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율 1위 강대국, 대한민국: 우리 아이들은 절망한다(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자살율 1위 강대국, 대한민국: 우리 아이들은 절망한다(Ⅰ)

0 개 1,686 이현숙
새삼스러운 일이 아닌 소식이다, 우리나라가 OCED 국가 중 1위를 기록했다는 것은. 하루 44명이 자살을 하는 나라. 무엇이 이토록 우리를 절망의 절벽으로 내미는 것일까? 그리고 이번 뉴스에서 놀라웠던 것은 10대의 자살율이 전체의 절반을 그리고 2-30대가 거의 그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다는 거였다. 젊은이들이 희망을 저버린 나라인 대한민국, 단지 그 땅에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일까? 이 땅 뉴질랜드에서 우리아이들은 괜찮은 걸까?
 
어릴 때부터 어머니로부터 “말할 수 있는 사람이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괜찮다”라는 말씀을 듣곤 했었다. 그 말씀은 한 사람한테도 자신의 처지를 털어놓을 수 없는 답답함을 표현하셨다는 것을 뒤 늦게 나이 들어서야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들에게는 그 한 사람이 있는가? 우리는 홀로 살아갈 수 없는 존재듯이 품고 있는 고민들도 혼자 짊어가기 너무 벅차고 힘에 겹다. 
 
그래서 우린 누군가에게 털어놓고 나누며 내 짐을 가볍게 할 수 있는 상대가 필요하지만, 상대가 입이 무거울지 소문은 안 날지 이런 말을 했다가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알 수 없어 말 못하고 대신 우린 뒷담화를 나눈다. 누군가의 안된 얘기들을 나누며 나의 무거움을 털어버리고 싶은 심리다. 내가 괴로울수록 어쩌면 우린 다른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판단하고 비난하고 감정을 쏟는다. 그러나 정작 나의 괴로움을 나누지 못해서 아프고 그런 아픈 마음이 병이 되어간다.
 
우리 아이들도 그렇다. 기대치 높은 부모님과 학교 그리고 사회, 나의 연약한 모습은 절대 드러내선 안 된다. 어릴 때부터, 강해야 살아 남을 수 있다는 부모님과 주변의 한결 같은 격려는 나의 약한 면들은 수치스러운 부분들이라고 말한다. 뉴질랜드에선 어떤가? 힘들다고 말을 꺼내기 무섭게 이렇게 편한 나라까지 와서 힘들다고 하면 한국에서는 어떻게 살뻔했냐고 하시고 한국 학생들은 무섭게 공부하는데 그 정도하고 힘들다고 하는 건 엄살이라 하신다. 나의 고민도 한국의 현실과 비교당하며 무시되기 일쑤다.  우리 아이들에게 뉴질랜드에서의 삶은 정말 그렇게 좋기만 한 걸까?  
 
놀라운 사실은 서구사회에 살면서 그 문화에 노출되어 있으면서도 우리 아이들은 문제를 꽁꽁 안으로만 끌어안고 내어놓지를 못한다는 거였다. 학교마다 한국아이들은 참으로 문제 없는 집단에 속한다. 상담선생님들이나 담임선생님들을 찾아가 어려움을 호소하지를 않는다. 요구사항도 질문도 없다. 부모님들도 학교에 마냥 만족 하나보다. 나타나서 목소리 높이는 키위, 중국인 부모들과 달리 조용하다. 말을 안 한다는 것은 문제가 없다는 걸로 치부되는 나라에서 우리는 너무 조용한 그룹에 속하고 그건 만족하고 있다는 간접표현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기회가 되어 만나서 상담을 해보면 어떻게 지금까지 참고 지냈을까 싶을 정도로 그 아픔들을 토해낸다. 그렇다. 아무도 말 할 사람이 없었고 누가 손을 내밀기 전에는 선뜻 먼저 도움을 청하는 것이 쉽지 않도록 교육받고 커왔던 거였다. 그리고 내 아픔은 별거 아닌 일로 십대 때는 다들 겪는 통과의례로 여겨지며 견디도록 요구 되어 졌던 거였다. 그 까짓 일들은 빨리 이겨내고 툴툴 털어버리고는 공부에 집중해야 하는 거였다.  
 
시간이 약이다라는 말, 그건 과연 맞는 말일까? 묻어두고 잊어버리면 과연 내 아픔은, 상처는, 문제는 자연 소멸되는 것일까? 언제든지 인생에서 문제들을 만날 때마다 그 상처가 같이 덧나는 것은 아니고? 우리 부모도 또 아이들도 이제는 우리의 문제들을 맞닥뜨리고 용기 있게 펼쳐 내보이며 아픔을 나누고 지혜를 구하고 힘을 얻어서 또 다른 인생의 문제들을 만날 때 옛 상처가 걸림돌이 되는 것이 아니라 약이 될 수 있기를 바래본다. 그러려면 지금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까? 

