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자해(Self-harm)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청소년들의 자해(Self-harm)

0 개 2,150 이현숙
말 그대로 자해란 자기 스스로를 해하는 행위를 말한다. 즉 스트레스나 화를 적당히 풀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되면서 쌓이게 되면 스스로 자신을 위로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사람의 자연스런 행위인데, 청소년들의 경우 주도적으로 그런 기회를 갖기 어려울 때가 많고 자신의 화나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한 감정들을 이해 받지 못할 때 자해행위를 시도하고 반복하다 보면 그만두는 것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보통 자해라 하면 자신의 신체 일부분을 해하는 경우를 말하는데 필자가 만난 학생들은 손목이나 팔목 혹은 허벅지나 다리 등을 날카로운 도구, 예를 들어 연필 깍는 칼이나 끝이 뽀족한 공구 등으로 긋거나 찌르거나 하면서 상처를 내는데 보통 보이지 않는 부분에 하는 경우들이 많아서 눈에 띄지 않고 부모조차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한 청소년들은 그런 해괴망측한 행위를 한다는 비난을 먼저 당하기 일쑤여서 오히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데, 자신의 나쁜 감정들을 분출할 길이 없어 순간적으로 잊고자 하는  충동에서 일어나는 행위이기 때문에 자신도 그것을 통제할 길이 없다. 마음이 지치고 힘들기 때문에 그 만큼 스스로를 해하는 행위조차도 억제할 에너지가 없는 것이다. 
 
보통 자해를 위의 경우로만 생각하는데, 사실 담배를 피고 술을 마시는 행위도 자신을 해하는 자해행위이며 더 나아가 마약을 하는 것도 심각한 자해이다. 그런데 보통 부모들은 신체일부분을 해하는 자해에는 화들짝 놀라고 심각하게 여기는데 술 담배에는 의외로 관대하다. 그러나 술 담배는 생명을 줄여가며 행하는 심각한 자해행위인 것이고 청소년 시기에 친구들과 어울려 호기심으로 하는 경우들이 흔하다지만, 무조건 하지 말라고 다그치기 보다는 그 원인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부모와 자녀가 함께 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무조건 혼자 힘으로 끊으려 하기 보다는 다른 자해행위와 마찬가지로 전문 상담가와 상담을 통해 마음에 풀지 못한 감정들이나 해결되지 않은 일들로 인한 고리를 끊고 그 다음이 Quit Smoking과 같은 기관에서 금연패치나 껌 등과 같은 실질적인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술도 마찬가지인데 바쁜 생활가운데 손쉽게 스트레스를 푸는 도구로 술을 사용하고 중독에 빠지는 것이다. 
 
한 모임에서 전문가를 모시고 청소년 문제에 대해 세미나를 했는데, 뉴질랜드는 대마초 흡연량이 전 세계 중 1위를 할 정도로 마약류에 쉽게 노출이 되어 있는 나라이다. 게다가 노스쇼어에 Recreation pill(흔히 파티에서 기분을 좋게 하기 위해 사용)을 생산하는 마약공장을 지을 예정이라는 최근의 기사를 보시고 말씀해주시는데 경악을 금치 못했다. 많은 분들이 알다시피 파티필은 볼파티 끝나고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것으로 그 성분은 마리화나라는 것이다. 술처럼 신분증을 보여주지 않고도 살 수 있는 마약류들은 현지인들에게만 국한 된 문제가 더 이상 아니다. 우리의 청소년들도 흔히 전형적인 아시안이라는 어떤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런 파티나 모임에서 자신만 하지 않고 있는 모습이 우스꽝스럽게 여겨지리라는 염려 때문에 자기도 모르는 사이 마약에 손을 대고 중독이 되어가는데 한번은 괜찮겠지 하는 단순한 생각이 그런 심각한 행동을 낳는다. 마약은 한번 손대면 빠져 나오기 힘든 늪과 같다. 
 
