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도시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영화와 도시

0 개 1,227 명사칼럼

006282d719226bd60772c1b8c4a30a25_1585108270_0282.jpg

뉴욕 출신 거장 영화감독들이 만든 뉴욕 스토리 

‘인생은 흘러가고 흘러가는 것’ 

우디 앨런, 마틴 스콜세지 등 참여 


한때 뉴욕이란 곳에서 3년 정도 살아보고 싶다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새 천년이 시작되는 밀레니엄 초입, 일주일 동안 뉴욕 5번가 등 맨하탄과 감미로운 멜로 영화에 등장하는 센트럴 파크등을 돌아다니면서 뉴욕이 주는 로맨틱과 도시 분위기 매력에 푹 빠져있을 때였다.  무엇보다 미국 마피아 영화에 자주 등장했던 브루클린 브릿지를 봤을 때의 그 행복감이란 이루 말할 수 없다.

 

유명 감독들이 옴니버스로 세계 각국 유명 도시를 배경으로 각자의 개성과 주제를 담아 만든 영화들이 있지만 그중 <뉴욕스토리>는 프란시스 코폴라, 마틴 스콜세즈, 우디 앨런등 3명의 현대 거장 감독들이 뭉쳐 개성있는 스토리와 독특한 주제 및 소재로 다양한 뉴요커들의 삶과 문화 예술을 스크린에 담아낸 뛰어난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주지하듯 마틴 스콜세지 감독은 갱스터 무비로 뉴욕의 밤을 주로 다뤘는가 하면, 이와 반대로 우디 앨런은 뉴욕 중산층 유태인들의 삶에 포커스를 맞춰 뉴욕의 낮을 배경으로 일상을 다룬 소재가 많다. 특히 우디 앨런 감독은 특유의 감칠맛 나는 대사와 미장센으로 “인생은 흘러가고 흘러가는 것이다.”는 서사와 철학을 보여주는 대표적 감독으로 손꼽힌다.

 

이번 <뉴욕스토리>에서 우디 앨런은 다시 한번 스토리 텔러로서 자신만의 독특한 재미와 감동을 선사한다. 우선 이번 작품에서 우디 앨런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제목을 통해 어머니와 자식 간의 불편한 사랑과 애정에서 비롯된 감정과 생각에서 연유한 기막힌 영화적 허구와 상상은 놀랍다. 뉴욕의 큰 로펌(법률)회사에서 출세한 중역으로 일하는 주인공 자신의 큰 걱정거리는 예상외로 어머니다. 매사 사사건건 간섭하고, 50세가 다 된 자식을 무안 주기를 밥 먹듯이 하고, 무엇보다 자신의 약혼녀(미아 패로우 분)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캐릭터로서의 어머니. 로펌회사 중역회의 때 뜬금없이 나타나 회의 중인 아들을 불러내어 연극 <캐츠>를 보고 왔다고 자랑하는가 하면 주변인들에게 어렸을 때 ‘빨강머리 아이’였다고 말하고, 우디의 어린 날 남들과 달랐던 행동들에 대해 수다스럽게 떠들어대는 어머니가 자신의 인생의 장애물이라 생각하는 우디는 어머니가 사라져 버리기를 꿈꾼다. 그런데 실제로 그런 일이 발생한다. 우디와 약혼녀의 아이들과 보게 된 중국 경극 무대의 마술쇼 관람 도중 객석의 게스트로 무대에 올라와 마술쇼 도중 진짜(?)사라진 것이다. 

 

우디는 어머니가 사라지자 처음에는 사설탐정을 고용해 어머니를 찾아나서나 이내 평정심을 되찾고 평생 느낀 적 없는 해방과 자유를 만끽하는 행복감에 사로잡힌다. 이는 그동안 전에 없던 일로 약혼녀와의 깊은 베드신 경험이 되살아나고 로펌회사에서의 자신감 있는 일처리와 주변인들과의 교감 등에서 보여진다. 우디는 어머니가 죽은 게 아니고, 신비롭고 평화롭게 사라졌다고 마음의 위안을 삼는다. 그 행복감은 약혼녀 리사와 뉴욕 맨하탄 야경을 감상하며 절정에 이른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뉴욕 한복판에 놀랄 일이 벌어진다. 그 사라졌던 어머니가 뉴욕 마천루의 빌딩 사이로 나타난 것이다. 길 가던 자동차들이 멈춰서고 사이렌과 경적을 울리는 도로에 운전자들이 나와 선 가운데 마치 신(神)처럼, 예수처럼 큰 바위 얼굴로 뉴욕 시내를 내려다보며 우디 자신을 비웃고 결혼을 반대하는 이유를 만천하에 고해버린 것이다. 우디는 다시 고통과 모욕에 몸서리치며 악몽으로 되살아난 이 사건이 뉴스 속 사건으로 비화되면서 열띤 취재경쟁으로 번지면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게 되는데...

