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108세를 지향하는 다수(茶壽) 캠페인 시리즈 (1)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건강 108세를 지향하는 다수(茶壽) 캠페인 시리즈 (1)

0 개 3,381 한일수
다수 캠페인을 시작하면서

인생은 종착역을 향해 다시 돌아오지 못할 길을 달리는 기차 여행과 같다. 마치 일회용 축음기판이 마지막을 향해 빨리 돌다가 끝나버리는 것처럼……. 그러나 기차 길이나 축음기판은 미리 설계된 대로 작동되는 반면 인생은 각 인생의 주인공이 설계한대로 진로를 설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 한국에서는「인생은 아름다워」라는 드라마가 토.일 연속극으로 SBS에서 방영중리라고 한다. 김수현 작가는 한국의 대표적인 멜로드라마(Melodrama) 작가인데 재혼 가정의 화합과 사랑을 소재로 스토리를 전개해 나가는 모양이다. 사실은 1998년에 개봉된 이태리 영화「인생은 아름다워( Life is beautiful)」가 있었다. 로베르토 베리니 감독이 2차 대전 말기의 절박한 상황에서 인간에 대한 사랑이 얼마나 큰 감동을 선사하는지 보여준 작품이었다.

인생은 보기에 따라 희극이 될 수도 있고 비극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어차피 한 번 살다가 가버리고 마는 인생이라면 즐겁고 가치 있게 살아 볼 일이다. 삶이 창조적 가치에 따라 운명이 결정되는 것이라면 주어진 삶이 아닌 만들어 가는 삶에 웃음과 행복을 더해보자고 제안하고 싶다.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 살려는 욕망은 모든 살아 있는 사람의 공통된 가치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인생은 관리이다. 관리해 가는 인생과 막 부려진 인생은 확실히 다르다. 이는 개인이나 가정, 기업, 사회 조직, 국가도 마찬가지이다. 한국에 있을 때 대표적인 재벌 그룹의 특징을 열거하면서 ‘관리의 삼성’, ‘행동의 현대’, ‘창조와 도전의 대우’, ‘인화의 LG’라는 표현을 흔히 사용했다. 지금에 와서 평가해보니 역시 관리의 삼성이 가장 견실한 그룹으로 살아남을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의 인생을 어떻게 관리해 가며 살아 갈 것인가? 다수를 누리기 위해서는 어느 한두 가지 관리만으로는 달성되기가 어렵다. 복합적으로 종합적인 관리가 요청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살아가는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특별히 시간 투자를 많이 해야 되는 것도 아니다. 주어진 여건 속에서 어떻게 체계화된 생활 방식을 취하느냐에 달려 있다.

건강과 웰빙(Well being)은 현대인의 최우선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를 위해서 식생활 관리, 체력 관리, 마음 관리, 여가/취미 관리, 비즈니스(일) 관리, 목표 관리, 가정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가 살아가면서 챙겨야 될 일들이 열거되고 있다. 이들 하나하나에 대해서 격식에 구애됨이 없이 생각나는 대로 수필 식으로 엮어나가고자 한다.

새로운 나라에 그 중에서 뉴질랜드라는 삶의 터전을 선택해서 이주해온 우리 교민들의 처지는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결국은 행복하게 오래 살아보겠다고 모험을 감행한 것이다. 그렇다면 공동체적인 인식에서 서로에게 유익한 정보와 지식, 경험을 공유하고 우리들의 초심(初心)이 변함없이 유지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건강, 웰빙과 관련하여 절대적인 진리는 없다고 본다. 저마다 삶의 가치관이 다르고 목표의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통분모를 찾아서 더불어 잘 살아가는 공동체를 이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필자는 건강 상담가가 아니며 의료 전문가는 더더욱 아니다. 그러나 보고 들은 것, 조사하고 실천해본 경험들을 정리해서 도움이 될 만한 이웃들에게 전파해주고 싶은 마음이다. 다행히 우리가 살고 있는 뉴질랜드는 우리의 삶의 목표들을 실천하는데 세계의 다른 어느 나라보다 좋은 여건들을 갖추고 있다고 본다.

