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완행 열차의 노래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331] 완행 열차의 노래

0 개 2,905 KoreaTimes
그해 4월 말 나는 완행 열차 이야기를 했었다.  사랑하는 내 제자들에게. 중,고등학교 교사생활을 10년간 마치고, 필자가 얼마간 몸담고 있었던 노량진 정진학원은 주로 대입 재수생들이 많이 오는 단과 전문학원이었다.  친구들은 대학 캠퍼스에서 시위와 축제 준비에 한창인 그 봄, 내 제자들은 좁은 강의실에 이백 명씩 빼곡이 앉아 영어책을 무겁게 넘기고 있었다.

“꼭 비행기나 급행열차만 타라는 법있냐?  살면서 완행 열차 탈 때도 있는거야!  완행열차 한 번도 안타본 사람들은 완행열차의 맛을 모르잖아.  덜컹, 간이역에 서기도하고, 덜커덩 고장난 열차 수리하기 위해 멈추면, 내려서 기차길에 쭈그리고 앉아 담배 한 대 물기도 하고.  그러다, 담배 연기 속에서도 잘 보면, 기차길 자갈들을 비집고 민들레가 고개 내밀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잖아.  기차길 민들레, 아무나 볼 수 있는 것 아니다.  완행 열차 타봤기 때문에 볼 수 있는 거야.”

그래, 그랬다.  필자도 기차길 민들레를 담배 연기 속에서 본 경험이 있기 때문에 민들레처럼 아프게 피어나려는 그들을 쓰다듬어 줄 수 있었고, 뉴질랜드 집마다 보이는 잔디밭의 조그만 꽃들이 잘려져 나갈때면 아직도 가슴 한 구석이 아린지도 모른다.  쟤들도 꽃인데!

‘걸인 시인’이라고 불리우는 영국 시인이 있다.  William Henry Davis(1871-1940)이다.  어릴 적 부모를 잃고 할머니 밑에서 자라며 비뚤어진 뒷골목 생활을 하다가, 조모마저 죽자 걸인 생활을 10년 넘게 한 그는 훗날 이 시절을 다음과 같이 토로했다.  “문학을 하고 싶은 야망으로 저주받지 않았다면 나는 죽는 날까지 거지로 남았을 것이다.”라고.  그의 대표작 ‘Leisure’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노래한다.

Leisure(바라볼 여유)

What is this life if, full of care,
We have no time to stand and stare
(만일 우리가 가던길 멈춰 서서, 근심에 가득찬 눈길로,
주위를 바라볼 시간도 없다면 이 인생은 무엇인가?)  

No time to stand beneath the boughs
And stare as long as sheep or cows
(나무 아래있는 양이나 소처럼
오랫동안 서서 바라볼 틈도 없다면)

No time to see, when woods we pass,
Where squirrels hide their nuts in grass.
(숲을 지나 갈 때 다람쥐들이
풀 속에 도토리를 감추는 것을 바라볼 시간도 없다면)

No time to see, in broad daylight,
Streams full of stars, like skies at night
(햇살 눈부신 한 낮, 밤 하늘처럼
별들이 출렁이는 개울물을 바라볼 틈도 없다면)

No time to turn at Beauty’s glance,
And watch her feet, how they can dance.
(아름다운 여인의 눈길을 바라보며 그녀의 발이
어떻게 춤추는 지를 바라볼 시간도 없다면.)

No time to wait till her mouth can
Enrich that smile her eyes began.
(그녀의 눈가에서 시작된 미소가
그녀의 입가에 번지는 것을 기다릴 틈도 없다면)

A poor life this if, full of care,
We have no time to stand and stare.
(만일 우리가 멈춰서서, 근심에 가득찬 눈길로,
주위를 돌아 볼 시간도 없다면 얼마나 슬픈 인생일까?)

얼마 전 처음 골프에 입문한 분과 골프를 쳤다.  골프 연습장에서 몇 달간 레슨을 받았지만 필드는 그날 처음 나오게 된 그 왕초보분은 부지런히 치고, 뛰고, 때로는 자신의 공을 손으로 줍고하며 뒤에 따라오는 분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려고 노렸하였지만, 저 앞과 바로 앞에 있는 사람들은 더 느려서 우리 일행은 때로는 기다리며 지체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우리는 분명 앞의 홀을 비워둔 적이 없었다.  중간 홀 쯤에서 그 왕초보분이 친 공이 티에서 100m 정도 밖에 못갔고, 우리 일행은 그 분이 두 번째로 공을 치는 것을 지켜보며 그 부근에 서 있었다.  순간, 우리 바로 뒤에 공 하나가 날아와 떨어졌다.  뒤 따라 오던 사람들 중 한 명이 실수인지 고의인지 친 공이었다.  참, 참!  유구무언이다.  아마 그들은 KTX만 타고 다니는 인생이어서 그런가 보다.

