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타를 세이브하기 위한 체력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한타를 세이브하기 위한 체력

0 개 2,462 NZ코리아포스트
가끔 프로 대회를 지켜 보면, 우리가 상상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샷을 아주 능숙하게 한다.

가령, 나무 위에서 샷을 한다던가, 물 속에 있는 공을 쳐서 그린에 올린다 던가, 맨 땅에 있는 공을 친다던가, 나무 사이의 틈으로 공을 쳐 온 그린 시키던가, 등등.. 상상을 초월하는 샷을 보게 된다.

특히 승패의 경우가 놓여 있으면 더 과감해진다.

그렇다! 그들은 언제 한타를 세이브 할지 모르는, 그러한 경우의 샷을 연습한다.

내가 아는 프로님이 있다. 3년전 처음 만났을 때는 프로지망생이 였는데 어느날 그가 연습하는 걸 우연히 보게 됐다.

파5홀과 파4홀의 경계선 부근 러프에서 그린을 향해 페어웨이 우드를 치고 있었다. 유심히 지켜보니 구석구석을 헤메면서 로스트공을 여러개를 찾아 여기저기 던져 놓더니 러프를 발로 밟고 치고 있었다.

그래서 왜 그렇게 연습하냐고 물어 봤더니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한타를 세이브 하기 위해 이런 상황을 미리 연습 한다고 했다.

음~ 그렇군.. 결과적으로 보면 골프는 한타에 승패가 좌우되기 때문에 이것이 프로가 가야 되는 길이 아닐까?

다시 한번 생각한다. 이렇게 지독한 연습량을 뒷받침 하는건 체력이다. 프로 골퍼들은 지속적인 체력 훈련으로 체력을 유지하고 있다. 스트레칭부터 근력 운동까지...

그럼, 그리 많은 힘이 필요하지 않은 골프 게임에서 왜? 그들은 지속적인 체력 훈련 및 근육 운동이 필요로 할까?

프로들은 게임 때 100%의 파워를 거의 사용 하질 않는다.

그 이유는, 첫째, 정확성이고, 둘째, 그 정확성의 지속성때문이다. 다들 이미 알고 있듯이 프로 게임은 4일에 걸쳐 치루어 진다. 그 중 어느 한 홀 중요하지 않은 것이 없다.

72홀을 치면서 어느 한 홀의 실수 1타로 승부가 결정이 날수도 있고, 1타로 끝장날 수도 있는 것이다.

다른 스포츠는 게임이 끝나고 체력이 남아 있으면 최선을 다 했다고 할수 없다! 권투 선수가 게임 후 멀쩡 할수 있을까? 축구 선수가 90분을 뛰고 난 후에, 처음 게임 시작때 같은 상태로 뛸수 있을까? 테니스 선수도, 탁구 선수도, 농구등등.... 하지만 골프는 첫날 첫 티샷과, 마지막날 마지막 티샷에, 체력이나 멘탈면에서나 똑같은 상태를 유지 해야 한다! 또한 하루에 18홀아니라, 36홀을 쳐도 똑 같은 체력으로 똑 같은 스윙을 해야 한다.

물론 골프는 다른 스포츠에 비해 체력 소모가 적다. 하지만 그 체력을 어느 때나 항상 똑같이 유지해야 한다.

다시 말해 100%의 체력이 있으면, 60%나 70%로 샷을 하고 다음 샷을 하기 전에 빨리 100%의 체력으로 리커버리를 해야 한다.

골프가 현장(필드)에서 고도의 집중력을 요하는 스포츠란 생각이들지만 연습량만큼 체력관리를 해주면 일반인들도 비거리 향상은 물론, 정확성이 향상된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년 입시제도의 변환에 따른 미대, 건축과의 포트폴리오 준비

댓글 0 | 조회 4,019 | 2010.07.28
최근 몇 년간 각 대학의 입시제도에 … 더보기

화가는 누구인가?

댓글 0 | 조회 6,560 | 2009.12.08
많은 사람에게 화가 하면 관념적으로 … 더보기

미술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2,930 | 2009.11.24
우리는 일상의 삶 속에서 항시 미술을…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Ⅱ)

댓글 0 | 조회 2,763 | 2009.11.10
그 결과 개선된 이 곳의 주변 환경에…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Ⅰ)

댓글 0 | 조회 3,024 | 2009.10.27
우리의 생에 여정을 돌이켜 보건대 감…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Ⅱ)

댓글 0 | 조회 4,067 | 2009.10.13
그러하기에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Ⅰ)

댓글 0 | 조회 3,659 | 2009.09.23
여타학과와 달리 미대 진학을 위해서는… 더보기

미술교육의 목적과 적성

댓글 0 | 조회 3,292 | 2009.09.23
이곳 뉴질랜드의 미술교육과 한국의 미… 더보기

미술의 사회적 기여와 활용

댓글 0 | 조회 3,819 | 2009.09.23
필자가 미술을 전공하던 학창시절에 타… 더보기

과용하면 안 될 샷 - 드롭샷

댓글 0 | 조회 4,089 | 2011.01.26
* 드롭샷(drop shot)은 백코… 더보기

얕잡아 보면 안 될 샷 - 오버헤드

댓글 0 | 조회 3,371 | 2011.01.14
* 전위에 있을 때 종종 자신의 머리… 더보기

로빙(Lobbing) : 왜 그리고 어떻게

댓글 0 | 조회 3,746 | 2010.12.22
* 로빙은 볼을 높고 깊게 올려쳐서 … 더보기

선수들과 비슷한 폼을 습득하려면

댓글 0 | 조회 3,973 | 2010.12.07
* 테니스 게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댓글 0 | 조회 4,349 | 2010.11.23
“스마트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손목스냅…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Ⅰ)

댓글 0 | 조회 3,385 | 2010.11.10
테니스를 배우다 보면, 테니스의 기술… 더보기

상대 전위를 향한 강타-문제인가 아닌가?

댓글 0 | 조회 3,293 | 2010.10.28
* 얼마 전 동호인들과 테니스를 치고… 더보기

상대방의 발리실수를 유발하는 스트로크 리턴

댓글 0 | 조회 3,329 | 2010.10.12
* 한국에서 테니스 잘 치는 사람들의…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Ⅱ)

댓글 0 | 조회 2,921 | 2010.09.29
* 지난 호에서 나는 복식게임에 있어…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Ⅰ)

댓글 0 | 조회 3,264 | 2010.09.14
* 동호인들의 테니스 게임은 대부분 … 더보기

상대 유형별 단식의 전술

댓글 0 | 조회 2,985 | 2010.08.24
A. 상대방이 올코트 플레이어형일 때…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Ⅱ)

댓글 0 | 조회 3,136 | 2010.08.11
* 전위에 있을 때에는a. 상대방 리…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Ⅰ)

댓글 0 | 조회 3,384 | 2010.07.28
복식 코트는 단식에 비해 폭이 2미터… 더보기

단식은 공간과 시간의 게임

댓글 0 | 조회 2,936 | 2010.07.14
* 동호인들은 흔히 단식게임보다는 복… 더보기

내기 게임과 “다대기” 문화

댓글 0 | 조회 2,922 | 2010.06.23
내겐 거의 매주 골프를 즐기는 친구가…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규칙 퀴즈

댓글 0 | 조회 3,662 | 2010.06.10
1. 라인판정의 일차적 책임과 권리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