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와 달, 당신의 안식처 낙산사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해와 달, 당신의 안식처 낙산사

daeuikim
0 개 898 템플스테이

3129f38f001c9758fdabc6802c448624_1635299502_5901.png
 

휴대전화에게 이별을 고하며....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예약이 가능한 낙산사 템플스테이는 여정 하루 전 한 통의 문자를 발송한다. 코로나19 시대에 부합한 당부와 도착 시간, 찾아오시는 길, 준비물 등 빼곡하게 채운 글이 상소문처럼 길기도 하다. 예약할 때 대수롭지 않게 지나쳤던 문구들이 돌연 생명력을 얻는다. “휴대폰 사용불가”라니!


소셜 미디어가 판치는 요즘, 낙산사는 휴대전화를 절에 맡기라 한다. 인스타그램도 틱톡도 낙산사에서 실시간 공유는 가당치 않다. 휴대전화를 쓸 수 없으니 카메라와 손목시계는 필수로 챙기라 권유한다. 낙산사를 찾는 모든 이가 고대하는 일출의 장관을 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준비물이겠다. 불편하다.


석연찮은 불만은 템플스테이 전용 공간인 취숙헌에 도착해 곧 설렘으로 바뀐다. 오봉산이 품어낸 낙산사는 하늘과 바다를 향해 열린 덕에 묵은 감정을 숨길 곳이 없다. 창 너머 넘실대는 바다는 시원하고 유쾌하다. 창문의 절반을 하늘과 나눠 가진 바다의 수평선이 마치 내가 바다에 안긴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킨다. 이런 곳이라면 하루쯤 휴대전화에 이별을 고해도 좋겠다.


3129f38f001c9758fdabc6802c448624_1635299539_5574.png
 

자연이 품어낸 취숙헌의 빼어난 입지


참가자는 오후 2시까지 템플스테이체험관에 도착해야 한다. 길에 제대로 들었다면 낙산사 정문 주차장 앞 일주문을 거쳐 무지개 모양의 홍예문을 만났을 테다. 무심코 네비게이션이 안내하는 대로 운전하다 호텔 옆 주차장에 당도하면 먼길을 돌아 미리 사찰을 탐방하는 낭패를 겪을 수 있으니, 안내문자를 숙지해 반드시 정문 주차장을 이용하자.


오후 2시 30분부터 낙산사는 참가자 전원에게 템플스테이 체험에 유의해야 할 사항에 대해 안내한다. 늦지 말아야 할 이유다. 휴대전화를 쓸 수 없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전화 이용법, 절에서의 예절, 참가자가 머물 시설들의 동선과 이용방법 등……. 낙산사 템플스테이 운영진은 바다가 훤히 내다보이는 숙소의 빼어난 입지에도 불구하고 취숙헌에는 화장실과 샤워실이 딸린 방이 적다.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공동 화장실과 샤워실을 이용해야 한다. 바로 지척에 위치하고 정갈하고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으니 걱정은 동여매자. 식사장소인 선열당은 취숙헌 코앞이다. 숙소에서 원통보전까지 300미터 남짓이라 동선은 간결하지만, 곳곳에 비경이 많아 정취에 빠져 걷다 보면 삽시간에 뉘엿뉘엿 떨어지는 해를 발견할 정도다.


3129f38f001c9758fdabc6802c448624_1635299559_7989.png
 

희망의 파랑새


낙산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관음도량 중 하나다. 당의 침략을 힘겹게 막아냈던 신라는 잦은 전쟁으로 고통에 빠진 백성들을 구제하기 위해 이곳을 마련했다. 고통받는 온 중생을 해탈로 이끌겠다는 관음보살의 서원이야말로 피폐해진 백성들의 삶에 구원이 되기에 충분했다.


이는 파랑새에 이끌려 관세음보살을 친견한 의상(義湘)대사가 낙연둣빛 댕기들이 바람에 나부낀다. 댕기마다 몸을 까부는 게 자기 좀 봐달라는 듯하다. 건강, 행복, 금전운, 코로나19 극복……. 낙산사를 방문하는 이 저마다 소원 하나씩 꺼내어 매단 듯하다. 어느 소원이라고 절박하지 않은 게 있겠나? 절망의 시대에 희망은 풍년이었다.


산사를 창건했다는 설화로 이어진다. 선조들 역시 홍련암의 관음굴에서 기도하면 파랑새가 나타난다 믿었다. 삶의 파고에서 구원이 되는 곳, 다름 아닌 ‘희망’을 상징하는 낙산사의 역사성 때문이리라.



누구나 고대하는 일출 명소는?


4년차에 접어든 낙산사 템플스테이 운영자 이혜원 팀장은 일출 명소로 해수관음상, 홍련암, 의상대를 모두 꼽았다. 모든 장소가 훌륭하지만 저마다 개성이 넘치는 풍경을 보여준다며, 음력 15일인 보름에서 하현으로 이어지는 3일간 동해에는 또 다른 길, 달길이 열린다고 귀띔한다. 낙산방파제 쪽에서 솟아오른 둥근 달이 수면 위로 은빛을 뿌리며 의상대로 이어지는 달길은 일출의 웅장함과는 다른 포근함이 있다며, 오로지 템플스테이 참가자만 체험할 수 있는 비경이라며 추천했다.


일출을 한 번쯤 경험한 사람이라면 끓어 넘칠 것같이 이글거리며 솟아오르던 붉은 태양을 기억할 것이다. 짧지만 강렬한 인상이 뇌리에 박히듯, 낙산사의 일출은 그리고 월출은‘내 인생에서 손꼽는 순간’이 된다. 휴대전화가 없어도, 실시간 공유를 못 해도 맨몸으로 맞이하는 격정의 순간은 오히려 자연을 겸허하게 대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자연을 대하는 격이랄까? 낙산사 템플스테이는 일출과 월출의 순간에도 내게 집중하고 자연을 존중하는 격을 갖추게 한다.


