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국제 무대에 선 자랑스런 한국인(Ⅰ)

0 개 1,518 코리아포스트
시에라레온 유엔 미션 (UNAMSIL: United Nations Mission in Sierra Leone),

이것이 유엔 평화유지군에게 주어진 공식 명칭이다.

평화유지군 본부는 프리타운의 조그만 반도 끝에 위치하고 있었다.

유엔 민간직원으로서 출근하는 첫날.

무엇 보다 나와 함께 직접 일을 해야 하는 업무 라인에 있는 사람들과 인사를 나누는 것이 우선일 것 같다.

막 군에 입대한 신병들이 직속 상관들에게 신고하러 다닐 때의 마음이 이럴까.

처음부터 잘못 보이기라도 하면 어떻게 하나. 약간 긴장이 된다.

“웰캄 투 프리타운, 동!”

미션에서 가장 높은 유엔 대사가 첫 인사차 찾아 온 나를 반긴다.

나의 이름까지 기억해서 불러주는 이분은 이란 사람으로서 유엔에서 40년 이상을 근무하며 산전 수전, 지상전, 공중전, 시가전뿐만 아니라 수많은 나라에서 피비린내 나는 숱한 내전들을 경험한 살아 있는 유엔 평화유지의 산 증인이다.

여기서 나의 책임은 유엔 평화유지 미션에서 일하는 모든 스태프들과 다른 크고 작은 유엔 기구들 그리고 정부 관련 기관들에게 지형정보를 제공해 주는 부서의 총책임자이다.

우리 부서의 주요 업무는 약 몇만 미터 상공에서 촬영된 인공위성 사진과 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s)을 이용하여 컴퓨터 내에서 자료를 분석하여 필요한 지형 정보 및 지도를 만들어 내고 인트라넷을 통하여 디지털 정보를 신속하게 지원해 주는 것이다.

이 부서는 유엔의 역사상 평화유지부에 처음으로 창설되어 시에라레온 미션에 최초로 실험적으로 운영되는 매우 중요한 시점에 있는 것이다

만약 내가 잘못 관리하여 실패하게 되면 어렵게 시작된 지형정보 시스템은 더 이상 존재할 수 없게 된다. 지도가 존재하지 않는 아프리카 내전국가에 들어가 전국을 다니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존재하지 않는 지도를 만들어 내야 하는 서부아프리카 시에라레온의 김정호가 된 것이다.

가급적 빠른 기간 내에 평화유지군의 작전 활동에 필요한 지도를 긴급 생산, 지원하라는 유엔 본부의 지시에 따라 현 상황은 고려되지 않은 채 우선 책임자인 나만 먼저 선발되어 도착한 것이다.

프리타운 본부에 도착해보니 사전에 준비된 것이라곤 하나도 없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책상, 의자뿐만 아니라 사무실 자체도 준비 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니 이미 도착된 컴퓨터와 장비들도 그냥 창고에서 먼지가 쌓인 채 주인만 기다리고 있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하는 막막한 상황이다.

유엔 미션에 선발되어 도착하면 모든 것이 준비되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었는데 환경이 열악하여 몇 주 동안은 일반 컴퓨터도 사무실도 없이 이리 저리 옮겨 다니며 업무를 해야 했다. 하루에도 몇 번이고 건물 공사를 담당하는 엔지니어를 찾아 다니며 괴롭힌(?) 결과 다행히 몇 주 후에 컨테이너 여섯 개의 넓은 사무실 공간이 우리 부서용으로 준비되었다. 또한, 천군만마보다 더 큰 힘이 되어줄 캐나다 국방성 출신의‘레지스’라는 웹 디자인 분야의 전문가가 도착하였고 연이어 우크라이나, 요르단, 르완다 등에서 현역 장교들이 나의 팀에 속속 합류하게 되었다.

병사들이 있으니 장수가 힘을 쓸 수 있는 것과 같이 각각 책임 분야를 부여하여 내부 통신시설 및 컴퓨터 장비설치, 사무실 비품 수령 및 분배, 전 평화유지군에 선보일 우리 부서의 홈페이지 개설, 자료준비 등 내가 도착한지 약 8주 만에 지도를 만들 수 있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이제, 문제는 지도를 만들어 내고 만들어진 지도가 인트라넷을 통해 각 지역에 흩어져 있는 평화유지군의 개인 컴퓨터 상에 보여지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지도를 만들 수 있는 기본 데이터가 이 나라에 존재하지 않다는 데에 있다. 그나마 약 40년 전에 미국에 의하여 만들어졌다고 하는 지도가 남겨져 있을 법도 한데 지형정보에 대한 실질적인 가치를 모르다 보니 어느 누가 관리하고 있는지 아니면 전쟁 중에 불태워 버려졌는지 그 누구도 관련 기관들도 알고 있는 바가 없었다.

