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8] 서양채소와 향신채 허브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68] 서양채소와 향신채 허브

0 개 3,294 KoreaTimes
  서양채소, 한국채소의 분류는 기준이 모호한 면이 있다. 서양채소는 원산지가 서양으로 주로 서양인들이 즐겨 먹는 채소류로 정의하는 것이 문안할 것이다. 세계 여행이 빈번해 지면서 셀러드 등에서 서양채소를 접할 기회가 점차 늘어나게 있으나, 이들에 대한 우리 식단의 이용은 한계가 있다. 그러면 우리는 서양채소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까? 또한 향신채소 허브는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나?

  서양채소는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무척 다양하고 영양가도 풍부한 것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우리 한국인들은 채소를 무척 좋아하는 민족으로 정평이 나 있다. 그러니, 여기서 구하기 힘든 한국 채소만 고집할게 아니라, 어디에서나 흔한 서양채소를 활용하게 되면 풍성한 식탁을 손쉽게 마련하리라 생각된다. 서양채소는 쌈 채소로, 요리재료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그러면 이에 대한 활용에 앞서 분류를 살펴보자. 마늘 양파 등 수선과(Allium family)에는 리이크, 샤롯, 차이브가 있고, 배추 무 등 배추과(Cruciferae family)에는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방울양배추, 케일, 크레스가 있으며, 가지 토마토 고추 등 가지과(Solanaceaae family)에는 파프리카(Capsicum, 착색단고추)가 있다. 또한 수박 호박 등 박과(Cucurbitaceae family)에는 멜론, 서양호박을 들 수가 있고, 당근과 같은 과(family)에는 셀러리, 파슬리가 있다. 게다가 서양 사람들은 콩 종류를 채소로 활용하는 사례가 많은 게 우리와는 사뭇 다르다.

  따라서 우리 요리에도 우리 재료와 비슷한 서양채소를 활용하게 되면 그 맛을 더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마늘 파가 부족하면 리이크 샤롯을 넣어보고, 배추쌈 대신에 케일을, 아스파리가스를 두릅나물처럼 사용해 보는 것이 어떨 런지요.

  서양요리에서는 생 허브를 이용해서 맛과 향을 돋우는 사례가 많다. 특히 유럽인들은 자연물질 활용해서 맛과 향을 내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고 있다. 향신채의 활용범위가 넓지 않은 우리에게는 생소하게 여겨지나, 우리 기호에 맞는 허브를 찾아내 우리 요리의 격을 높이는 데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동남아나, 중국을 여행해 본 경험이 있는 분이라면 고수(Coriander)의 독특한 향을 기억하리라 생각된다. 필자는 태국을 방문했을 때 음식에 들어 간 고수 향으로 요리 먹는 것을 포기한 적이 있다. 그런데, 전북 무주지방 출장에서는 삼겹살에 고수를 쌈으로 곁들였을 때의 그 맛을 잊을 수가 없다. 전라북도 산간지방에서는 김치에도 고수를 넣어서 즐긴다고 한다. 또한 스님들 사이에서도 전통채소로 알려져 있다고 한다. 이렇게 개인별 기호에 맞는 활용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게 사실이다.

  서양채소와 허브는 또 다른 음식의 재료다. 고추가 서양에서 들어와 우리 김치와 접목되면서 몇 세기만에 전통식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서양채소와 허브도 또 다른 우리의 음식재료로 활용할 가능성은 무궁무진 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우리 집 요리 전문가의 손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요리사님, 오늘 저녁 식탁에는 아스파라거스 요리가 어떨 런지요?

우리 동네 과일가게

댓글 0 | 조회 3,538 | 2011.03.09
‘당신은 대형 마트에서 쇼핑하는 것을… 더보기

여름이 지난 후 잔디밭에는

댓글 0 | 조회 3,885 | 2011.02.08
뉴질랜드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잔디밭으… 더보기

새소리가 시끄럽습니까?