3129f38f001c9758fdabc6802c448624_1635299615_7989.png
 

희망의 안식처, 낙산사 템플스테이


몽골의 침입으로 폐허가 됐던 낙산사는 조선초 재건됐다가 외세의 침입과 한국전쟁을 거치며 소실과 재건을 반복했다.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2005년 화마로 대부분의 전각이 전소되는 아픔을 겪었지만, 국민의 성원과 관심 속에 2013년 복원을 완료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에 낙산사는 국민에게 보답하고자 2018년부터 템플스테이 참가비를 낮춰 절의 문턱을 낮췄다. 더 많은 이를 품어내려는 낙산사의 진심이 관세음보살의 발원과 뭬가 다를까.


창건 이래 반복된 국난과 화마를 거치면서도 낙산사는 늘 우리 곁에 있었다. 낙산사는 그런 곳이다. 부침을 딛고 매번 보란 듯 재기하는, 오늘의 국난도 결국 비켜 가리라 위안을 주는 곳. 해와 달을 가깝게 만나는 곳, 희망의 파랑새가 사는 곳이다.


■ 낙산사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

033-672-2417ㅣwww.naksansa.or.kr


■ 제공: 한국불교문화사업단

함께 이루어지는 꿈 - 해탈

댓글 0 | 조회 748 | 2022.04.28
산사를 찾는 이유는 저마다 다르다. … 더보기

물소리, 바람소리 경전에 혼자라는 돌멩이를 줍다

댓글 0 | 조회 901 | 2022.04.12
▲ 한국문화연수원사진: 한국문화연원·… 더보기

청자의 빛, 겨울 공양

댓글 0 | 조회 785 | 2022.03.22
▲ 태안선에서 발견된 발우사진제공 및… 더보기

나에게 남은 시간

댓글 0 | 조회 1,116 | 2022.03.09
우리 곁에 이미 도착해 있는 미래아직… 더보기

자연이 내어 준 풀과 꽃, 요리가 되다

댓글 0 | 조회 829 | 2022.02.22
대전 영선사는 사찰음식에 관심 있는 … 더보기

첫눈 같은 마음의 눈 - 예산 수덕사 禮山 修德寺

댓글 0 | 조회 750 | 2022.02.10
마음의 눈으로만 볼 수 있는 것들이 … 더보기

그날 수자타로부터

댓글 0 | 조회 781 | 2022.01.27
수자타는 정성스럽게 소젖을 짜 일곱 … 더보기

감성여행 종결자, 삼랑성 전등사(三郞城 傳燈寺)

댓글 0 | 조회 890 | 2022.01.11
철통 요새 속, 피안(彼岸)의 역사·… 더보기

오늘 내가 먹는 것이 내일의 나를 만듭니다

댓글 0 | 조회 1,235 | 2021.12.22
선재스님은 조계종단의 첫 사찰음식 명… 더보기

양평 용문사 - 친구, 아마도 너는 나의 단풍

댓글 0 | 조회 904 | 2021.12.07
“우리 둘은 많이 달라요. 성격만 봐… 더보기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 개선 및 뇌 건강에 효과적

댓글 0 | 조회 737 | 2021.11.24
이번 호는 템플스테이의 의학적 효과를… 더보기

말할 수 없는 기쁨, 인제 백담사

댓글 0 | 조회 1,035 | 2021.11.09
“처음엔 백담사 계곡의 흰 빛과 숲의… 더보기
Now

현재 해와 달, 당신의 안식처 낙산사

댓글 0 | 조회 899 | 2021.10.27
휴대전화에게 이별을 고하며....홈페… 더보기

산이 곧 절이요, 통도사

댓글 0 | 조회 961 | 2021.10.12
"차를 가지고 오세요."통도사 템플스… 더보기

하동 쌍계사

댓글 0 | 조회 915 | 2021.08.25
선명한 열정꿈으로 가는 길에 산재한 … 더보기

장엄한 해넘이를 보다, 금산사

댓글 0 | 조회 797 | 2021.08.11
금산사는 전라북도가 전라도 정도 천년… 더보기

구불구불 재촉하지 않는 길, 불갑사

댓글 0 | 조회 758 | 2021.07.28
▲ 불갑사 꽃무릇영광 칠산갯길 5코스… 더보기

느린 우체통에 부치는 편지, 선운사

댓글 0 | 조회 792 | 2021.07.13
▲ 극락교에서 바라본 선운사들락날락 … 더보기

마실 가듯 찾아가는 내소사

댓글 0 | 조회 830 | 2021.06.23
▲ 내소사 대웅전30번 국도를 따라 … 더보기

지리산과 템플스테이

댓글 0 | 조회 816 | 2021.06.09

화엄사 권역

댓글 0 | 조회 806 | 2021.05.25
▲ 화엄사 각황전 석등과 원통전 앞 … 더보기

쌍계사 권역

댓글 0 | 조회 766 | 2021.05.11
▲ 쌍계사 대웅전지리산 남쪽 양지바른… 더보기

대원사 권역

댓글 0 | 조회 1,178 | 2021.04.28
남원에서 함양으로 간다. 둘레길 ④구… 더보기

실상사 권역

댓글 0 | 조회 1,553 | 2021.04.14
실상사 권역은 둘레길 ①구간주천-운봉… 더보기

템플스테이, 그 ‘일탈적 체험’이 주는 행복에 대하여 (2)

댓글 0 | 조회 991 | 2021.03.23
템플스테이의 정수, 일탈적 체험템플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