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0 개 1,953 KoreaTimes
  아이들 중에는 간혹 친구들과 잘못 어울리는 아이들이 있다. 요새 아이들은 친구들과 어울려 지낸 경험이 부족한데 갑자기 많은 또래들을 만나 어찌할 바를 모르고 수줍어하는 아이들의 대부분은 잘못될지 모르는 일과 창피를 당할지 모르는 모든 상황에 대해 끊임없이 걱정을 하고 있다. 모두가 자기를 보고 있는 것이 분명하며 자기가 실수하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들이 학급 친구가 아니라 비판하는 관객처럼 보이는 것이다. 아이들이 놀리고 장난을 걸면 같이 맞장구를 치면 되는데 이를 귀찮아하고 자기를 괴롭힌다고 여겨 움츠려 들거나 아니면 공격적으로 대응해 버린다면 집단생활이 재미있을 수가 없다. 아이가 무리에 끼기를 두려워한다면 어떻게 무리에 끼고 두려움을 극복하는지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해 주어야 한다.

  ※ 대책 ※

  친구를 사귀려면 아이들이 불러줄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야 한다. 가장자리에 서 있으면 무리에서 소외되기 때문에 무리에 끼려면 관찰하다가 섞여 들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누구나 시도하지 않으면 성공할 수 없다. 아이들은 자기 자신이 어떻게 보일지를 걱정하느라 시도하지 못하는 것인데, 여기에 대해서 사람은 누구나 어느 정도는 그런 것이며, 나의 작은 실수는 다른 사람에게 보다 나에게 더 크게 보인다는 것을 아이가 알도록 차분히 설명 해 주는 것이 좋다.

① 무리에 참여하려면 아이들이 놀고 있는 곳에 있어야 한다

- 아이에게 '관찰하고 섞여들기'에 대해 설명해 주도록 한다. 수줍어하는 아이들은 관찰력이 뛰어난 편이다. 섞여들기 부분에만 집중하면 되는 것이다. 당신의 아이는 무리에 끼어들기 위해 다른 아이들의 놀이를 멈추게 하고 자기를 빤히 쳐다보게 할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알고 안심할 것이다. 목표는 놀이를 멈추게 하지 않고 무리에 끼어드는 일이다. 무리에 끼려면 그 무리의 반경 안에 들어갈 만큼 가까이 있어야 한다는 점도 지적해 주도록 한다. 언저리에 있으면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오히려 끼어 들지 못하게 된다.

② 무리를 만들게 한다

- 이미 무리에 끼는 것보다 스스로 무리를 만드는 편이 쉽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하면 누구에게 접근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아니, 오히려 다른 아이들이 자기에게 몰려오기도 한다. 큰 공이나, 배드민턴, 워키토키 등 아이가 한 사람 이상이 놀 수 있는 놀이감을 가지고 나가도록 해 주는 것도 좋다.

③ 성공을 그려보게 한다

- 자신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게 해 주는 방법이다. 이것은 마음속으로 성공을 시연해 보는 방법이다.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편안하고 자신감있게 행동하는 모습을 생생히 그려 보면 실제로 그렇게 할 수 있을 것만 같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④ 성공을 인식하고 실수에 대처하게 한다

- 수줍어하는 아이들은 계속해서 마음속으로 실수를 자책하면서 자신의 성공을 깎아내리곤 한다. 아이가 실수하면 그런 실수는 자연스러운 일이고 배우는 과정에서 필수적이라는 점을 아이가 이해하도록 도와주자. 실수란 다른 사람보다 자신의 마음속에서 더 크게 다가온다는 점을 설명하자. 사람들은 대개 자신의 실수에 마음이 빼앗겨 다른 사람의 실수를 눈치 채지도 못하고, 거기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도 않는다. 아이가 반드시 자신이 이룬 성취의 공로를 인정하게 하자.

  수줍어하는 아이들은 대개 통찰력이 있고, 다정하고, 충직하므로 일단 초기에 과묵한 시기만 이겨내면 친구로서 장점이 많은 아이이다. 이 아이들은 불안을 다스리고, 친구 사귀기를 시작하는 법을 배워야 한다. 수줍어하는 아이는 단지 자기의 장점을 키울 수 있는 올바른 도구를 갖게 해주기만 하면 두려움에 제한받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할 수 있다.

