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상당의 주식을 $5에 대량 매입을 시도한다면?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10 상당의 주식을 $5에 대량 매입을 시도한다면?

0 개 5,293 NZ코리아포스트
최근 투자자들의 어리숙함을 이용해 주식 거래를 통한 시세차익을 노린 한 사업체의 행각이 발각되어 화제를 일의키고 있다. Energy Securities라는 사업체는 뉴질랜드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특정 회사의 주주들에게 편지를 보내어 주식의 매입을 시도했다. 주식 매입의 목표가 된 회사 중에는 Contact Energy, Fisher & Paykel Appliances, Fletcher Building, Guinnes Peat Group, Nuplex, Trustpower 그리고 Vector 등 유수의 회사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한 개인이 다른 개인에게 주식의 매매를 제안하는 것은 문제가 될 것이 없어 보인다. 하지만 만약 시가 $10 상당의 주식을 $5에 매입을 시도한다면?

Energy Securities는 버나드 윔프라는 뉴질랜드 부동산 개발업자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사업체인데, 윔프는 이 사업체를 통하여 위에서 언급한 일곱 회사의 주식을 시가보다 적게는 27% 많게는 43% 낮은 가격으로 매입을 시도했다. 위 일곱 회사는 특별히 주식 가치가 떨어질 조짐을 보이지도 않았고, 규모도 상당한 소위 ‘우량주’에 속하는 주식들이다.

윔프는 (아마도) 의도적으로 소액 주주들에게만 편지를 보내 주식의 매입을 시도했는데, 의외로 많은 주주들이 윔프의 제안을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벡터라는 회사의 주식의 12월 29일 시세는 $2.36 이었지만 윔프의 매입가는 $1.56이었는데, 이 회사의 주식을 10,000주 소유하고 있는 주주가 윔프의 제안을 받아 들였다면 그는 $8,000 상당의 손해를 본 것이 된다.

그럼 윔프(형식적으로는 에너지 시큐리티즈라는 사업체)에게 주식을 매도한 주주들은 왜 윔프의 제안을 받아들인 것일까?

1. 윔프가 해당 회사의 주주들에게 보낸 편지는 공문의 형식을 띄고 있었기에, 적지 않은 사람들이 주식을 파는 것을 당연하게 여겼고, 비영어권 출신의 이민자 중에는 윔프의 제안이 그 가격에 매도한다고 잘못 알아들은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2. 윔프의 매매 제안은 뉴질랜드 대다수의 사람들이 휴가를 보내는 12월말에 시도되었고, 이 시기에는 주식 브로커나 은행 매니저등 전문가들 역시 휴가중이었고 주주들은 적절한 조언을 받기가 어려웠다.

3. 윔프는 대량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은 피하고, (아마도 의도적으로) 소량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에게만 주식매매를 제안하였고, 소액 주주들은 주식 시세에 비교적 어두운 편이었다. 즉, 윔프가 제안한 매입가가 낮은지, 높은지 판단할 능력이 저하된 사람들을 목표로 삼은 셈이다.

참고로 상장등을 통해 증권을 대중에게 제공/공개한 회사는 주주의 이름, 주소 그리고 보유한 주식의 수량등을 기록하고 보관할 의무가 있고, 이 기록은 공공문서로서 대중에게 공개된다. 윔프역시 이러한 기록을 통해 목표로 삼을 주주를 선택하여 매입 제안을 보낸 것으로 추측된다.

윔프의 주식 매입 시도는 뉴질랜드 현행법상 합법적인 행위였고, 윔프의 제안을 받아들인 주주들만 피해를 입은 셈이다. 사실 법적인 측면에서 ‘가해자’가 없기에 딱히 피해자라 지칭 할 수도 없지만, 윔프의 이러한 행각은 사회의 지탄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나 2007년 이후로 제 2 금융권 붕괴로 인해 피해를 입은 투자자들이 이번 윔프의 주식매입으로 또 한번 상처를 받지는 않았을까 걱정이 앞선다. 특히나 영어가 원어가 아닌 교민들에게 피해가 없었으면 한다.

