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수자타로부터

연재칼럼 지난칼럼
오소영
정동희
한일수
김준
오클랜드 문학회
박명윤
수선재
천미란
박기태
성태용
명사칼럼
수필기행
조기조
김성국
채수연
템플스테이
이주연
Richard Matson
Mira Kim
EduExperts
김도형
Timothy Cho
김수동
최성길
크리스티나 리
송하연
새움터
동진
이동온
멜리사 리
조병철
정윤성
김지향
Jessica Phuang
휴람
독자기고

그날 수자타로부터

0 개 796 템플스테이

수자타는 정성스럽게 소젖을 짜 일곱 차례에 걸쳐 끓이고는, 

다시 맑은 물을 담은 새 그릇에 깨끗한 쌀을 넣어 정성스럽게 죽을 만들었다. 

이윽고 깨끗한 발우에 죽을 담아 누군가를 기다리던 수자타는 

더러운 천을 두르고 지나가는 사문 고타마를 보자 조심스레 유미죽을 올렸다.


99c59d17a295359ae02f651ab174e8ae_1643239468_1976.png
 

본행집경(本行集經), 인과경(因果經) 등에 수차례 기록되어 있는 수자타(Sujata)의 유미죽 공양에 관한 이야기다. 싯다르타는 6년간의 고행 끝에 우루벨라 마을의 강변에서 소치는 여인 수자타가 정성스레 올린 공양 ‘유미죽’을 받았다. 한 그릇의 죽으로 원기를 회복한 싯다르타가 다시 선정에 든 지 7일째 되던 날 새벽, 마침내 그는 모든 것을 여의고 깨달음을 얻은 자, 석가모니 부처가 되었다.


복을 짓는 밭, 공양


부처님과 수행자에게 공양을 올리는 것은 불교 전통에 있어 가장 자연스럽고, 또 숭고한 의식이다. 한 알의 씨앗이 싹을 틔우고 나무로 자라나 끝내 향기로운 과일을 맺기까지 온 우주가 힘을 더하듯, 불제자들의 정성 어린 공양은 수행자의 길고 긴 정진에 크나큰 원동력이 된다. 공양을 올리는 것을 복전(福田)이라고 하는 것 또한 그 공덕이 마치 한없이 큰 복을 짓는 것과 같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말기부터 왕이 스님들에게 음식을 공양하고, 스님들은 법을 전하는 풍습이 생겨났는데, 고려 시대에는 국가적 차원의 대규모 반승재(飯僧齋)1)로 발전하기도 했다. 비록 억불승유 정책을 천명한 조선 시대에 이르러 폐지되고 말았지만, 이후에도 계급을 막론하여 개인이 공양을 올리는 문화는 이어졌다. 


새로운, 하지만 한결같은


현대의 공양 문화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것 중 하나는 바로 대중공양(大衆供養)의 모습이다. 보통 사찰에서 대중공양을 한다고 할 때는 가장 큰 스님부터 행자, 그리고 사중의 식구들이 모두 모여 공양한다는 뜻으로 통용된다. 하지만 또 다른 의미의 대중공양은 말 그대로 대중들이 십시일반 정성을 모아 부처님과 스님들께 공양을 올리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대중공양은 불교의 큰 행사, 특히 1년에 두 번 열리는 동안거와 하안거 시기에 자주 볼 수 있다. 혹독한 계절을 이기며 수행에 전념한 스님들의 체력을 보호하고, 무엇보다 정진의 큰 뜻을 이루길 기원하는 의미다. 


대중공양의 문화는 해방 이후 한국불교의 수행 가풍을 되살린 불교 정화운동, 봉암사 결사가 단초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과거 개인과 개인으로 알음알음 전해지던 공양 풍습을 그 어떤 척박한 환경에서도 공양물의 평등성을 잃지 않았던 부처님 시대, 그 모습으로 되돌리고자 했던 선승들의 치열한 결의가 지금의 대중공양에 오롯이 남아있는 것이다. 


99c59d17a295359ae02f651ab174e8ae_1643239552_741.png
 

공양, 그 아름다운 순리


지난여름, 하안거 해제가 이루어진 봉암사에서 다시 한번 대중공양이 열렸다. 마스크와 방역수칙이 더해져 더욱 숨 가빴을 한여름의 안거 기간, 그 시간을 뒤로하고 다시 선방을 나선 스님들에게 정성 가득한 한 그릇의 공양은 무엇보다 큰 응원이 되었으리라.


하지만 수행자의 일상은 쉬이 변하지 않는다. 하안거 동안 뜨겁게 영글었을 감자밭을 함께 거두고, 산문 안팎을 정갈히 하며 변함없이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스님들의 모습은 되려 묵묵한 감동으로 전해진다. 


이 음식은 어디에서 왔는가? 


내 덕행으로는 받기가 부끄럽네.

