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내리는 빗물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

0 개 1,548 조병철

어제는 오랜만에 비가 내렸다. 여름철 긴 가뭄으로 뒷마당에 금이 쩍쩍 가 있었는 데 단비로 잔디(풀)가 생기를 얻었다. 이번 비로 잔디밭의 초지 풀들은 이미 정해진 경계를 넘어 자란다. 또한 간간히 수돗물로 연명하던 상추와 토마토도 ‘바로 이맛이야’ 하고 맘껏 빗물을 들이 마신다. 오클랜드의 강우량은 다른 나라보다 적은 양은 아니다. 그런데 여름철에는 내리는 양이 적어 가뭄이 심하다. 당연히 텃밭의 채소는 물 부족으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야 한다. 주인도 수돗물을 나누어주다보니 이들에게 목만 축여주게 되어 안쓰럽기 한량없다. 

 

aa0e2b6a417865c3f5b697d41b1b2450_1554762891_59.jpg
 

요즈음 세계적인 공해문제로 미세먼지다 산성비다 하도 떠들어 대고 있어 빗물에 대한 불신도 깊어져 가고 있다. 많은 이들이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맞으면 큰일이 나는 줄로 안다. 비를 맞으면 곧 머리가 빠지거나 피부를 크게 상하게 하는 것처럼 생각하는 듯하다. 필자는 여러나라의 빗물을 이용하는 사례를 살펴 경험했으며, 어릴 적에 비를 맞으며 자란 기억으로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에 대한 거부감이 적은 편이다. 물론 지난세기나 몇 십년보다는 대기가 많이 오염된 것도 부인하기 어려운 팩트다. 그렇지만 여러 가지 화학물질로 오염된 땅위의 물 보다는 또는 잘 관리되지 않은 지하수 보다는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더럽지는 않다는 생각이다. 그 만큼 오염될 확률이 낮아 빗물을 활용에 보다 적극적이다.

 

잘 아는바와 같이 지구상의 물은 태양열에 의해 증발해서 수증기로 변해서 하늘로 올라간다. 이들이 모여 구름이 된 다음 다시 빗물이 되어 땅으로 내려온다. 땅에 내린 물은 모이면서 대지를 적시고 바다로 흘러간다. 물의 대 순환이다. 빗물은 내리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통하게 되지만 가장 순수한 물 가운데 하나로 간주된다. 하늘에서 막 내려온 빗물은 아직 지구상의 여러 물질로 오염되지 않았다는 얘기다. 세계에는 아주 많은 사람들이 빗물을 직접 받아서 생활용수로 또는 식수로 이용하며 살아간다. 

 

온실에서 토마토 오이 장미 같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데는 아주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된다. 농업에 필요한 물을 확보하는 방안도 그리 간단치는 않다. 농장 주변의 지하수로도, 마을에 흘러내리는 강물로도 값싸게 얻어 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네덜란드의 경우 유리온실 단지에서는 온실 지붕에 내리는 빗물을 받아서 작물재배에 이용한다. 온실의 지붕 면적이 방대해서 여기에 내리는 빗물을 모두가 집수구를 통해서 온실 옆에 마련한 거대한 저수지에 모이게 된다. 이 빗물의 양이 충분할 뿐 아니라 채소 재배 하는 수질로도 손색이 없다. 그들은 온실 작물재배에 필요한 물을 온실 위에 내리는 빗물로 마련한다.   

 

라오스는 열대지역으로 기후가 우기와 건기로 구분된다. 우기에는 물이 주변에 넘쳐 나지만 비가 내리자마자 쉽게 오수로 변한다. 또한 건기에는 강우량이 적어 물을 구할 수가 없다. 이 나라에서도 농촌지역에서는 생활용수뿐 아니라 농사를 지을 물 확보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 그래서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밖에 없다. 다른 방안으로 물론 메콩강의 물은 충분하지만 탁수로 정화에 많은 비용이 들어간다. 지하수 개발도 가능하지만 지하수에는 비소 같은 중금속 오염이 흔하다. 이런저런 이유로 주변에서 생활용수 확보는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그러니 지구촌 어디서나 물 문제는 간단히 해결할 수 없어 보인다. 

 

오클랜드는 강우량이 충분하고 물 공급대책 잘 마련되어 있어 양질의 수돗물 공급이 원활하다. 그렇지만 이에 대한 대가는 이용자인 주민들의 몫이다. 그래서 물을 이용 하려면 그 대가를 톡톡히 치러야 한다. 세상사가 다 그러하듯이 물 이용에도 공짜가 통하지 않는다는 말이다. 텃밭에서 재배하는 채소가 우리 가족에게 매우 중요하지만 여름철 수돗물을 이용해서 재배하는 것은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래서 텃밭을 가꾸는 주인은 이들의 목마름에 해결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다행이도 오클랜드는 빗물 처리 시설이 어느나라보다 잘 설계되었으며 엄격하게 관리한다. 그래서 개별 가구의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은 하수구을 통해 곧바로 하천으로 빠져 나간다. 아마도 많은 가정에서는 이 시설을 활용해서 빗물을 수확하고 있으리라 생각한다. 지붕에서 내리는 빗물을 집수구 파이프에서 가정에 마련한 물통에 연결된다. 이 물을 가정에서 필요한 허드렛 물로 제격이다 여기에서도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을 소중하게 이용된다. 

