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팅과 직업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퍼팅과 직업

0 개 3,032 NZ코리아포스트
퍼팅을 잘 할수 밖에 없는 직업이 있다면 무엇이 있을까 찾아 보았다. 정확한 통계나 자료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유난히 퍼팅을 잘하는 친구들이 있어 생각해 보니 그들의 직업이 목수, 타일러, 그래픽디자이너 등등...

직선과 곡선을 항상 보면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친구들이었다. 이들 중 호주에 있는 친구의 직업이 타일러인데 특히 타일러의 경우는 넓은 바닥의 물매를 잘 잡아야 유능한 타일러라 한다.

물매란 것이 즉 그린의 라이 상태인 것이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일 자체는 라이를 보는 것이다. “음, 물이 고이는 곳에 홀컵이 있군! 이 쪽으로 물이 흐르는군”하고 생각할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퍼팅을 잘하려면, 즉 그린 라이를 잘 읽으려면, 라이 보는 것을 생활화 해야 한다.

예로, 당구나 포켓볼 역시 정지된 볼을 스트록을 한다는 점에서 골프와 비슷하다. 공의 위치를 관찰한 후에 일정한 속도로 스트록을 해야 한다는 점 역시 유사한데 현재 나와 함께 일하는 프로의 의견은 “느낌 자체가 달라서 다른 시각으로 계산 해야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처럼 다른 스포츠를 통해서도 골프와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보면 숏 게임의 생명인 퍼팅이 얼마나 매력적인지 다시 한 번 알수 있었다.

또 다른 예로 벽에 그림이 걸려 있으면, 정확히 수평이 됐는지 자세히 관찰하고, 많은 전봇대들이 수직으로 잘 서있는지 관찰하면서, 모든 사물의 수직과 수평, 굴곡등의 상태를 잘 파악하면서 항상 눈에 익히도록 하면 퍼팅할때 라이보는데 쉽지 않을까?

* 이해 못할 아이언의 비거리!

종종 “비극적인 샷”을 구사해 본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어느 정도 골프를 치면 누구나 흔하게(??) 경험하는! 임팩 느낌은 똑 같은데 어쩌다 아이언 거리가 갑자기 20~30미터가 늘어나고 반대로 20~30미터가 짧아지는 경우도 있다.

그 이유는, 요즘은 아이언 헤드가 쉽게 칠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 있다. 샤프트나 헤드 모양과 클럽의 구성도까지 많은 변화가 있는데 즉 스윗 스폿이 크고, 임팩 때 손에 전달되는 느낌은 정타든 오타든 거의 비슷하다는게 문제인 것이다.

이부분에서 놓치면 안되는 것이 있다면 만약 정타때 7번 아이언이 140미터이면, 정타에서 약간 벗어난 경우는 130미터, 오타일 경우는 120미터 정도로 약 20미터가 차이가 난다. 물론 손에 전달 되는 느낌은 똑 같거나, 미세하기에 구분을 못한는 경우가 태반이다.

만약 님이, 프로 지망이고 이런 경우에 처해 있다면 아이언 셋트를 다시 구입 해야 하는 시기가 온 것이다. 실력 향상이 되고 있다는 증거인데 물론 계속 사용해서(연습량) 항상 정타를 칠 수 있으면 상관은 없다. 때로는 과감한 선택 때문에 생각 이상의 큰 변화가 생긴다면 실력 향상을 위해서라도 욕심 가져 볼 만하다.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년 입시제도의 변환에 따른 미대, 건축과의 포트폴리오 준비

댓글 0 | 조회 4,019 | 2010.07.28
최근 몇 년간 각 대학의 입시제도에 … 더보기

화가는 누구인가?

댓글 0 | 조회 6,560 | 2009.12.08
많은 사람에게 화가 하면 관념적으로 … 더보기

미술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2,931 | 2009.11.24
우리는 일상의 삶 속에서 항시 미술을…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Ⅱ)

댓글 0 | 조회 2,763 | 2009.11.10
그 결과 개선된 이 곳의 주변 환경에…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Ⅰ)

댓글 0 | 조회 3,025 | 2009.10.27
우리의 생에 여정을 돌이켜 보건대 감…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Ⅱ)

댓글 0 | 조회 4,067 | 2009.10.13
그러하기에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Ⅰ)

댓글 0 | 조회 3,659 | 2009.09.23
여타학과와 달리 미대 진학을 위해서는… 더보기

미술교육의 목적과 적성

댓글 0 | 조회 3,292 | 2009.09.23
이곳 뉴질랜드의 미술교육과 한국의 미… 더보기

미술의 사회적 기여와 활용

댓글 0 | 조회 3,821 | 2009.09.23
필자가 미술을 전공하던 학창시절에 타… 더보기

과용하면 안 될 샷 - 드롭샷

댓글 0 | 조회 4,089 | 2011.01.26
* 드롭샷(drop shot)은 백코… 더보기

얕잡아 보면 안 될 샷 - 오버헤드

댓글 0 | 조회 3,372 | 2011.01.14
* 전위에 있을 때 종종 자신의 머리… 더보기

로빙(Lobbing) : 왜 그리고 어떻게

댓글 0 | 조회 3,747 | 2010.12.22
* 로빙은 볼을 높고 깊게 올려쳐서 … 더보기

선수들과 비슷한 폼을 습득하려면

댓글 0 | 조회 3,973 | 2010.12.07
* 테니스 게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댓글 0 | 조회 4,349 | 2010.11.23
“스마트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손목스냅…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Ⅰ)

댓글 0 | 조회 3,385 | 2010.11.10
테니스를 배우다 보면, 테니스의 기술… 더보기

상대 전위를 향한 강타-문제인가 아닌가?

댓글 0 | 조회 3,293 | 2010.10.28
* 얼마 전 동호인들과 테니스를 치고… 더보기

상대방의 발리실수를 유발하는 스트로크 리턴

댓글 0 | 조회 3,330 | 2010.10.12
* 한국에서 테니스 잘 치는 사람들의…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Ⅱ)

댓글 0 | 조회 2,921 | 2010.09.29
* 지난 호에서 나는 복식게임에 있어…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Ⅰ)

댓글 0 | 조회 3,264 | 2010.09.14
* 동호인들의 테니스 게임은 대부분 … 더보기

상대 유형별 단식의 전술

댓글 0 | 조회 2,985 | 2010.08.24
A. 상대방이 올코트 플레이어형일 때…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Ⅱ)

댓글 0 | 조회 3,136 | 2010.08.11
* 전위에 있을 때에는a. 상대방 리…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Ⅰ)

댓글 0 | 조회 3,385 | 2010.07.28
복식 코트는 단식에 비해 폭이 2미터… 더보기

단식은 공간과 시간의 게임

댓글 0 | 조회 2,937 | 2010.07.14
* 동호인들은 흔히 단식게임보다는 복… 더보기

내기 게임과 “다대기” 문화

댓글 0 | 조회 2,923 | 2010.06.23
내겐 거의 매주 골프를 즐기는 친구가…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규칙 퀴즈

댓글 0 | 조회 3,663 | 2010.06.10
1. 라인판정의 일차적 책임과 권리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