청소년들에게 건전한 이성교제가 왜 중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713 | 2013.10.23
며칠 전, 한 여학생이 남자친구를 만… 더보기

현실과 이상 사이 그리고 자녀의 선택

댓글 0 | 조회 1,698 | 2015.07.14
어느 자리에서 두 유형의 부모를 만났… 더보기

부모의 정보력이 결정하는 자녀들의 미래

댓글 0 | 조회 1,689 | 2015.09.24
이제 봄으로 접어들면서 슬슬 대학입학… 더보기

현재 자살율 1위 강대국, 대한민국: 우리 아이들은 절망한다(Ⅰ)

댓글 0 | 조회 1,687 | 2012.09.26
새삼스러운 일이 아닌 소식이다, 우리… 더보기

성적과 우선순위의 상관관계

댓글 0 | 조회 1,669 | 2015.06.24
시험을 마치고 성적이 나오면 상담실을… 더보기

Cyber Safe (인터넷 중독)

댓글 0 | 조회 1,653 | 2012.10.25
지난 호에서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설… 더보기

IS, 시리아 난민, 파리테러와 우리 자녀들의 미래

댓글 0 | 조회 1,649 | 2015.11.25
IS(이슬람 국가)의 테러는 지금 지… 더보기

선을 긋는 관계가 주는 긍정적인 영향

댓글 0 | 조회 1,646 | 2015.07.28
우리나라 문화는 집단 중심적이여서 개… 더보기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 대해 아는 부모의 힘

댓글 0 | 조회 1,637 | 2015.05.12
상담을 하면서 종종 부모들을 오시라 … 더보기

자녀의 미래를 설계하는 부모들

댓글 0 | 조회 1,636 | 2015.01.29
요즘 나이든 분들 중에서 자녀들을 키… 더보기

불편한 학교생활, 전학이 최선인가?

댓글 0 | 조회 1,607 | 2013.09.25
의외로 많은 학생들이 전학에 대해 문… 더보기

관계성이 중요한 뉴질랜드 학교생활

댓글 0 | 조회 1,590 | 2013.02.13
새 학기가 시작되고 아이들이 학교로 … 더보기

스마트 폰이 빼앗고 있는 우리 자녀들의 창의력

댓글 0 | 조회 1,581 | 2013.04.10
얼마 전 어느 미디어를 통해 &ldq… 더보기

자녀들의 건강한 대인관계의 출발

댓글 0 | 조회 1,578 | 2015.10.15
얼마 전, 건전한 이성관계를 위한 강… 더보기

여름 방학의 생사를 결정하는 성적표

댓글 0 | 조회 1,548 | 2015.12.23
이제 학기를 모두 마치고 긴 여름방학… 더보기

Parents interview(학부모 면담)에 꼭 참여하세요!

댓글 0 | 조회 1,512 | 2013.03.27
유학생들은 부모님이 계시지 않으니 홈… 더보기

십대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부모역할

댓글 0 | 조회 1,507 | 2012.12.21
지난 호에서 밝혔듯이 내 자녀의 영어… 더보기

몸을 아프게 만드는 자녀들의 심리

댓글 0 | 조회 1,504 | 2015.03.11
많은 분들이 알고 있는 상식이다, 마… 더보기

이 번 필리핀재해에 대해 자녀들과 무엇을 나누셨나요?

댓글 0 | 조회 1,466 | 2013.11.27
많은 부모들이 자녀들에 대해 기대하는… 더보기

부모가 되는 데도 자격이 필요한가요?

댓글 0 | 조회 1,459 | 2013.03.12
아기를 낳아 기르는 것은 지구상에서 … 더보기

아침에 일어나지 못하는 청소년들

댓글 0 | 조회 1,448 | 2013.07.10
필자가 하필이면 아침에 일어나지 못해… 더보기

뉴질랜드 청소년들도 입시 스트레스에 시달린다

댓글 0 | 조회 1,439 | 2013.09.10
뉴질랜드 교육체계가 한국현실에 비하면… 더보기

대학 가기 위한 진로고민과 과목선정

댓글 0 | 조회 1,406 | 2013.06.26
한국 학생들의 고민 중에 가장 큰 부… 더보기

정말 필요한 수험생들의 스트레스 해소

댓글 0 | 조회 1,366 | 2013.11.12
이제 드디어 NCEA시험을 코 앞에 … 더보기

한인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한국사람이라는 정체성

댓글 0 | 조회 1,300 | 2013.07.24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정체성을 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