 

흙과 나무을 무척이나 사랑하는 친구가 있다. 집에서 생겨나는 음식 쓰레기와 정원에서 베어내는 나무 가지는 모두 텃밭에 구덩이를 파고 묻는다. 당연히 텃밭은 늘 촉촉하다. 게다가 빗물은 커다란 물통에 받아서 가뭄으로 목말라하는 채소에게 넉넉하게 베푼다. 여기서 자라는 상추와 토마토는 늘 풍성하다. 가정 식탁에 올리는 데도 모자람이 없을 뿐 아니라 이웃과 함께 나눈다. 친구의 마음같이 늘 넉넉하고 풍요롭다. 이 모두가 자신의 집을 찾아오는 빗물 손님을 좀 더 오랫동안 머물게 소중히 모시는 덕분으로 돌린다. 

옛사람 상추 먹는 법 엿보기

댓글 0 | 조회 3,867 | 2014.01.15
늦은 봄 보릿고개를 경험하던 시절 농… 더보기

힐러리 트레일(Hillary trail)

댓글 0 | 조회 3,465 | 2014.02.12
오클랜드 서쪽에 살면서 자랑스럽게 생… 더보기

처절하게 선명한 붉은색 그대, 비트(Beet)

댓글 0 | 조회 3,174 | 2014.03.12
텃밭 한 귀퉁이에서 뽑아 온 비트, … 더보기

푸드 퍼레스트 / Food forest

댓글 0 | 조회 4,057 | 2014.04.09
고향의 뒷동산은 밤, 감 같은 과일나… 더보기

썸머 프루트(Summer fruit)

댓글 0 | 조회 2,627 | 2014.05.27
여름은 작열하는 태양으로 싱그럽기 그… 더보기

정원수와 과일나무

댓글 0 | 조회 4,796 | 2014.06.11
세계 어디서나 시민들은 주변에 과일나… 더보기

다음 세대를 위한 식량대책

댓글 0 | 조회 2,209 | 2014.07.09
세계는 지금 넘치는 먹거리 속에서 풍… 더보기

유기농산물(Organic food)과 지역농산물

댓글 0 | 조회 2,770 | 2014.08.13
유기농산물에 대한 관심이 충분치 못할… 더보기

어느 대도시의 신선농산물 마일리지

댓글 0 | 조회 2,147 | 2014.09.10
뉴욕의 과일가게에 진열된 딸기는 미국… 더보기

달콤함 속에 숨겨진 불편한 진실

댓글 0 | 조회 2,956 | 2014.10.15
현대인의 간편한 아침식사 시리얼에, … 더보기

원주민의 식생활에서 얻는 교훈

댓글 0 | 조회 3,389 | 2014.11.12
남미 볼리비아 아마존의 원주민 쿠네이… 더보기

딸기와 berry 이야기

댓글 0 | 조회 2,209 | 2019.02.18
누구나 어릴적 산딸기에 대한 아련한 … 더보기

봄철마다 찾아오는 아스파라거스

댓글 0 | 조회 1,814 | 2019.03.14
과일나무는 한번 심어 놓으면 아주 여… 더보기
Now

현재 하늘에서 내리는 빗물

댓글 0 | 조회 1,549 | 2019.04.09
어제는 오랜만에 비가 내렸다. 여름철… 더보기

와이헤케 와인 투어

댓글 0 | 조회 2,096 | 2019.05.15
Waiheke island wine … 더보기

당신의 장미는 안녕하신지요?

댓글 0 | 조회 1,420 | 2019.06.12
오클랜드는 많은 가정에서 장미를 키운… 더보기

해 뜨면 일어난다

댓글 0 | 조회 1,437 | 2019.07.09
‘인간은 사랑없이 살 수 없고, 식물… 더보기

하이그로브 로얄 가든

댓글 0 | 조회 1,760 | 2019.08.14
Highgrove Royal Gard…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의 Biosecurity trail

댓글 0 | 조회 1,625 | 2019.09.11
오클랜드 공항 입국장에서 신고를 마쳤… 더보기

점심시간

댓글 0 | 조회 1,944 | 2019.10.09
오클랜드에 있는 대학의 국제 영어교실… 더보기

해초(seaweed) 이야기

댓글 0 | 조회 2,277 | 2019.11.13
프랑스 메네즈앙 해변에서 한 여성이 … 더보기

미세-플라스틱 Microplastics

댓글 0 | 조회 1,416 | 2019.12.11
여름철 햇볕을 맞으면서 집 담장 청소… 더보기

한 여름밤의 Redwood 숲

댓글 0 | 조회 2,044 | 2020.01.15
여름철 이른 아침 로토루아 Whaka… 더보기

테마를 따라 찾아가는 해밀턴 가든

댓글 0 | 조회 1,557 | 2020.02.11
해밀턴 가든을 처음으로 찾은 것은 2… 더보기

못 생겼지만 그래도 맛은 좋아요

댓글 0 | 조회 1,488 | 2020.03.10
최근 지구촌 곳곳에서 기상이변이 빈번…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