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가 작은 우리 아이, 고민하지 마세요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키가 작은 우리 아이, 고민하지 마세요

0 개 1,617 박기태

요즘 아이들에게 질문을 해보면 공부를 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게 큰 키라는 대답이 나온다. 요즘 세태가 자기 내면적 개발보다는 외모적인 우월성을 훨씬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뜻이다. 그러다 보니 부모들 역시 아이들의 키 성장 및 외모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키가 자라는 것은 크게 두 가지 요인, 즉 선천적요인과 후천적 요인이 작용한다. 선천적 요인이라 함은 유전적 요인을 말하는데, 큰 부모로부터 큰 자녀가 나온다는 뜻이다. 그래서 키가 작은 부모들의 자녀는 키가 작을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특별한 노력을 하지 않으면 키가 클 가능성은 적다.

 

한편, 후천적 요인으로는 영양, 운동, 수면, 스트레스등이 관여를 한다. 후천적 요인은 각자의 노력이나 관심으로 충분히 개선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이다. 다행스러운 것은 키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후천적인 요소가 선천적인 요소보다 훨씬 더 크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많은 보고서에 따르면 후천적 요인이 80% 정도를 차지하고 선천적 요인은 20% 정도 작용한다고 한다. 

 

c9a9d5ada724f5548cb7de3cdd5cc2b8_1566880145_3502.jpg
 

보편적으로 사람은 출생 후 2년간 급속성장을 하고 그 이후 사춘기 전까지는 1년에 4~6cm 정도씩 성장을 한다. 그리고 사춘기에 여성은 20~25cm, 남성은 30~35cm 정도 자라는 것이다. 그래서 치료의 방법도 사춘기 전과 후가 다르다. 사춘기 전의 시기는 1년 최대 6cm 성장을 목표로 치료를 해야 하고, 사춘기의 치료는 1년 최대 10cm이상의 성장을 목표로 치료를 한다는 것이다. 

 

사춘기 이전의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특정 질병과의 연관성이다. 일반적으로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편도선염 등의 면역관련 질환이 있다거나, 편식, 식욕부진, 변비, 설사, 비만 등의 영양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키가 잘 크지 않는다. 무엇보다도 먼저 이러한 질환들을 잘 치료해 주어야 할 것이다. 

 

사춘기 때의 시기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이다. 성장호르몬은 깊은 수면을 할 때 많이 분비된다. 이 시기는 공부도 중요하겠지만 성장을 위하여 최소한의 수면시간을 지켜야 하는 것이다. 밤 10시에서 아침 6시까지의 8시간 수면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다. 밤 늦게까지 공부하는 습관을 바꾸어 아침 일찍 일어나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야 키도 크고 공부도 잘하는 일거양득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키 성장을 위하여 키 크는 약이나 영양제등을 복용시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세상 어디에도 키 크는 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약간의 도움을 줄 뿐이다. 아이들의 성장 부진원인은 개개인이 모두 다르다는 것을 잊어선 안 된다. 정확한 진료후의 결과에 따라 처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갑자기 코피가 뚝뚝?

댓글 0 | 조회 2,381 | 2020.05.26
한의학에서는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 더보기

간에 문제가 생기면?

댓글 0 | 조회 1,955 | 2020.05.12
간에 문제가 생겼을 때 흔히 발생되는… 더보기

한쪽 다리가 짧으신가요?

댓글 0 | 조회 2,376 | 2020.03.24
예전에 비해 우리는 실내에서 생활하는… 더보기

자주 허리가 아프세요?

댓글 0 | 조회 1,250 | 2020.03.11
누구나 살아가면서 한 번은 요통을 경… 더보기

눈이 자주 피로하신가요?

댓글 0 | 조회 1,889 | 2020.02.25
눈이 침침하고 아프다고 호소하는 사람… 더보기

기침 때문에 오해를?

댓글 0 | 조회 1,291 | 2020.02.11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유… 더보기

고막 안에 물이 차요

댓글 0 | 조회 2,612 | 2020.01.28
환자 자신이나 주위 사람이 전혀 느끼… 더보기

이유없이 손발이 떨리고 근육이 둔해지나요?

댓글 0 | 조회 2,599 | 2020.01.14
운동을 심하게 했을 때나 긴장했을 때… 더보기

자궁하수증

댓글 0 | 조회 2,408 | 2019.12.23
자궁하수증이란 자궁이 정상 위치보다 … 더보기

그곳에 분비물이 많아지고 악취가 나나요?

댓글 0 | 조회 2,339 | 2019.12.11
여성이 일생 동안 한 번 이상 겪게 … 더보기

우울할 때 대추차 한잔 어떠세요?

댓글 0 | 조회 1,346 | 2019.11.26
최근 한방의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 더보기

베개는 머리가 아니고 목에 베고 자는 것이다

댓글 0 | 조회 1,729 | 2019.11.12
일상생활에서 어떤 특정한 동작을 할 … 더보기

허약아 3

댓글 0 | 조회 1,210 | 2019.10.22
★ 간장과 신장이 약한 허약아한의학에… 더보기

허약아 2

댓글 0 | 조회 1,161 | 2019.10.08
★ 비위가 약하고 장이 허약한 허약아… 더보기

허약아 1

댓글 0 | 조회 1,108 | 2019.09.25
일반적으로 허약아란 몸이 야위고 자주… 더보기

천식으로 고생하는 아이, 너무 안타까워요 ㅠ ㅠ

댓글 0 | 조회 1,433 | 2019.09.11
공업화가 진행되고 식생활과 생활환경이… 더보기
Now

현재 키가 작은 우리 아이, 고민하지 마세요

댓글 0 | 조회 1,618 | 2019.08.27
요즘 아이들에게 질문을 해보면 공부를… 더보기

반복되는 유산 - 어떻게 할까요?

댓글 0 | 조회 1,091 | 2019.08.13
유산은 크게 자의에 의한 인공유산과 … 더보기

애가 말을 잘 듣지 않고 항상 제멋대로 굴어요 ㅠ ㅠ

댓글 0 | 조회 1,944 | 2019.07.23
요즈음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 더보기

다 큰 아이가 밤에 오줌을 싸요 ㅠ ㅠ

댓글 0 | 조회 2,517 | 2019.07.09
잠잘 때 꿈속에서 소변을 보았는데 깨… 더보기

진짜 걸리기 싫은 질병 - 중풍

댓글 0 | 조회 1,568 | 2019.06.26
중풍에는 두 종류가 있다. 하나는 뇌… 더보기

척추측만증

댓글 0 | 조회 1,684 | 2019.06.12
척추측만증이란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면… 더보기

매일 피곤하고 목이 불편해요ㅠㅠ

댓글 0 | 조회 1,655 | 2019.05.28
우리가 보통 만성피로를 느낄 때 대체… 더보기

허리를 펼 때 불편하신가요?

댓글 0 | 조회 1,652 | 2019.05.15
산업사회로 접어들면서 육체노동보다는 … 더보기

턱 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통증이 있나요?

댓글 0 | 조회 2,044 | 2019.04.24
말을 하거나 음식을 씹는 행위를 제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