[356] 본인에 맞는 계획 세우기

댓글 0 | 조회 1,527 | 2007.05.09
신기하게도 공부를 잘 하는 학생들은 … 더보기

[357] 에세이는 어떻게......?

댓글 0 | 조회 1,544 | 2007.05.23
많은 명문대학 응시자들은 고등학교때 … 더보기

[358] 하루종일 PC를 켜 놓고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791 | 2007.06.13
아직까지 아이들은 인터넷 활용에 있어… 더보기

[359] 발음교정방법

댓글 0 | 조회 1,795 | 2007.06.27
발음은 우리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표현… 더보기

[360] 어떻게 해야 아이 말을 제대로 들어줄 수 있을까요?

댓글 0 | 조회 1,602 | 2007.07.10
점점 커 가는 아이는 자기 목소리만 … 더보기

[361] 화를 잘 내고, 공격적, 폭력적인 아이 어떻게 해야 되나요.

댓글 0 | 조회 2,334 | 2007.07.24
* 원 인 * 이 세상에서 단 한 번… 더보기

[362] 외모에만 관심이 있는 아이들

댓글 0 | 조회 1,653 | 2007.08.15
'착한 얼굴', '이기적인 몸매', … 더보기

[363] 공부에 대한 아이 생각을 바꿔 주고 싶어요

댓글 0 | 조회 1,580 | 2007.08.28
아이가 종종 '공부 싫어', '공부 … 더보기

[364] 잦아지는 아이와의 의견충돌 어떻게 풀어 가야 할지....

댓글 0 | 조회 1,497 | 2007.09.12
※ 원인 ※ 갈등은 우리가 행하는 거… 더보기

[365] 자녀교육 과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506 | 2007.09.26
아이를 양육하는데 흔들리지 않는 부모… 더보기

[366] 말 안 하는 아이 정말 답답해요

댓글 0 | 조회 1,844 | 2007.10.09
말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아이가… 더보기

[367] 자기주장만 내세우는 아이

댓글 0 | 조회 1,717 | 2007.10.24
어린아이들은 원래 자기 중심적으로 행… 더보기

[368] 공부할 마음이 없는 것 같은 아이

댓글 0 | 조회 1,749 | 2007.11.13
*원인*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 더보기

[369]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08 | 2007.11.28
※ 원인 ※ 주변을 주의 깊게 살펴보… 더보기

[370] 아이에게 알맞은 적성 찾아 주기

댓글 0 | 조회 1,724 | 2007.12.11
※원인※ 부모들은 모두 자녀의 행복을… 더보기

[371] 자기만 생각하는 아이 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요?

댓글 0 | 조회 1,725 | 2007.12.20
남을 배려할 줄 모르고, 남의 입장에… 더보기

[372] 꿈은 있으나 노력하지 않아요

댓글 0 | 조회 1,527 | 2008.01.15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비슷한 이유로 … 더보기

[373] 청소년기의 올바른 이성교제

댓글 0 | 조회 2,421 | 2008.01.31
사춘기는 아이로부터 어른으로 옮기는 … 더보기

[374] 계획성 있게 시간을 잘 활용 하려면?

댓글 0 | 조회 1,575 | 2008.02.12
여행을 위해서 가방을 쌀 경우 짐들을… 더보기

[375] 성격에 따른 자녀학습 지도방식

댓글 0 | 조회 1,678 | 2008.02.26
성격이란, 타고난 것도 있고 환경의 … 더보기

[376] 형제간의 우애를 키우려면?

댓글 0 | 조회 2,004 | 2008.03.11
형제자매가 둘 이상인 가정에는 아이들… 더보기

현재 [377] 수줍어서 친구를 피하는 아이

댓글 0 | 조회 1,954 | 2008.03.26
아이들 중에는 간혹 친구들과 잘못 어… 더보기

[378] 반항이 심해진 아이

댓글 0 | 조회 1,945 | 2008.04.08
그동안 부모의 말을 잘 들었던 것 같… 더보기

[379] 칭찬 없이 아이는 자랄 수 없다

댓글 0 | 조회 1,749 | 2008.04.23
칭찬은 정보다. 어린 아이가 자신이 … 더보기

[380] 아이의 자존감 어떻게 하면 키워지나요?

댓글 0 | 조회 1,778 | 2008.05.13
아이들은 성숙해가면서 스스로 자신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