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5] Who Knows Korea and New Zealand?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25] Who Knows Korea and New Zealand?

0 개 2,693 코리아타임즈
  It is very difficult for people to understand each other if they do not share the same experience.(만일 동일한 경험을 함께 겪지 않는다면, 사람들이 서로를 이해하기는 매우 어렵다.)  For example, there is a folk tale that comes from the foothills of the Himalayas. (히말라야 산맥의 기슭에서 전해 내려오는 한 옛날 이야기가 있다.)  A man was trying to explain to a blind friend what a white color is. (한 남자가 장님인 친구에게 하얀 색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하려고 애쓰고 있었다.)

  “Well,” he said, “it is like snow on the hills.” (“글쎄, 흰색이란 언덕 위에 내린 눈 같은 거야.”라고 그가 말했다.)  “Oh,” the blind man said, “then it must be a wet sort of color.” (“오, 그러면 흰색은 틀림없이 축축한 종류의 색이겠구나.”라고 장님이 말했다.)  “No, no,” the man said, “it is also the same color as cotton or wool.” (“아냐, 아냐, 그것은 솜이나 양털과 같은 종류의 색깔이야.”라고 그 친구가 말했다.)  “Oh, yes, I understand.  It must be a fluffy color.” (“오, 그래, 알았다.  흰색은 분명히 솜처럼 부드러운 색이구나.”)  “No, it is also like paper.” (“아니야, 그것은 종이와 같은 색이라고도 할 수 있어.”)  “Then, it must be a fragile color,” said the blind man.  (“그러면, 흰색은 틀림없이 구겨지기 쉬운 색깔이구나.” 라고 장님이 말했다.)

  아무리 친한 친구끼리라고 하더라도 경험이 다르면 한가지 일에 대해서도 서로의 생각과 말이 위의 글에서처럼 계속 어긋날 수 밖에 없다.  두 친구 중 누가 옳고, 누가 그르다고 말 할 수 있겠는가?  두 눈 뜨고 오감의 축복을 다 누리며 사는 나는 눈 먼 장님 보다 과연 사물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하고 살아가고 있다고 감히 말할 수 있겠는가?  시각적 경험을 해 본 적이 없는 장님 친구에게 시각적 설명만 늘어놓는 무지함과 장님 친구를 불쌍하고 답답하게만 여겼던 교만함을 갖지는 않았었는가?  장님의 경험도 존중되어야 하고, 틀린 것이 아닌데도 말이다.

  한 때 해외 동포들 사이에서 신포, 중포, 고포라는 말이 유행했었다.  뉴질랜드에 이민 온지 6개월도 안된 신포와 이민 온지 12년이 되어가는 고포가 만났을 때, 또 엇비슷한 나이 또래의 중포끼리 만났다 하더라도 뉴질랜드 사회에 대한 느낌과 키위들에 대한 평가가 때때로 엄청 다르다는 것을 많은 교민들은 경험했을 것이다.  그러나 개개인의 인성과 능력과 학력이 다르고 재산의 많고 적음도 다르고, 이민 온 시기와 동기도 다르니 그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겠는가?  그리고 당연히 달라야만 하는 것이 아닐까?

  문제는 뉴질랜드와 뉴질랜더들에 대한 다양한 느낌과 평가를 내릴 때 한국과 한국인들에 대한 느낌과 평가를 같이 끌고 들어가서 덧칠하는 습관이 교민들 사이에 퍼져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뉴질랜드인들의 인종차별에 대해 이야기하면, 한국 사람들은 인종차별 안 하느냐라고 반문하고, 화장실을 수리하러 온 키위 배관공의 터무니 없는 바가지 부당 요금 청구에 대해 언급하면, 한국 사회적인 시각으로 배관공의 인건비를 너무 저평가하기 때문이라고, 뉴질랜드 사회 시스템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핀잔을 주는 교민들을 만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물론 그 분들의 생각이 맞을 수 도 있겠지만, 미국과 캐나다, 뉴질랜드의 배관공의 인건비가 한국에 비해 상당히 높다는 점을 감안했다 하더라도, 너무 비싼 비용을 지불했던 경험은 뉴질랜드에서의 사실적 경험일 수도 있지 않겠는가? 다른 분들이 겪었던 너무도 친절한 키위들과의 만남의 경험이 분명한 사실인 것처럼.  또한 이민을 국가의 중요한 국가 정책 중의 하나로 여기는 뉴질랜드에서의 인종 차별적인 정치인의 발언과, ‘느낌표’라는 TV 프로그램을 통해서 동남아에서 온 불법체류 노동자들까지도 끌어 안고 가야 한다고 계몽하는 한국사회에서의 인종 차별 문제는 이미 차원이 다른 수준의 문제라고 보아야 하지는 않을까?