댓글 1 | 조회 3,980 | 2011.01.14
예전 기억으로는 고향에는 참새가 무척… 더보기

하얀 진이 뚝뚝 떨어지는 상추

댓글 0 | 조회 4,592 | 2010.12.07
상추를 쌈으로 먹은 것은 한국인의 고… 더보기

완벽함을 추구하는 아보카도

댓글 2 | 조회 5,484 | 2010.11.10
이런 과일은 어떨까? 우선 영양가가 … 더보기

치치ˇ 식물원의 봄

댓글 0 | 조회 3,357 | 2010.10.12
크라이스트처치 방문 계획을 세우는 데… 더보기

우리의 안전한 먹거리를 생각한다

댓글 0 | 조회 3,121 | 2010.09.15
세상에 먹을 게 넘쳐 나지만 안전한 … 더보기

우리 곁에 성큼 다가선 GE 농산물

댓글 0 | 조회 3,014 | 2010.08.10
지난해 전 세계 농경지 가운데 3% … 더보기

한국 동치미와 일본 단무지

댓글 0 | 조회 5,122 | 2010.07.13
1970년대 학창시절 강의실에서 있었… 더보기

키위 나라 키위 이야기

댓글 0 | 조회 4,071 | 2010.06.09
“뉴질랜드 키위(Kiwi fruit)… 더보기

경외스런 자연 Kauri

댓글 0 | 조회 3,326 | 2010.05.11
카우리는 태고부터 뉴질랜드에 자리 잡… 더보기

기후변화 이야기

댓글 0 | 조회 3,157 | 2010.04.13
지난 1월 중국 북경에는 폭설이 내렸… 더보기

풀 먹고 자란 소와 곡물사료로 키운 소

댓글 2 | 조회 14,927 | 2010.03.09
지구를 살리려면 소고기를 더 많이 먹… 더보기

고추가 너무 매워요

댓글 1 | 조회 4,044 | 2010.02.09
여름철 저녁 식탁에서 모녀간의 대화다… 더보기

지속 가능한 우리의 생활공간을 위하여

댓글 0 | 조회 3,059 | 2010.01.12
우리의 생활공간은 행복한 삶을 위하여… 더보기

Hamilton Gardens

댓글 0 | 조회 3,148 | 2009.12.08
뉴질랜드 12월은 장미의 계절이다. … 더보기

도대체, 벌에게 무슨 일이

댓글 0 | 조회 3,453 | 2009.11.10
세계적으로 벌에 관한 얘기가 많아지고… 더보기

독감을 이기는 식품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4,001 | 2009.10.13
세계적으로 스와인플루(Swine Fl… 더보기

아시아 채소에 대한 관심

댓글 0 | 조회 3,905 | 2009.09.08
이제는 동서간의 왕래가 빈번해짐에 따… 더보기

뉴질랜드의 White wine과 호주의 Red wine

댓글 1 | 조회 3,656 | 2009.08.11
뉴질랜드와 호주의 포도주 생산을 살펴… 더보기

오클랜드에서 나무를 심을 때는

댓글 0 | 조회 3,802 | 2009.07.14
오클랜드는 겨울철에도 땅이 얼지 않아… 더보기

감이 노랗게 익어 가면 의사의 얼굴이 노래진다

댓글 1 | 조회 4,393 | 2009.06.09
가을은 탐스럽게 익어가는 감과 함께 … 더보기

어떤 사과를 좋아 하시는 지요

댓글 0 | 조회 3,918 | 2009.05.12
뉴질랜드 사과는 환경 친화적인 재배와… 더보기

오클랜드 식물원에는 지금

댓글 1 | 조회 2,938 | 2009.04.15
어느 도시나 식물원을 하나쯤은 가지고… 더보기

뒷마당을 넘겨다보는 옆집 복숭아 나무

댓글 0 | 조회 4,003 | 2009.03.11
옆집에는 우리 뒷마당을 넘겨다 보면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