 

우디 앨런의 <오디 콤플렉스>에 곁들여 프란시스 코폴라의 <라이프 위즈아웃 조>, 마틴 스콜세즈의 <인생 수업>등 세 작품의 옴니버스 연작 <뉴욕 스토리>는 뉴욕을 배경으로 그 안에 살고 있는 다양한 뉴요커들의 삶과 사랑, 예술을 담아낸 뉴욕의 자화상이다.

 

 

■ 백 학기 (시인, 영화인) 

 

006282d719226bd60772c1b8c4a30a25_1585108306_9761.jpg
 

영웅은 없다

댓글 0 | 조회 990 | 2021.02.24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비극의 주인공… 더보기

나라의 근본 체력은 국방력과 조세제도

댓글 0 | 조회 1,154 | 2021.02.11
국방과 조세는 자의적 해석이나 타협-… 더보기

소통이 고통인 당신… 완벽, 승리, 주역 욕심을 버려라

댓글 0 | 조회 1,580 | 2021.01.27
소통은 직장생활 내내 화두였다. 나는… 더보기

세종 때부터 <중용>은 초법적인 지위를 얻었다!

댓글 0 | 조회 1,174 | 2021.01.13
어느 시절인들 유교 경전에 탁월한 선… 더보기

영웅은 없다

댓글 0 | 조회 1,317 | 2020.12.23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면 비극의 주인공… 더보기

굴비가 영어로는?

댓글 0 | 조회 6,627 | 2020.12.09
“여보, 당신 피타고라스 정리가 무엇… 더보기

위대함의 원천

댓글 0 | 조회 1,303 | 2020.11.25
인간은 근본적으로 문화적 존재다. 자… 더보기

말 잘하는 리더의 5가지 마음

댓글 0 | 조회 1,737 | 2020.11.11
리더의 말에는 ‘5심’이 있어야 한다… 더보기

코로나 19 시대, 외계인보다 문어가 더 궁금한 이유

댓글 0 | 조회 2,429 | 2020.10.29
코로나19 시대에 집콕 생활을 하다 … 더보기

말에도 뿌리가 있다

댓글 0 | 조회 1,477 | 2020.10.14
■ 강 진모말에도 뿌리가 있다. 어떤… 더보기

‘양심을 찍는 도끼’와 ‘쇤네 근성’

댓글 0 | 조회 1,526 | 2020.09.23
코로나 사태 이전 이야기다. 문학 관… 더보기

문외한의 영시(英詩) 산책

댓글 0 | 조회 1,399 | 2020.09.09
얼마 전 아내와 함께 흰 구름도 눈 … 더보기

냉담하지 말고, 지치지 말고

댓글 0 | 조회 1,603 | 2020.08.26
법(法)의 옛글자는 灋(법)이다. 이… 더보기

부끄러워 할 줄 안다는 것

댓글 0 | 조회 1,395 | 2020.08.12
“부끄러움 아는 자기반성 능력, 인간… 더보기

유머감각이 리더십이다

댓글 0 | 조회 1,495 | 2020.07.29
“당신은 웃기는 사람입니까”간디가 영… 더보기

도전 정신으로 훨훨 날으며

댓글 0 | 조회 1,661 | 2020.07.15
매년 11월3일은 학생독립운동 기념일… 더보기

직장 동료를 존중해서 항상 영어를 사용하기 바랍니다

댓글 0 | 조회 3,653 | 2020.06.23
지난 5월 27일 RNZ에 자극적인 … 더보기

광주 환벽당

댓글 0 | 조회 1,630 | 2020.06.10
어지러운 세상, 시와 술로 달래던 김… 더보기

리더가 말하는 법

댓글 0 | 조회 1,889 | 2020.05.27
‘리더십=동기부여 역량’… 경청, 칭… 더보기

사형수와의 인터뷰

댓글 0 | 조회 2,125 | 2020.05.13
올해 하반기는 ‘사형 확정자의 생활 … 더보기

화순 학포당

댓글 0 | 조회 1,445 | 2020.05.04
의(義)란 무엇인가, 두 번 보여준 … 더보기

비극이 소극(笑劇)으로 끝나지 않기 위하여

댓글 0 | 조회 1,634 | 2020.04.23
이른바 ‘엔(N)번방 사건’은 여성 … 더보기

아름다운 손

댓글 0 | 조회 2,034 | 2020.04.15
▲ Inspiringstory "Th… 더보기

강원국의 리더가 말하는 법

댓글 0 | 조회 1,535 | 2020.04.06
리더는 갈등을 ‘변화의 디딤돌’로 만… 더보기
Now

현재 영화와 도시

댓글 0 | 조회 1,228 | 2020.03.25
뉴욕 출신 거장 영화감독들이 만든 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