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 네 가지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법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09] 네 가지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법

0 개 1,702 코리아타임즈
요즘 부모들은 아이들 공부 때문에 고민이 많다. 하루 종일 책상 앞에 앉아 있는데 성적이 오르지 않는 아이, 공부하라고 시켜 놓으면 5분도 안 되어서 딴짓 하는 아이, 학교 공부보다는 자신이 관심을 갖는 책만 읽고 파고드는 아이, 공부보다는 공상에 빠져 있는 아이, 공부보다는 운동에만 빠져 있는 아이…. 아무리 어르고 달래 보아도, 혹은 야단을 쳐 보아도 소용이 없다.

  아이들은 모두 다르다. 아이들 각자 차이가 있음을 인정할 줄 알아야 한다. 그들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최대 한으로 살려 주고, 아이들이 자신의 성향에 맞게 성장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아이의 성격에 맞는 맞춤형 생활 및 학습법을 찾아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떻게 하면 아이들이 스스로 발동 걸려 공부하고 효율적으로 학습하도록 지도할 수 있을까?

***********
  1. 행동형
***********
  부모들이 공부 문제로 불만이 가장 많다. 이들의 기본 요구는 자유이다. 그래서 관습이나 규칙에 얽매이거나 지시나 통제받는 것을 싫어한다. 공부보다는 노는 것에 관심이 많고, 공부를 하려고 의자에 앉자마자 냉장고 문을 열어 부산하게 들락날락거리는 타입이다. 이렇다 보니 대개 성적이 낮다. 혹시 머리가 나쁜 것은 아닌가 생각할 수 있으나 결코 머리가 나쁜 것은 아니다.
  이런 타입의 아이들은 학습 계획을 짤 때 시간보다는 프로젝트 중심으로 짜도록 유도하는게 효과적이다.
  예컨대‘수학공부 40분하기' 보다는‘수학 1~10쪽 하기' 등으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또한 이들은 집중만 하면 뭐든지 알아듣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시간은 짧게 하고 휴식시간을 길게 갖는 것이 좋다.
  흔히 성적이 부진하다는 것으로 아이를 야단치기 쉬운데, 행동형 아이들의 가장 큰 자산은 자신감이다. 자신감을 잃게 하면 모든 것을 잃어버릴 수 있다.

***********
  2. 규범형
***********
  늘 계획적이고 주어진 일을 충실히 하는 등 성실함과 의무감으로 똘똘 뭉친 형이다. 한마디로 부모, 교사가 선호하는 형이다. 이런 타입의 아이들은 주위에서 말하는 대로 계획표를 착실히 실천할 수 있다. 그래서 대부분 성적은 상위권을 유지한다. 이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상위권 이어야 한다.
  이런 아이들은 새로운 것을 배울 때는 조금씩 순차적 으로 익히고 반복 학습하는 것을 좋아한다. 이들이 성적이 높지 않다면 학습방식을 몰라서일 가능성이 높다.

***********
  3. 탐구형
***********
  이들의 기본 욕구는 지식 추구 및 탐구이다. 지식습득에 대한 갈망이 강하고 사회적 현상이나 원리 파악에 집중적으로 파고든다. 머리가 좋고 기초과학, 고급수학 같은 과목도 서슴지 않고 도전한다. 사고는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확산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새로운 생각을 하는 타입이다.
  다른 형이 무조건적인 칭찬에 만족하는 것에 비해 탐구 형 아이는 조목조목 논리적으로 따져 평가받는 것을 좋아 한다.

***********
  4. 이상형
***********
  남을 먼저 배려하고 따뜻한 마음을 지녔다. 감정이 풍부하고 감성적이며, 마음이 여려 작은 것에 마음 아파하는 등 상처를 잘 받는다. 친구들과의 관계를 중시하기 때문에 또래들과 경쟁하기보다는 함께 나아가는 것을 좋아한다.
  이런 타입은 아무리 어려운 과목이더라도 가르치는 교사가 마음에 들면 그 과목에서 1등을 할 수 있다. 과목이 어려우냐 안 어려우냐보다는 가르치는 교사가 내 마음에 드느냐 안 드느냐가 더 중요하다. 따라서 가르치는 사람이 아이 마음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들에게는 야단이나 비난은 금물이다. 인정받고 칭찬 받을 때 능력을 잘 발휘한다. 칭찬과 인정을 통해 용기를 주어 자신감을 북돋워 주는 것이 핵심이다.