본 캠페인은 교민 모두가 참여하여 건강한 사회 운동으로 발전되기를 바란다. 나주고자 하는 좋은 정보나 의견이 있으면 연락을 바라고 있다. (E-mail: nzcar@hanmail.net)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10년 입시제도의 변환에 따른 미대, 건축과의 포트폴리오 준비

댓글 0 | 조회 4,019 | 2010.07.28
최근 몇 년간 각 대학의 입시제도에 … 더보기

화가는 누구인가?

댓글 0 | 조회 6,560 | 2009.12.08
많은 사람에게 화가 하면 관념적으로 … 더보기

미술은 무엇인가?

댓글 0 | 조회 2,930 | 2009.11.24
우리는 일상의 삶 속에서 항시 미술을…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Ⅱ)

댓글 0 | 조회 2,763 | 2009.11.10
그 결과 개선된 이 곳의 주변 환경에… 더보기

예술과 삶에 대한 회상(Ⅰ)

댓글 0 | 조회 3,025 | 2009.10.27
우리의 생에 여정을 돌이켜 보건대 감…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Ⅱ)

댓글 0 | 조회 4,067 | 2009.10.13
그러하기에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더보기

미대진학 준비와 사교육의 장단점(Ⅰ)

댓글 0 | 조회 3,659 | 2009.09.23
여타학과와 달리 미대 진학을 위해서는… 더보기

미술교육의 목적과 적성

댓글 0 | 조회 3,292 | 2009.09.23
이곳 뉴질랜드의 미술교육과 한국의 미… 더보기

미술의 사회적 기여와 활용

댓글 0 | 조회 3,820 | 2009.09.23
필자가 미술을 전공하던 학창시절에 타… 더보기

과용하면 안 될 샷 - 드롭샷

댓글 0 | 조회 4,089 | 2011.01.26
* 드롭샷(drop shot)은 백코… 더보기

얕잡아 보면 안 될 샷 - 오버헤드

댓글 0 | 조회 3,371 | 2011.01.14
* 전위에 있을 때 종종 자신의 머리… 더보기

로빙(Lobbing) : 왜 그리고 어떻게

댓글 0 | 조회 3,747 | 2010.12.22
* 로빙은 볼을 높고 깊게 올려쳐서 … 더보기

선수들과 비슷한 폼을 습득하려면

댓글 0 | 조회 3,973 | 2010.12.07
* 테니스 게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Ⅱ)

댓글 0 | 조회 4,349 | 2010.11.23
“스마트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손목스냅… 더보기

테니스의 동작원리에 대한 미신들(Ⅰ)

댓글 0 | 조회 3,385 | 2010.11.10
테니스를 배우다 보면, 테니스의 기술… 더보기

상대 전위를 향한 강타-문제인가 아닌가?

댓글 0 | 조회 3,293 | 2010.10.28
* 얼마 전 동호인들과 테니스를 치고… 더보기

상대방의 발리실수를 유발하는 스트로크 리턴

댓글 0 | 조회 3,330 | 2010.10.12
* 한국에서 테니스 잘 치는 사람들의…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Ⅱ)

댓글 0 | 조회 2,921 | 2010.09.29
* 지난 호에서 나는 복식게임에 있어… 더보기

복식게임의 승률을 높이려면(Ⅰ)

댓글 0 | 조회 3,264 | 2010.09.14
* 동호인들의 테니스 게임은 대부분 … 더보기

상대 유형별 단식의 전술

댓글 0 | 조회 2,985 | 2010.08.24
A. 상대방이 올코트 플레이어형일 때…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Ⅱ)

댓글 0 | 조회 3,136 | 2010.08.11
* 전위에 있을 때에는a. 상대방 리… 더보기

복식게임의 전략과 전술(Ⅰ)

댓글 0 | 조회 3,384 | 2010.07.28
복식 코트는 단식에 비해 폭이 2미터… 더보기

단식은 공간과 시간의 게임

댓글 0 | 조회 2,937 | 2010.07.14
* 동호인들은 흔히 단식게임보다는 복… 더보기

내기 게임과 “다대기” 문화

댓글 0 | 조회 2,923 | 2010.06.23
내겐 거의 매주 골프를 즐기는 친구가… 더보기

동호인 테니스 규칙 퀴즈

댓글 0 | 조회 3,663 | 2010.06.10
1. 라인판정의 일차적 책임과 권리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