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투나우 해변 → 크라이스처치(Ⅱ)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모투나우 해변 → 크라이스처치(Ⅱ)

0 개 1,752 NZ코리아포스트
우리의 또 다른 관심사였던 로빈씨 부부의 캐러밴에 대해서도 살펴보겠다. 입구에 들어서면 예닐곱 명은 앉을 수 있는 널찍한 소파가 있고 사방에는 원목 수납장이 가득하다. 훤하게 들어오고 실내에는 그윽한 커피향이 가득 차 있다. 침실은 주름식 문으로 막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침대 밑이나 소파 밑 어느 공간도 그냥 놀리는 곳이 없다. 가스오븐과 태양열 전지와 텔레비전 등 실내는 오랜된 두 연인을 위해 충분한 공간이면서도 남아서 버리는 곳도, 부족한 곳도 없다.
벽에도 그들이 처음 만났던 에스프리투 산토 섬의 지도가 붙어 있어 또 한 번 우리를 뭉클하게 만든다. 고향을 떠나는 사람에게 아쉬운 인사를 하듯, 로빈씨 부부는 우리의 모습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어 주었다.

이해할 수 없는 화이트 베이팅

한여름에 접어들자 바다와 만나는 강 하구에서 긴 장화를 신고 뭔가를 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어차피 기다리는 사람도 없는데 뭐! 볼 것 안 볼 것 다 보고 가자!” 봉주 형님의 한마디에 우린 모두 의견을 모았다.

처음 뉴질랜드에 왔을 때 가장 모순되는 키위의 모습이 바로 화이트 베이팅(White Baiting)이었다. 뉴질랜드는 도미를 잡든 전복을 잡든 크기가 작으면 다시 바다로 돌려보낸다. 이러한 행동은 환경 보호 차원도 있지만, 작고 어린 생명 자체를 귀하게 생각하는 마음도 작지 않다. 그런데 어느 날 바닷가 하구에서 커다란 뜰채로 떠올려지는 수많은 치어들을 보게 되었다. 바로 화이트 베이트의 수난을 목격한 것이다. 뉴질랜드 사람은 대부분 정직하고 논리적이어서 어떤 상황에서든지 일관성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화이트 베이트를 잡는 일만은 아직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화이트 베이트는 엄밀히 말하면 뉴질랜드에 사는 작은 송어 종류(이낭아(Inanga)라고 부른다)인데 알에서 부화해서 아주 작은 상태로 바다에 나갔다가 성냥개비만 한 크기가 되면 태어났던 상류로 올라온다. 이것을 사람들이 그물로 걷어 올리는 것이다. 화이트 베이트는 뉴질랜드에서 1킬로그램당 100달러 가까이 되는 가장 비싼 고기(도미의 경우 1킬로그램에 약 12달러)라 예전에 여행할 때 조금 사서 먹어봤지만, 무미, 무취에다가 조리법도 달걀과 밀가루만 조금 넣어 부침개처럼 먹는 프리터와 같다. 워낙 맛 자체가 미세해서 달걀도 흰자만 넣어 먹는데 생각만큼 매력적인 맛은 아니다.

화이트 베이트 시즌이 되면 수많은 사람들이 먼 곳에서 화이트 베이팅을 위해 강 하구로 몰려든다. 아무튼 별 맛도 특별하지 않은 이 새끼고기를 잡는 키위들의 이해할 수 없는 모습을 보면 어릴 적 고무신으로 송사리를 잡던 또래 친구들이 떠오르기도 한다. 내일이면 드디어 한국에서‘허PD의 맛있는 음식’이 도착한다. 오늘 저녁은 허 PD 맞이 전야제로 간단한 바비큐를 하기로 했다. ㅋㅋ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355] 대장이 약한 목음체질(木陰體質)

댓글 0 | 조회 2,718 | 2007.04.24
-알코올 중독을 조심하자- 부교감신경… 더보기

[354] 폐가 약한 목체질, 육식이 보약

댓글 0 | 조회 3,922 | 2007.04.13
8체질론(體質論)에서 말하는 목양체질… 더보기

[353] 토양체질(土陽體質)의 특징(2)