그렇다고 고작 여덟 명의 인원이 남한의 3분의 2 크기의 지역을 돌아다니며 세세한 지형 정보를 수집한다는 것은 더더욱 불가능한 일이다. <다음호에 계속>

ⓒ 뉴질랜드 코리아포스트(http://www.koreapost.co.n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동열]격동의 한 주간

댓글 0 | 조회 2,459 | 2009.08.27
지난 한 주간은 정말로 다사다난했다.… 더보기

아이콘이 없는 도시, 서울

댓글 0 | 조회 2,933 | 2009.08.07
지금 세계는 도시간 전쟁에 돌입했다.… 더보기

[김동열]동포유치 의료 마케팅 베이포럼

댓글 0 | 조회 3,146 | 2009.07.23
지금 한국에선 재외국민을 필요로 하는… 더보기

[김동열]국가브랜드

댓글 1 | 조회 2,927 | 2009.07.16
요즘 서울에서 한창 회자되고 있는 말… 더보기

[김동열]굿바이 마이클!

댓글 0 | 조회 3,016 | 2009.07.03
마이클 잭슨의 죽음은 충격과 슬픔을 … 더보기

신데렐라 수잔 보일

댓글 0 | 조회 4,172 | 2009.04.24
참으로 사람의 마음은 알 수가 없다.… 더보기

RSS

댓글 0 | 조회 2,997 | 2009.12.22
컴퓨터의 발전과 더불어서 발전한 인터… 더보기

인터넷 기능

댓글 0 | 조회 3,184 | 2009.12.09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발전하면서, … 더보기

컴퓨터 선택

댓글 0 | 조회 2,959 | 2009.11.24
본격적인 세일 시즌이 다가오면서 각 … 더보기

게임 중독(Ⅱ)

댓글 0 | 조회 2,727 | 2009.11.10
지난 호에서는 인터넷 중독에 대해서 … 더보기

인터넷 중독(Ⅰ)

댓글 0 | 조회 2,838 | 2009.10.27
컴퓨터의 발전은 우리의 생활을 짧은 … 더보기

무선 헤드셋

댓글 0 | 조회 3,122 | 2009.10.13
이제 휴대용 음악 기기는 우리의 삶에… 더보기

중고 컴퓨터

댓글 0 | 조회 3,444 | 2009.09.22
컴퓨터를 구입하다 보면 새 컴퓨터가 … 더보기

데이터 보관

댓글 0 | 조회 2,894 | 2009.09.08
저번에 데이터 백업에 대해서 설명한 … 더보기

Windows 7

댓글 2 | 조회 3,210 | 2009.08.25
윈도우 비스타가 개발되어서 팔리기 시… 더보기

DDoS

댓글 0 | 조회 3,138 | 2009.08.11
얼마 전 한국에서는 DDoS라는 사이… 더보기

해킹

댓글 0 | 조회 3,024 | 2009.07.29
지난 호들에서도 말했다시피, 디지털 … 더보기

유비쿼터스

댓글 0 | 조회 3,001 | 2009.07.15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의 사용은 이… 더보기

슈퍼 컴퓨터

댓글 0 | 조회 2,747 | 2009.06.23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한번쯤은 들어봤을… 더보기

질병 예방 방법

댓글 0 | 조회 2,776 | 2009.05.27
지난 주까지 총 4회에 걸쳐서 컴퓨터… 더보기

컴퓨터관련질병 및 예방(Ⅳ)

댓글 0 | 조회 3,867 | 2009.05.13
7. 수근관 증후군 (Carpal T… 더보기

컴퓨터관련질병 및 예방(Ⅲ)

댓글 0 | 조회 2,707 | 2009.04.28
5. 근근막 증후군 (Myofacia… 더보기

컴퓨터관련질병 및 예방(Ⅱ)

댓글 0 | 조회 2,574 | 2009.04.15
1. 두통 (Headache)영향 받… 더보기

컴퓨터관련질병 및 예방

댓글 0 | 조회 2,820 | 2009.03.25
컴퓨터의 사용이 생활화 되면서 우리의… 더보기

휴대용 음향기기

댓글 0 | 조회 3,798 | 2009.03.10
길거리를 돌아다니거나 버스 등을 타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