 조각의 빵이 다급해서가 아니고. 더구나 스타가 되고 싶은 허영도 아닌. 그냥 노래가 부르고 싶어서 불렀다는 순수한 가수였음을 알게 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의 환호나 갈채보다 단 한 사람이라도 좋으니 누군가가 가슴속에서 지워지지 않을. 영원히 살아있는 노래를 부르고 싶었다고 했다. 이 다음에 어느 먼 훗날에 누군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며 문득 쓸쓸해질때. 그 어둑어둑한 삶의 저녁길을 걸어가며 어쩐지 혼자라는 생각이 들때. 가슴에 살며시 떠 오르는 노래... 자신도 모르게 샘솟는 노래를 따라 부르다가 아! 이 노래를 부른 사람이 누구였더라. 모습과 이름은 아물아물 잊혀졌어도 그 노래의 멜로디만은 끊어질듯 이어질듯 멈추며 맴도는... ‘그는 그렇게 겸손한 마음으로 노래를 불렀단다. 하지만 생머리를 곱게 빗어 묶은 얌전한 모습으로 통기타를 치며 그 특별한 음색으로 조용히 노래하던 ‘박인희’를 어찌 기억 못할까?

마누라가 주부라는 사실조차 착각하고 파마머리가 촌스럽다고 불평하던 우리 남편님. 처녀때처럼 길게 느린 생머리의 자연미에 취해서 그의 열렬한 팬이기도 해 사알짝 질투도 했었는데, 사실 그 때는 노랫말의 깊은 의미는 깨닫지 못했다 팔팔한 오기로 살아가는 삼십대였기 때문이다.

세월이 흘러 사십년. 그가 바랐던 먼 훗날의 그 누군가가 바로 ‘나’였다. 지나간 삶을 뒤돌아보며 쓸쓸함 속에서 새삼스럽게 “모닥불”을 부른다. 이제 작은 불씨 하나 남겨놓고 무슨 이야기를 할까?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다는데 같이 이야기 할 누군가도 없질 않은가.

밤마다 잠자리 내 머리맡에서 더 이야기 하자고 보채던 옛 친구와 함께 ‘코로만델’ 해변 어디쯤에. 텐트를 치고 야영이라도 하면서 모래알만큼이나 많은 살아온 이야기 밤새껏 나누며 고적할 때 씹고 넘어갈 낭만이라도 장만해 둘걸. 떠나간 사람 뒤에서 후회의 마음 사무친들 무슨 소용이람. (이제 세상 살아가는데 그만한 자신감도 없어졌구나) 생각이 드니 마냥 쓸쓸해진다.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새 해에는 활활 타 오르는 불꽃으로 살고 싶다. 매 순간순간을 몸과 마음을 던져 눈부시게 연소시키며 가져야 할 가치가 있는 한가지라도 놓치고 싶지 않다. 세상이 몰라줘도 내가 아는 세상만큼만 차지하며 모양새 좋게 살고 싶다. 들에 핀 풀꽃들. 조그만 새 한마리와도 이야기 하련다. 번거로운 굴레에서 벗어나 스스로 자유로워지고 마음껏 큰 숨을 쉬면서 살고싶다.

‘모닥불 피워놓고 마주앉아서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인생은 연기속에 재를 남기고
말없이 사라지는 모닥불 같은 것
타다가 꺼지는 그 순간까지
우리들의 이야기는 끝이 없어라’


그의 내면에서 샘솟는 맑은 석간수 한 모금같이 잔잔한 감동으로 다가드는 노래. 가슴을 떨며 마음속에 지피는 불씨하나로 작지만 오래오래 지키면서 살아가련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hjchae2000
제목이 커지는 이라고 잘못되어 있네요.

소박함 속에 있었네. 어떤 행복이....