[384] 통제할 것인가? 허용할 것인가?

댓글 0 | 조회 1,667 | 2008.07.08
“아이가 매일 게임을 하게 해달라고 … 더보기

[304] 독서교육 왜 중요한가?

댓글 0 | 조회 1,672 | 2005.09.28
공부 잘하는 자녀를 두는 것은 인종과… 더보기

완벽주의적인 아동

댓글 0 | 조회 1,673 | 2013.11.12
자기가 해야 할 일을 잘 하고 있는데… 더보기

[342] 우리 영어교육의 현 모습

댓글 0 | 조회 1,676 | 2006.10.09
아이의 영어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려고 … 더보기

[331] 책 많이 읽는데 왜 글쓰기가 어려울까

댓글 0 | 조회 1,677 | 2006.04.24
글쓰기는 (에세이 포함) 야속하게도 … 더보기

[375] 성격에 따른 자녀학습 지도방식

댓글 0 | 조회 1,680 | 2008.02.26
성격이란, 타고난 것도 있고 환경의 … 더보기

[350] 자아의식과 자부심

댓글 0 | 조회 1,680 | 2007.02.13
청소년기는 특히 외모에 신경을 많이 … 더보기

[280] 우리 아이는 잔소리를 해야만…

댓글 0 | 조회 1,689 | 2005.09.28
‘저는 Intermediate 1학년… 더보기

[348] '성공학습 8계명'(Ⅰ)

댓글 0 | 조회 1,698 | 2007.01.15
새해 2007년 1월도 반이 지나고 … 더보기

[324] 효과적인 독서지도의 방법

댓글 0 | 조회 1,702 | 2006.01.16
영화 <I am Sam.>… 더보기

[293] 야단치기 손자병법

댓글 0 | 조회 1,702 | 2005.09.28
====================… 더보기

현재 [309] 네 가지 성격유형에 따른 학습법

댓글 0 | 조회 1,703 | 2005.09.28
요즘 부모들은 아이들 공부 때문에 고… 더보기

갑자기 바뀐 아이, 사춘기 인가요?

댓글 0 | 조회 1,705 | 2008.08.01
사춘기는 자녀의 일생에 있어서 큰 변… 더보기

[337] 세계의 가정교육 - 프랑스 편

댓글 0 | 조회 1,709 | 2006.07.24
모든 것은 아름답고 창의적이어야 한다… 더보기

자녀교육의 로드맵 (The Road Map )

댓글 0 | 조회 1,714 | 2014.08.12
세상에 자녀교육에 대하여 자신만만한 …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22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 더보기

[336] 세계의 가정교육 - 중국 편

댓글 0 | 조회 1,726 | 2006.07.11
■ '유비(劉備)' 의 마지막 자녀 …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31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더보기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31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더보기

[315] 아이가 모르는 걸, 왜 질문을 하지 않을까?

댓글 0 | 조회 1,733 | 2005.09.28
■ 왜 질문을 하지 않을까? '뭐야?… 더보기

스스로 공부하는 습관이 성적 향상의 지름길

댓글 0 | 조회 1,736 | 2011.10.27
자녀가 학원에서 종일 공부하다 밤늦게… 더보기

[344] 스스로 알아서 하는 아이가 될 수 없나요(Ⅱ)

댓글 0 | 조회 1,738 | 2006.11.13
*** 대 책*** 첫째, 아이가 성… 더보기

[379] 칭찬 없이 아이는 자랄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54 | 2008.04.23
칭찬은 정보다. 어린 아이가 자신이 … 더보기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56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 더보기

“공부 잘하는 법” 누구나 가능합니다!!!

댓글 0 | 조회 1,757 | 2012.02.29
국적, 시대 불문, 공부 잘하는 법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