댓글 0 | 조회 3,251 | 2007.03.27
- 닭고기와 인삼이 불임과 탈모의 원… 더보기

토양체질의 특징

댓글 0 | 조회 2,771 | 2007.03.15
국내 젊은층 사람들의 대다수는 자녀를… 더보기

전립선 비대증(II)

댓글 0 | 조회 2,365 | 2007.03.15
전립선이 커지는 원인은 나이가 들어감… 더보기

전립선 비대증(I)

댓글 0 | 조회 2,013 | 2007.03.15
폐경기(Menopause)의 호르몬 … 더보기

추천하고 싶은 아름다운 곳들(Ⅱ)

댓글 0 | 조회 1,199 | 2011.07.27
더니든-캐틀린스 지역19세기 후반, … 더보기

추천하고 싶은 아름다운 곳들(Ⅰ)

댓글 0 | 조회 1,554 | 2011.07.13
남태평양 해안 하이웨이(2번-35번-… 더보기

크라이스트처치

댓글 0 | 조회 1,048 | 2011.06.29
대장정을 끝마치다거의 한 달 동안을 … 더보기

마운트 쿡 → 크라이스트처치

댓글 0 | 조회 1,416 | 2011.06.14
산장이 너무 춥다며 모두들 캠퍼밴으로… 더보기

마운트 쿡(Ⅲ)

댓글 1 | 조회 1,279 | 2011.05.26
우박이 강풍과 함께 불어오자 겨울 동… 더보기

마운트 쿡(Ⅱ)

댓글 0 | 조회 1,067 | 2011.05.11
꼬불꼬불한 산길을 계속 헤쳐 나가면 … 더보기

마운트 쿡(Ⅰ)

댓글 0 | 조회 1,498 | 2011.04.28
뉴질랜드 최고봉 마운트 쿡 트래킹아침… 더보기

퀸스타운 → 오하우 호수(Ⅲ)

댓글 0 | 조회 1,532 | 2011.04.13
광대하다는 것은 아마 이런 지형을 보… 더보기

퀸스타운 → 오하우 호수(Ⅱ)

댓글 0 | 조회 1,772 | 2011.03.23
바람의 터, 오하우 호수뉴질랜드는 여… 더보기

퀸스타운 → 오하우 호수(Ⅰ)

댓글 0 | 조회 1,491 | 2011.03.09
아침에 화장실에 갔다가 우연히 거울을… 더보기

밀포드 사운드 → 퀸스타운(Ⅲ)

댓글 0 | 조회 1,622 | 2011.02.23
94번 도로에 있는 아름다운 트랙들▶… 더보기

밀포드 사운드 → 퀸스타운(Ⅱ)

댓글 0 | 조회 1,541 | 2011.02.09
양쪽으로 길이 뚫리면 도로에는 차가 … 더보기

밀포드 사운드 → 퀸스타운(Ⅰ)

댓글 0 | 조회 2,223 | 2011.01.26
모스번 레일웨이 호텔 앞에서 노숙을 … 더보기

와나카 → 모스번(Ⅲ)

댓글 0 | 조회 1,517 | 2011.01.14
여행자와 원주민이 모여 나눈 이야기는… 더보기

와나카 → 모스번(Ⅱ)

댓글 0 | 조회 1,738 | 2010.12.22
하스트에서 출발해서 와나카(Wanak… 더보기

와나카 → 모스번(Ⅰ)

댓글 0 | 조회 1,708 | 2010.12.08
꼬불꼬불한 도로를 운전하는데 가뭄에 … 더보기

웨스트 코스트 → 하스트(Ⅲ)

댓글 0 | 조회 1,756 | 2010.11.24
태즈먼 해에서 불과 20킬로미터 밖에… 더보기

웨스트 코스트 → 하스트(Ⅱ)

댓글 0 | 조회 1,898 | 2010.11.10
셋째, 출발 전에 자동차 연료를 채우… 더보기

웨스트 코스트 → 하스트(Ⅰ)

댓글 0 | 조회 1,906 | 2010.10.28
허 PD가 온 후로 살맛이 난다. 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