호주의 경우에는 윔프처럼 어리숙한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대량의 주식 매입을 시도하는 것을 막기위해 몇가지 안전장치가 있는데, 그 중 몇가지만 살펴보면:

A. 주식 매입을 제안할땐 그 당시 주식의 시세를 공지해야 하며;
B. 제안을 받는 투자자가 적어도 한달 이상 생각할 시간을 주어야 하며;
C. 위의 사항을 어길시에는 상당 금액의 벌금이나 징역이 부과될수 있다.

뉴질랜드 현행법에는 비슷한 조항이 없는데, 윔프 사건 이후로 관련법이 개정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관개정 - 비합법적으로 개정된 정관

댓글 0 | 조회 1,950 | 2013.06.25
얼마 전 (xxx호) 칼럼에서 사단법… 더보기

홇배 이셔도

댓글 0 | 조회 3,085 | 2013.06.12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 더보기

CCCFA - 해약 권한

댓글 0 | 조회 2,717 | 2013.05.29
이번 칼럼에서는 Credit Cont… 더보기

행복추구권

댓글 0 | 조회 1,409 | 2013.05.15
“모든 국민은 인간으로서의… 더보기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댓글 0 | 조회 1,697 | 2013.04.24
이제 신부에게 키스해도 됩니다... … 더보기

주인이 없는 재산은 어떻게 될까? (Bona Vacantia)

댓글 0 | 조회 1,606 | 2013.04.10
많은 영어 단어들이 라틴어에서 파생 … 더보기

‘동물후생법’(動物厚生法)?

댓글 0 | 조회 1,341 | 2013.03.27
뉴질랜드 현지 사회에서 한글을 사용하… 더보기

Incorporated Society - 사단법인

댓글 0 | 조회 1,979 | 2013.03.12
교민 사회를 보면 여러 단체들이 존재… 더보기

비밀 엄수 - Confidentiality Agreement

댓글 0 | 조회 2,103 | 2013.02.27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를 때가 있다.… 더보기

분양 계약(Ⅱ)

댓글 0 | 조회 1,663 | 2013.02.13
분양되는 유닛이나 건물을 구매할 때는… 더보기

분양 계약

댓글 0 | 조회 1,950 | 2013.01.31
부동산 경기가 살아나는 조짐을 보이고… 더보기

품질보증

댓글 0 | 조회 1,360 | 2013.01.16
얼마 전 해외에서 쇼핑을 하다가 전기… 더보기

2012년 마지막 사색 - 철새 방지법

댓글 0 | 조회 1,078 | 2012.12.24
선거철이다. 뉴질랜드가 아니고, 대한… 더보기

‘갑’ 이 ‘을’ 보다 항상 유리하다고...?

댓글 0 | 조회 1,591 | 2012.12.11
이번호에서는 계약법과 관련하여 다소 … 더보기

홍길동, Gil-Dong Hong, Geoff Hong

댓글 0 | 조회 1,562 | 2012.11.27
다문화 국가를 표방하는 뉴질랜드에는 … 더보기

공동 소유 계약서 ( Co-ownership Agreement )

댓글 0 | 조회 4,052 | 2012.11.13
집이란 인간이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 더보기

견공(犬公)의 생존권의 가치

댓글 0 | 조회 1,616 | 2012.10.24
인간의 가장 좋은 친구는 개라는 말이… 더보기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댓글 0 | 조회 2,731 | 2012.10.10
같은 말이라도 아 다르고 어 다르다 … 더보기

그래 이거야!

댓글 0 | 조회 1,721 | 2012.09.26
간혹 예고없이 기발한 아이디어나 아이… 더보기

음주운전 - 알코올 인터락

댓글 0 | 조회 4,770 | 2012.09.11
한 잔 정도는 괜찮겠지…… 더보기

사색(Ⅲ) - 아저씨의 재발견

댓글 0 | 조회 1,606 | 2012.08.28
얼마 전 고객 한 분과 식사를 하는데… 더보기

법정 모독

댓글 1 | 조회 1,915 | 2012.08.15
법정 모독(contempt of co… 더보기

착한 사마리아인 법 - 방관자 신드롬

댓글 0 | 조회 5,523 | 2012.07.25
피를 흘린 채 길가에 쓰러져 있는 사… 더보기

금지된 결혼

댓글 0 | 조회 2,273 | 2012.07.11
‘내가 맘에 들어 하는 여… 더보기

버려진 땅

댓글 0 | 조회 2,777 | 2012.06.27
2007년경부터 시작된 경제 위기의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