A poor life this if, full of care,/ We have no time to stand and stare. (만일 우리가 멈춰서서, 걱정스러운 눈길로, 주위를 돌아 볼 시간도 없다면 얼마나 슬픈 골프인생일까?)  골프장에서 스윙을 하려다가, 잠시 멈추고, 자신의 올챙이 적 생각을 하며, 초보자를 배려해서 기다려 줄 여유도 없다면, 얼마나 불쌍한 골프 인생인가?

[375] 선택(選擇)

댓글 0 | 조회 3,024 | 2008.02.26
하나님은 인간에게 선택권 즉 ‘자유의… 더보기

[374] 고양이가 남긴 것

댓글 0 | 조회 3,004 | 2008.02.12
'다롱이'가 사라졌다. 한국 사람들은… 더보기

[373] 승리(勝利)의 길

댓글 0 | 조회 3,568 | 2008.01.30
인생에는 영원한 승자(勝者)도 패자(… 더보기

[372] 산뜻한 출발

댓글 0 | 조회 3,362 | 2008.01.15
1월을 뜻하는 'January'는 '… 더보기

[371] 초록마을에서 희망을 본다

댓글 0 | 조회 3,743 | 2007.12.20
희망은 거창한 것이 아니다. 평범한 … 더보기

[370] 그린 크리스마스(Green Christmas)

댓글 0 | 조회 3,312 | 2007.12.11
이민 와서 제일 속상한 것 중의 하나… 더보기

[369] 그림이 좋아야 한다

댓글 0 | 조회 3,173 | 2007.11.27
멋진 광경이나 사랑하는 연인들의 모습… 더보기

[368] 바람난 물개들

댓글 0 | 조회 3,810 | 2007.11.12
바람난 물개들은 수영에는 관심이 없다… 더보기

[367] 왜 우리는 튀어야만 하는가

댓글 0 | 조회 3,287 | 2007.10.24
튀기 위해 뛰는 사람들-이는 여지 없… 더보기

[366] 아버지와 만년필

댓글 0 | 조회 3,603 | 2007.10.09
'있을 때 잘 해'라는 드라마도 나오… 더보기

[365] 민중의 지팡이

댓글 0 | 조회 3,254 | 2007.09.25
경찰이 '민중의 지팡이' 노릇을 못하… 더보기

[364] 병천순대

댓글 0 | 조회 3,752 | 2007.09.11
WHO(세계보건기구)가 2007년 5… 더보기

[363] 여자와 뉴질랜드

댓글 0 | 조회 3,747 | 2007.08.27
여자는 그 이름만으로도 아름답다. 누… 더보기

[362] 아픔은 슬픔을 낳고

댓글 0 | 조회 3,446 | 2007.08.14
- 큐미오의 미스터리 - 이민와서 제… 더보기

[361] 현지화는 괴로워

댓글 0 | 조회 3,136 | 2007.07.24
모두들 현지화를 부르짖지만 말처럼 쉽… 더보기

[360] 적성(適性)과 적응(適應) 그리고 조화(調和)

댓글 0 | 조회 2,905 | 2007.07.09
IQ가 사람마다 다르듯 적성(適性:A… 더보기

[359] 조용한 아침의 나라

댓글 0 | 조회 3,136 | 2007.06.25
학창 시절 "우리나라는 '동방예의지국… 더보기

[358] 돈이 많다고 다 부자는 아니다

댓글 0 | 조회 3,010 | 2007.06.12
돈이 너무 없어도 불쌍하지만, 돈이 … 더보기

[357] 정(情)과 의리(義理)

댓글 0 | 조회 3,257 | 2007.05.23
한국인의 특장점은 '정(情)과 의리(… 더보기

[356] ‘키다리 아저씨’의 긴 다리

댓글 0 | 조회 2,824 | 2007.05.08
긴다리는 저력이었다. '진 웹스터(J… 더보기

[355] 이런 분 어디 계세요?

댓글 0 | 조회 2,476 | 2007.04.24
한인회장을 처음 맡은 것은 2002년… 더보기

[354] '오클랜드에 살으리랏다'

댓글 0 | 조회 2,698 | 2007.04.11
배위에서 보는 오클랜드의 야경은 진정… 더보기

[353] 지와 사랑

댓글 0 | 조회 2,812 | 2007.03.27
요즈음은 ‘지와 사랑’이 아쉽다. ‘… 더보기

[352] 신 뢰

댓글 0 | 조회 2,947 | 2007.03.12
민주사회에서 신의와 신뢰는 중요하고 … 더보기

[351] 비교는 상처를 부른다

댓글 0 | 조회 2,844 | 2007.02.26
21세기는 희망의 시대가 될 것이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