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0 개 1,618 수선재
자기 존재를 너무 드러내는 것은 사실 사랑이 아닙니다. 있는지 없는지도 모르게 해주는 게 사랑입니다. 그런데 어느 날 문득 ‘그 사람이 나를 사랑하는구나’ 하고 느끼게 해주는 게 사랑입니다. 아침저녁으로 ‘당신을 사랑한다’고 표현하고, 참견하는 것이 사랑이 아닙니다. 

사랑이라는 것을 아무리 설명을 해도 잘 와 닿지 않으실 텐데요. 어느 정도의 차원이냐 하면, ‘같은 하늘아래 숨 쉬고 있는 것만도 너무 고맙다’라고 생각하는 게 사랑입니다. 그리고 그런 마음을 가지고 있으면 말을 안 해도 자연스레 상대방에게 전달이 됩니다. 

뭘 요구하는 게 없는 거예요. 그냥 ‘살아있고, 같은 공기 마시며 숨 쉬고 있는 것만도 너무 고맙다’이런 마음. 다 아시게 되시겠죠? 그게 사랑입니다.
 
보고 싶다고, 같이 있자고 보채지도 않죠. 같이 숨 쉬는 것만으로도 고마운데 요구할 게 뭐가 있나요? 참 밋밋하기 짝이 없는 거지만, 그게 진짜 사랑입니다. 그렇게 사랑이라는 게 그냥 덤덤해집니다. 동물적인 차원에서 인간적인 차원으로 넘어오는 것입니다. 

점점 내가 그 사람을 위해서 진짜 걱정해주고 울어줄 수 있는 마음이 됩니다. 내가 아무리 진심으로 누구를 사랑한다고 해도 사람은 굉장히 이기적이어서, 나한테 손해를 끼치면 탁 돌아섭니다. 그러다가 점점 그냥 있어주는 것만도 고마워지는 그런 단계가 됩니다. 사랑의 방식이 다른 차원으로 넘어가는 것입니다. 내가 아는 것만 사랑인 줄 알았는데, 다른 방식으로 사랑할 줄 알아갑니다. 

참 폐쇄적으로 살아가다가, 이곳에 오셔서 명상을 하시면서 비로소 발을 빼고 나와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다른 사람 사는 것도 바라보게 되십니다. 눈을 넓게 가지고 바라보면 되는데, 자기 가정이 전부라고 생각하고 살아갑니다. 

점점 아이들도 ‘내 아이’가 아니라 그냥 하나의 인간으로서 보이게 됩니다. 내 아이를 보는 눈이나 다른 아이나 보는 눈이 같아져요. 다 내 아이입니다. 그런데 ‘내꺼’가 아니라 인간으로서 바라보아지는 겁니다. 내 새끼, 내 핏줄, 이렇게 보는 게 아닙니다. 

그러면 편애가 없어지고 다 인간으로서 혜택을 누리고 사랑을 받고, 두루두루 그런 마음이 생깁니다. 내 아이만 예뻐하는 게 사랑이 아니고, 남의 아이한테 잘해 줌으로써 내 아이한테도 잘해주는 것이 됩니다. 

사랑은 누군가에게 베풀면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또 누군가의 사랑을 받게 됩니다. 그러니까 항상 주고받는 사람은 일정치가 않아요. 나는 저 사람한테 주었는데 받는 건 이 사람한테 받고, 내 아이들에게 직접 사랑을 주지 않아도 내가 다른 곳에 사랑을 주면 그 아이들이 다른 곳에서 사랑을 받게 되는 원리입니다.

무슨 공부인가?

댓글 0 | 조회 1,909 | 2014.10.14
무슨 일이 닥치면 내가 이걸 통해 무… 더보기

고달픈 글쟁이 시절

댓글 0 | 조회 1,550 | 2014.10.29
다음은 제 희곡을 추천해 주신 선생님… 더보기

행복이란 상대적인 것

댓글 0 | 조회 1,901 | 2014.11.25
찾아보면 다 행복인데 왜 내가 찡그리… 더보기

세계는 넓고 할일은 많다

댓글 0 | 조회 1,413 | 2014.12.10
저는 김우중 씨 책 나왔을 때 보고 … 더보기

법복을 벗고

댓글 0 | 조회 1,374 | 2015.01.13
정치나 경제를 하부구조라고 합니다. … 더보기

예술가의 행복

댓글 0 | 조회 852 | 2015.01.29
천상병 시인 얘기 아시죠. 하루에 천… 더보기

초승달과 보름달

댓글 0 | 조회 1,345 | 2015.02.10
한 해를 돌아보면 많은 감회가 어리고… 더보기

바닥을 경험 해 본 사람

댓글 0 | 조회 1,350 | 2015.02.24
바닥이라는 것이 그렇게 편할 수가 없… 더보기

고정된 것 바꾸기

댓글 0 | 조회 1,484 | 2015.03.10
나이가 들수록 가치관을 바뀌기가 어렵… 더보기

나눌 수 있는 것을 나누는 부부

댓글 0 | 조회 1,806 | 2015.03.24
부부라는 게 자신의 생활을 가지면서 … 더보기

결혼관계의 유형

댓글 0 | 조회 1,704 | 2015.04.14
개인마다 다르긴 하지만, 인간만큼 그… 더보기

독립적으로 아이 키우기

댓글 0 | 조회 1,338 | 2015.04.29
제 아이들이 사춘기를 좀 빨리 겪었습… 더보기

아이들이 높을 수 있다

댓글 0 | 조회 1,210 | 2015.05.12
홍신자 씨가 책에 그렇게 썼더군요. … 더보기

현재 차원이 넘어가는 사랑

댓글 0 | 조회 1,619 | 2015.05.26
자기 존재를 너무 드러내는 것은 사실… 더보기

돈을 버는 능력

댓글 0 | 조회 1,588 | 2015.06.09
누구든지 돈을 버는 능력을 한두 가지… 더보기

인간으로서의 기본

댓글 0 | 조회 1,078 | 2015.06.23
우리는 여성해방이 아니라 인간 해방을… 더보기

내 것이 아니다

댓글 0 | 조회 1,446 | 2015.07.15
돈을 어떻게 써야 하느냐? ‘쓰는 거… 더보기

넉넉한 마음

댓글 0 | 조회 1,566 | 2015.07.29
사람들은 돈을 어디다 낼 때는 근사하… 더보기

주는 사람, 받는 사람

댓글 0 | 조회 1,361 | 2015.08.12
제가 옛날에 아는 분에게 10만원권 … 더보기

무심으로 베풀기

댓글 0 | 조회 1,304 | 2015.08.26
남에게 무엇을 해줄 때 제일 좋은 거… 더보기

돈에 관한 이야기 둘

댓글 0 | 조회 1,501 | 2015.09.09
하나. 몇 년 전 아는 분이 위암에 … 더보기

창조적인 일

댓글 0 | 조회 1,390 | 2015.09.23
일이라는 건 사람이 만드는 것입니다.… 더보기

자신의 자리

댓글 0 | 조회 1,654 | 2015.10.14
옛날에 공자님 말씀에, ‘시골 마을 … 더보기

하고 싶은 일을 찾아야

댓글 0 | 조회 1,451 | 2015.10.28
자신의 일은 우선 ‘하고 싶은 일’ … 더보기

너무 많이 요구하는 사회

댓글 0 | 조회 1,535 | 2015.11.11
팔방미인이란 말처럼 사실 불명예는 없…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