마음의 온갖 욕심을 버리고 몸을 지탱하는 약으로 알아

깨달음을 이루고자 이 공양을 받습니다


불가에서 매끼 식사마다 외우는 게송 ‘오관게’는 단순하지만 가장 명료하게 공양의 의미를 전한다. 공양은 깨달음으로, 깨달음은 모든 생명을 향해 회향(廻向)할 때 완성된다. 오래전 그날 수자타에게서 사문 고타마에게 전 해진 한 그릇의 죽, 그 위대한 공양이 그랬던 것처럼.


=======

1) 왕실에서 큰 법회를 열고 스님들께 음식을 공양하던 일을 반승(飯僧)이라고 하며, 이것의 의식을 반승재라 일컫는다.


■ 제공: 한국불교문화사업단



길에서 우주를 만나다: 다산초당 - 강진 백련사

댓글 0 | 조회 752 | 2022.05.10
길을 돌아 내려가 다산초당에 도착했습… 더보기

함께 이루어지는 꿈 - 해탈

댓글 0 | 조회 756 | 2022.04.28
산사를 찾는 이유는 저마다 다르다. … 더보기

물소리, 바람소리 경전에 혼자라는 돌멩이를 줍다

댓글 0 | 조회 911 | 2022.04.12
▲ 한국문화연수원사진: 한국문화연원·… 더보기

청자의 빛, 겨울 공양

댓글 0 | 조회 790 | 2022.03.22
▲ 태안선에서 발견된 발우사진제공 및… 더보기

나에게 남은 시간

댓글 0 | 조회 1,122 | 2022.03.09
우리 곁에 이미 도착해 있는 미래아직… 더보기

자연이 내어 준 풀과 꽃, 요리가 되다

댓글 0 | 조회 835 | 2022.02.22
대전 영선사는 사찰음식에 관심 있는 … 더보기

첫눈 같은 마음의 눈 - 예산 수덕사 禮山 修德寺

댓글 0 | 조회 755 | 2022.02.10
마음의 눈으로만 볼 수 있는 것들이 … 더보기
Now

현재 그날 수자타로부터

댓글 0 | 조회 797 | 2022.01.27
수자타는 정성스럽게 소젖을 짜 일곱 … 더보기

감성여행 종결자, 삼랑성 전등사(三郞城 傳燈寺)

댓글 0 | 조회 898 | 2022.01.11
철통 요새 속, 피안(彼岸)의 역사·… 더보기

오늘 내가 먹는 것이 내일의 나를 만듭니다

댓글 0 | 조회 1,243 | 2021.12.22
선재스님은 조계종단의 첫 사찰음식 명… 더보기

양평 용문사 - 친구, 아마도 너는 나의 단풍

댓글 0 | 조회 911 | 2021.12.07
“우리 둘은 많이 달라요. 성격만 봐… 더보기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 개선 및 뇌 건강에 효과적

댓글 0 | 조회 748 | 2021.11.24
이번 호는 템플스테이의 의학적 효과를… 더보기

말할 수 없는 기쁨, 인제 백담사

댓글 0 | 조회 1,039 | 2021.11.09
“처음엔 백담사 계곡의 흰 빛과 숲의… 더보기

해와 달, 당신의 안식처 낙산사

댓글 0 | 조회 904 | 2021.10.27
휴대전화에게 이별을 고하며....홈페… 더보기

산이 곧 절이요, 통도사

댓글 0 | 조회 971 | 2021.10.12
"차를 가지고 오세요."통도사 템플스… 더보기

하동 쌍계사

댓글 0 | 조회 920 | 2021.08.25
선명한 열정꿈으로 가는 길에 산재한 … 더보기

장엄한 해넘이를 보다, 금산사

댓글 0 | 조회 809 | 2021.08.11
금산사는 전라북도가 전라도 정도 천년… 더보기

구불구불 재촉하지 않는 길, 불갑사

댓글 0 | 조회 768 | 2021.07.28
▲ 불갑사 꽃무릇영광 칠산갯길 5코스… 더보기

느린 우체통에 부치는 편지, 선운사

댓글 0 | 조회 807 | 2021.07.13
▲ 극락교에서 바라본 선운사들락날락 … 더보기

마실 가듯 찾아가는 내소사

댓글 0 | 조회 837 | 2021.06.23
▲ 내소사 대웅전30번 국도를 따라 … 더보기

지리산과 템플스테이

댓글 0 | 조회 822 | 2021.06.09

화엄사 권역

댓글 0 | 조회 810 | 2021.05.25
▲ 화엄사 각황전 석등과 원통전 앞 … 더보기

쌍계사 권역

댓글 0 | 조회 772 | 2021.05.11
▲ 쌍계사 대웅전지리산 남쪽 양지바른… 더보기

대원사 권역

댓글 0 | 조회 1,182 | 2021.04.28
남원에서 함양으로 간다. 둘레길 ④구… 더보기

실상사 권역

댓글 0 | 조회 1,559 | 2021.04.14
실상사 권역은 둘레길 ①구간주천-운봉… 더보기