위에서 말한 모든 경우가 자해행위이므로 절실한 도움이 필요하다. 만일 자녀의 이런 문제들로 염려가 되시기 시작하셨다면 더 늦기 전에 도움을 받기를 권한다.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이성교제가 왜 중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714 | 2013.10.23
며칠 전, 한 여학생이 남자친구를 만… 더보기

현재 청소년들의 자해(Self-harm)

댓글 0 | 조회 2,151 | 2013.10.09
말 그대로 자해란 자기 스스로를 해하… 더보기

불편한 학교생활, 전학이 최선인가?

댓글 0 | 조회 1,607 | 2013.09.25
의외로 많은 학생들이 전학에 대해 문… 더보기

뉴질랜드 청소년들도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댓글 0 | 조회 1,440 | 2013.09.10
뉴질랜드 교육체계가 한국현실에 비하면… 더보기

한국 학생들에게 힘든 영어에세이

댓글 0 | 조회 1,782 | 2013.08.28
많은 한국 학생들이 상담실을 찾을 때… 더보기

청소년들과 야한 동영상

댓글 0 | 조회 5,859 | 2013.08.13
얼마 전, 한 모임에서 한국 청소년들… 더보기

한인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한국사람이라는 정체성

댓글 0 | 조회 1,301 | 2013.07.24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 더보기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는 청소년들

댓글 0 | 조회 1,451 | 2013.07.10
필자가 하필이면 아침에 일어나지 못해… 더보기

대학 가기 위한 진로고민과 과목선정

댓글 0 | 조회 1,406 | 2013.06.26
한국 학생들의 고민 중에 가장 큰 부… 더보기

대학가기 위한 추천서 준비

댓글 0 | 조회 1,806 | 2013.06.12
얼마 전, 두 명의 여학생들이 상담실… 더보기

점점 좁아지는 뉴질랜드 대학의 문

댓글 0 | 조회 1,831 | 2013.05.28
“뉴질랜드에서는 대학 가기… 더보기

초등학생들의 자살율

댓글 0 | 조회 2,311 | 2013.05.14
2012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조사에… 더보기

아이들의 고민에 어떻게 반응하세요?

댓글 0 | 조회 1,171 | 2013.04.24
한 학부모님으로부터 전화가 왔는데 아… 더보기

스마트 폰이 빼앗고 있는 우리 자녀들의 창의력

댓글 0 | 조회 1,581 | 2013.04.10
얼마 전 어느 미디어를 통해 &ldq… 더보기

Parents interview(학부모 면담)에 꼭 참여하세요!

댓글 0 | 조회 1,513 | 2013.03.27
유학생들은 부모님이 계시지 않으니 홈… 더보기

부모가 되는 데도 자격이 필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459 | 2013.03.12
아기를 낳아 기르는 것은 지구상에서 … 더보기

어떻게 효과적으로 영어의 어려움을 극복할까?

댓글 0 | 조회 1,874 | 2013.02.26
이민 온 지 10-20년이 되신 분들… 더보기

관계성이 중요한 뉴질랜드 학교생활

댓글 0 | 조회 1,590 | 2013.02.13
새 학기가 시작되고 아이들이 학교로 … 더보기

영어가 안되니 학년을 반복하는 것이 좋을까요?

댓글 0 | 조회 1,912 | 2013.01.30
이번 호의 제목인 ‘영어가… 더보기

근절되어야 할 가정 내 폭력

댓글 0 | 조회 1,299 | 2013.01.16
사랑의 매라는 말이 남용되면서 오랜 …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부모역할

댓글 0 | 조회 1,507 | 2012.12.21
지난 호에서 밝혔듯이 내 자녀의 영어… 더보기

내 아이의 Academic English는 문제가 없는가?

댓글 0 | 조회 1,259 | 2012.12.11
학교만 간다고 영어실력이 쑥쑥 늘고 … 더보기

부모와 자녀간의 대화단절과 갈등

댓글 0 | 조회 2,234 | 2012.11.27
몇 년전 학교 내에서 공부도 잘하면서… 더보기

학교 내 인종차별에 대처하는 방법

댓글 0 | 조회 2,984 | 2012.11.13
뉴질랜드 내에서의 인종차별에 대해 조… 더보기

Cyber Safe (인터넷 중독)

댓글 0 | 조회 1,653 | 2012.10.25
지난 호에서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