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정부예산 - 가족수당 변경내용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2015 정부예산 - 가족수당 변경내용

0 개 3,262 박종배
얼마전 발표된 2015년도 정부예산에는 2016년4월1일부터 변경/시행되는 가족수당(Working for Families Tax Credits)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번호에는 변경 가족수당의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우선, 이미 언론에 알려져 있듯이 2016년4월1일부터 매주 최고 $24.50의 가족수당이 인상된다.  그렇지만, 실제로 매주 $24.50의 추가 가족수당을 받는 경우는 드물며, 가족수당을 받는 납세자 대부분은 매주 $0 ~ $12.50 의 인상이 있겠다.  

보다 구체적으로 알아보겠다.  이번에 가족수당으로 인상되는 항목은 Minimum Tax Credit 매주 최고 $12.00, 그리고 In-work Tax Credit으로 매주 $12.50 이다. (합계 매주 최고 $24.50)  

여기서 Minimum Tax Credit은 부부 주 30시간이상, 싱글부모 주 20이상 근무 고용소득이 (사업소득 및 주주급여 제외) 세후 연 $23,036 미만일때 추가지원되는 가족수당으로써, 수혜자는 상당히 적다 (현재 약 4,000가정).  반면에 In-work Tax Credit은 수혜폭이 넓다. 예를들어 자녀2명 기준으로 가족연소득이 $89,000 미만일 경우 In-work Tax Credit을 받을 수 있다.  정부에 의하면, 203,000가정이 In-work Tax Credit 인상의 수혜를 받을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연소득이 $36,350를 초과할 경우 가족수당 중 Family Tax Credit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번에 이렇게 초과되는 소득 $1.00당 줄어드는 폭(Abatement Rate)이 약간 높아졌다.  현재는 초과소득 $1.00 당 $0.2125의 Family Tax Credit이 감소되고 있지만, 내년 4월1일부터는 초과소득 $1.00 당 $0.225의 Family Tax Credit이 감소된다.  

결과적으로 이런 abatement rate의 증가 때문에 매주 $12.50의 In-work Tax Credit이 인상이 되지만, 가족수당 전체적으로는 (Family Tax Credit + In-work Tax Credit)는 연소득 $36,250이하인 경우 $12.50의 인상이 되고, 연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인상이 점점 줄어들게 되어  어느 시점 (대략 연소득액 $90,000) 부터는 오히려 현재보다 가족수당이 줄어든다.

아래에 정부자료 중의 일부를 발췌해 보겠다.

park.jpg

주의>> 본 칼럼은 안내를 목적으로 쓰여졌습니다.  따라서, 저희글에 의지하여 발생하는 손실에 대해서 저희가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지연납부가산세 및 이자

댓글 0 | 조회 2,734 | 2017.05.10
연중 4월 5월은 사업주에게는‘세금납… 더보기

Contractor 관련 변경내용

댓글 0 | 조회 2,130 | 2017.04.27
이번호에는 지난 2017년4월1일자로… 더보기

해외소득 신고 - 4. 해외소득 신고면제 외

댓글 0 | 조회 2,712 | 2017.04.11
이번호에는 일시해외소득신고면제에 대해… 더보기

해외소득 신고 - 3. 임대 소득

댓글 0 | 조회 2,237 | 2017.03.22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해외소득신고… 더보기

해외소득 신고 - 2. 투자 및 금융소득

댓글 0 | 조회 2,780 | 2017.03.08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해외소득신고… 더보기

해외소득 신고 - 1. 해외주식투자

댓글 0 | 조회 3,904 | 2017.02.21
앞으로 4회에 걸쳐 IRD자료를 근거… 더보기

사업의 시작- 3. 사업운영 준비

댓글 0 | 조회 1,479 | 2017.02.08
이번호에는 사업체운영시 숙지해야하는 … 더보기

사업의 시작- 2. 사업체 매매계약시 고려사항

댓글 0 | 조회 2,445 | 2017.01.26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사업체 구매… 더보기

사업의 시작- 1. 사업체 구매계약 전 고려사항

댓글 0 | 조회 1,781 | 2017.01.11
앞으로 3회에 걸쳐, 사업체구매 및 … 더보기

주택매매 - ‘일정한 패턴’ 종합

댓글 0 | 조회 1,703 | 2016.12.21
지난 3회 동안 최근에 발표된 IRD… 더보기

주택매매 - ‘일정한 패턴’ 적용예 (2)

댓글 0 | 조회 1,866 | 2016.12.06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이어 두번째로 I… 더보기

주택매매 - ‘일정한 패턴’ 적용예 (1)

댓글 0 | 조회 1,588 | 2016.11.23
이번호에는 지난호에 소개했듯이 IRD… 더보기

주택매매 - ‘일정한 패턴’

댓글 0 | 조회 1,795 | 2016.11.09
잘 알려져 있듯이, 소득세법에는 본인… 더보기

고용주가 갖추어야 할 고용자료

댓글 0 | 조회 3,173 | 2016.10.27
이번호에는 정부(Employment … 더보기

세금신고하지 않는 Cash Job

댓글 0 | 조회 2,843 | 2016.10.11
9월19일자 뉴질랜드헤럴드에 의하면,… 더보기

“사업은 잘 되는데, 돈이 없다”

댓글 0 | 조회 2,382 | 2016.09.27
“사업은 잘 되는데 돈이 없다” 사업… 더보기

키위세이버 선택하기

댓글 0 | 조회 6,798 | 2016.09.15
이번호에는 정부웹사이트(kiwisav… 더보기

뉴질랜드에서의 접대비 (Entertainment) 세무처리

댓글 0 | 조회 2,711 | 2016.08.25
한국에서 사업체운영 경험이 있는 교민… 더보기

Residential Land Withholding Tax

댓글 0 | 조회 1,552 | 2016.08.11
이번호에는 지난 5월10일 국회를 통… 더보기

홈스테이 소득신고

댓글 0 | 조회 3,668 | 2016.07.27
이번호에는 홈스테이 (Homestay… 더보기

차량관련 FAQ - 2

댓글 0 | 조회 1,344 | 2016.07.13
<지난호 이어서 계속>(질… 더보기

차량관련 FAQ - 1

댓글 0 | 조회 2,147 | 2016.06.22
완전한 사업용차량이 아닌 경우에는 실… 더보기

국내 거주자의 학자금대출 상환

댓글 0 | 조회 1,610 | 2016.06.08
뉴질랜드에 거주하는 자의 학자금대출 … 더보기

피싱 (Phishing)

댓글 0 | 조회 1,939 | 2016.05.25
피싱(phishing)이라 함은 이메… 더보기

최저임금 (Starting-out Wage)

댓글 0 | 조회 2,668 | 2016.05.11
이번호에는 법정최저임금 중 Star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