댓글 0 | 조회 1,409 | 2018.01.31
벌써 십여년도 더 지난 일이었다.그 … 더보기

무대 뒤의 풍경

댓글 0 | 조회 1,217 | 2017.12.19
마치 동굴 속에 갇힌 느낌이었다. 침… 더보기

숙모 시집오던 날

댓글 0 | 조회 1,805 | 2017.11.22
“어머님이 오늘 새벽에 선종하셨습니다… 더보기

봄바람 타고 온 가을 선물

댓글 0 | 조회 1,297 | 2017.10.25
몇 년 전이었다.나른하게 지쳐가는 몸… 더보기

술 석잔이 있는 풍경화

댓글 0 | 조회 1,316 | 2017.09.26
지루할만큼 질척이던 날씨가 모처럼 화… 더보기

그 특별했던 날의 긴 하루

댓글 0 | 조회 1,428 | 2017.08.22
평상시 외출에는 버스가 마냥 편하다.… 더보기

빨강 구두 아줌마

댓글 0 | 조회 2,536 | 2017.07.25
밖은 비 바람이 사납다. 오늘같은 날… 더보기

사탕, 달다

댓글 0 | 조회 1,443 | 2017.06.27
우는아이 달래주고 웃는아이 울리기도 … 더보기

잔인한 달, 나의 4월

댓글 0 | 조회 1,597 | 2017.05.23
4월 1일은 만우절(萬愚節)이다. 누… 더보기

삶의 그림 속에 창 문 낮은 집

댓글 0 | 조회 1,690 | 2017.04.26
우리말에 노름하는 자식, 빚 보증 서… 더보기

삶의 축복

댓글 0 | 조회 1,829 | 2017.03.22
다시 돌아올 수 없는 먼~길 떠나신 … 더보기

자만인가, 착각인가

댓글 0 | 조회 1,531 | 2017.02.22
평생을 살집없는 몸매로 튼실한 부티하… 더보기

아기처럼 웃고 살고싶다

댓글 0 | 조회 1,497 | 2017.01.25
유모차에 실린 아기가 버스에 올랐다.… 더보기

기어이 나를 울리고 가는구나 !

댓글 0 | 조회 2,221 | 2016.12.21
이른아침부터 하릴없이 시시덕거렸던 차… 더보기

이만큼 나이 먹어보니 . . .

댓글 0 | 조회 1,710 | 2016.11.23
젊었을땐 남만큼 가진게 많지않다고 투… 더보기

지붕위의 여자

댓글 0 | 조회 2,893 | 2016.10.26
뒷집에 새로 이사와 살고 있는 여자가… 더보기

이름에 대하여

댓글 0 | 조회 2,693 | 2016.09.28
선영. 세영. 은영. 한결같이 고운 … 더보기

굴뚝이 있는 집

댓글 0 | 조회 2,848 | 2016.08.25
요즘 새로 짓는 집들은 아예 굴뚝이 … 더보기

마음이 부자이고 싶다

댓글 0 | 조회 2,522 | 2016.07.28
알람소리에 잠이 깼다. 이불속에서 오… 더보기

꿈을 불러다주는 이 겨울의 선물

댓글 0 | 조회 1,792 | 2016.06.22
한여름에도 발이 시린 친구가 있다. … 더보기

모자(帽子)의 여인

댓글 0 | 조회 1,524 | 2016.05.26
외출 할 때마다 항상 모자를 쓰는 나… 더보기

프라하(Praha)에서 보내온 반가운 영상

댓글 0 | 조회 1,825 | 2016.04.28
예정된 하루의 일과를 별 탈 없이 마… 더보기

부녀 별곡 (父女 別曲)

댓글 0 | 조회 2,386 | 2016.03.24
이제 여기 여름도 한국처럼 덥다고 느… 더보기

소통하는 영원한 벗, 한송이 빨간 장미

댓글 0 | 조회 2,841 | 2016.02.24
혼자 밥 먹는게 지루하고 따분할 때.… 더보기

공항 그리고 크리스마스 데이

댓글 0 | 조회 1,935 | 2016.01.28
‘크리스마스 데이’에 밖을 나가보니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