  하루하루가 다르게 역동적으로 변해가는 한국.  누가 한국을 안다고 하는가?  한국을 떠나 온지 2년, 6년, 12년이 지난 그 누가 한국을 안다고 할 수 있겠는가?  또한 누가 뉴질랜드를 안다고 할 수 있겠는가?  참으로 조심스럽고 신중해야 할 문제다.  누가 장님이고 누가 장님의 친구인가?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환율이야기]‘반만 남은 컵’이냐 ‘반이나 남은 컵’이냐?

댓글 0 | 조회 3,513 | 2009.03.18
키위달러는 3월 첫 주 중국발 훈풍으… 더보기

키위달러 US달러대비 절반이하로

댓글 1 | 조회 4,794 | 2009.03.02
사냥총이 없다면 날고 있는 새를 잡기… 더보기

환율이야기-역사에서 배우지 않는 민족은 미래가 없다

댓글 1 | 조회 3,013 | 2008.11.28
이제 이번 주 지나면 마지막 남은 잎… 더보기

이번 주에 베이스캠프가 있을 듯

댓글 1 | 조회 2,726 | 2008.11.24
지난 금요일 미국시장 다우장세는 가이… 더보기

이제 야구 2회말 수비는 또 어떻게?

댓글 0 | 조회 2,427 | 2008.11.06
어제 치러진 미국대선은 정말로 세계사… 더보기

어쩌면 다시 못 볼 기회일지도?

댓글 0 | 조회 4,279 | 2008.10.25
지금 주식이나 펀드, 부동산, 외환,… 더보기

원화 어디까지 가나?

댓글 1 | 조회 5,097 | 2008.10.13
첫회에서는 원화, 미국달러, 키위달러… 더보기

롤러코스터 타고 있는 환율

댓글 0 | 조회 4,031 | 2008.09.25
지금 우리는 1929년 대공황이후 역… 더보기

[KoWiTV] 전래동요와 놀이

댓글 0 | 조회 2,968 | 2012.10.11
전래동요와 놀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더보기

[KoWiTV] 오클랜드 한인회 방문한 김정수 재외동포재단 기획이사

댓글 1 | 조회 2,282 | 2012.10.08
재외동포재단은 외교통상부 소속 기관으… 더보기

[KoWiTV] 무료 아이스링크 즐기기

댓글 2 | 조회 2,794 | 2012.10.05
Alice in Wonderland는… 더보기

[KoWiTV] 10월 20일까지는 꼭! 선거인 등록해야

댓글 0 | 조회 1,957 | 2012.10.05
12월 19일에는 대한민국 제 18대… 더보기

[KoWiTV] 6.25 납북피해신고 설명회 열려

댓글 0 | 조회 2,393 | 2012.10.03
6.25전쟁이 60여 년이나 지난 2… 더보기

[KoWiTV] 다민족의 대화 (Ethnic Conversations..) 공청회…

댓글 0 | 조회 1,970 | 2012.10.03
지난 8월 25일(토) 오전 9:30… 더보기

[KiWiTV] 걷지 않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Bush-Walking

댓글 0 | 조회 3,059 | 2012.09.30
자동차를 타고 이동하는 현대인의 생활… 더보기

[KoWiTV] 한국음식은 웰빙을 넘어 힐링 음식

댓글 0 | 조회 2,480 | 2012.09.25
>>박형희 (주)한국외식정… 더보기

[KoWiTV] 뉴질랜드에서 한국정부지원 한식당종사자 무료교육 열려

댓글 0 | 조회 2,427 | 2012.09.19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인 김치, 불고기… 더보기

[KoWiTV] 9월8일 왕가레이 순회 영사 실시 예정

댓글 0 | 조회 2,653 | 2012.08.20
대사관이나 영사관과는 먼 곳에 사는 … 더보기

[KoWiTV] 화합과 협조를 위한 만남

댓글 0 | 조회 2,491 | 2012.08.14
8월13일 오후 3시, 타카푸나 오클… 더보기

[KoWiTV]대통령선거 재외선거인 등록 시작

댓글 0 | 조회 2,975 | 2012.07.25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선거가 오는 … 더보기

[KoWiTV] 평화통일 강연회2012

댓글 0 | 조회 2,405 | 2012.07.11
어느 조직이든 그 설립 목적에 준하여… 더보기

[KoWiTV]Aotea 광장의 아이스 링크

댓글 0 | 조회 2,981 | 2012.07.09
오클랜드 시티 중심에서 아이스 링크를… 더보기

[KoWiTV] 오클랜드 한국학교 교장 이취임식 열려

댓글 1 | 조회 4,259 | 2012.06.26
오클랜드에는 토요일마다 열리는 한글 … 더보기

[KoWiTV] 오클랜드에서 공명과 고릴라 크루 공연을 만나다

댓글 0 | 조회 3,400 | 2012.06.05
방금 감상하신 영상은 한국 외교통상부… 더보기

[KoWiTV]친구도 사귀고 문화도 나누고

댓글 0 | 조회 3,158 | 2012.05.31
2주에 한 번 노스코트 도서관 옆,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